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주화백컨벤션센터

덤프버전 :





파일:7la2rTg.jpg
경주화백컨벤션센터

파일:경주화백컨벤션센터 로고.svg

정식 명칭경주화백컨벤션센터
한문 명칭慶州和白컨벤션센터
영문 명칭Hwabaek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HICO
개관일2015년 3월 2일
전시 면적총계 2,273㎡[1]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로 507[2]
웹 사이트http://www.hico.or.kr/

1. 개요
2. 상세
2.1. 규모
2.2. 배경
2.3.1. 버스
2.3.2. 택시
2.4. 유치 행사
2.5. 확장
3. 기타



1. 개요[편집]


경상북도 경주시 신평동에 있는 전시장.

구미코에 이어서 경상북도 내에서는 두 번째로 건설했다. 경주시한국수력원자력이 건설비를 분담해 지었다. 명칭은 경주에 도읍했던 신라귀족 회의 제도인 화백회의에서 따왔다.


2. 상세[편집]



2.1. 규모[편집]


실내 전시장 2,273㎡, 총 건축 연면적은 31,336㎡이다. 상당히 작은 전시장으로, 나무위키에 등록된 전시장 중에서 가장 전시장 면적이 좁다. 애당초 경주시는 대형 컨벤션 센터가 있는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가 인접한 상태로, 대구, 부산의 대형 행사를 같이 개최하거나[3], 인접 도시 포항시, 울산광역시의 소규모 컨벤션, 혹은 전국 단위의 학회[4]를 목적으로 HICO를 지었으므로, 그 목적에 합당한 규모이다. 대형 컨벤션은 어차피 부산 BEXCO, 대구 EXCO 아니면 서울 COEX, 일산 KINTEX 등으로 빠질 것이니 말이다. 어차피 신라 유적 때문에 산업단지 같은 걸 도심 가까이에 못 만든다는 이유도 있다.

2015년 3월 개관 이후 2015년 11월까지 총 184건의 MICE 행사를 유치하여 총 1,570억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사


2.2. 배경[편집]


원래 경주시는 보문관광단지 조성 이후, 서울, 제주, 부산 정도를 제외하고는 특급(별로 치면 4성[5], 5성[6]) 호텔이 가장 많은 곳이었다. 그런 여건과 KTX 개통 이후 비교적 편리해진 교통[7]으로 인해, 여러 소규모 컨벤션이나 심포지엄은 이미 자주 열리고 있었다. 하지만, 경주 지역 호텔은 워커힐이나 롯데호텔 서울 같은 곳과 비교하면 컨벤션 룸이 작아서 큰 컨벤션이나 많은 학회를 유치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으므로, 컨벤션 센터의 필요에 대한 요구는 있어왔다.

그러던 중 방폐장 유치에 대한 지원금이 들어오고 한국수력원자력도 (외곽이긴 하지만) 이전해오기로 하면서, 그 지원금으로 컨벤션센터를 짓기로 하여 경주화백컨벤션센터가 지어졌다. 여기에 대해서 시민들의 찬반이 있었는데, 컨벤션센터가 생기는 곳이 보문관광단지경주시 외곽 지역이라 경주시민들한테 얼마나 이득이 되겠냐는 게 논쟁의 핵심이었다.


2.3. 교통[편집]


HICO의 위치는 힐튼 경주 건너편으로 보문관광단지 안에서는 괜찮은 편이라 여겨지지만, 보문관광단지의 특성상 자차가 없으면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그래도 신경주역이 외곽에 들어선 이후 KTX 신경주역-보문관광단지(HICO나 여러 호텔) 사이에 일반 버스나 셔틀버스가 많이 확충되었다. 버스로 이동하면 30~40분 정도 걸린다.


2.3.1. 버스[편집]




2.3.2. 택시[편집]


보문관광단지는 시외 할증이 붙는 지역이기 때문에 택시를 이용할 경우 매우 비싼 요금을 지불해야 하므로 주의.


2.4. 유치 행사[편집]




2.5. 확장[편집]


파일:경주화백 증축.png
경주화백컨벤션센터 증축 조감도.

2018년 들어서 HICO 확장 얘기가 나오고 있다. HICO도 가동률이 굉장히 높아져서 60% 이상으로 과포화 상태이다. 확장 얘기는 나오는 중인데 부지는 어디에 마련하려는 건지 모르겠다. 바로 뒤의 KT 수련원을 매입해서 철거하지 않는 한 확장이 안 된다.

2019년 경주화백컨벤션센터를 증축하여 전시장을 확장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기사 그리고 2021년, 진짜로 증축 공사를 발주하였다. 2022년 착공, 2023년 12월에 준공할 예정이다.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대비하는 차원이다. HICO 확장 공사 사업비는 295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전시장 4,000㎡, 지하주차장 2,000㎡, 기타 편의 시설 2,745㎡이 추가된다.


3.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1:56:53에 나무위키 경주화백컨벤션센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내 전시장만 사용했을 경우 한정. 컨벤션 홀까지 전부 개방해서 사용할 경우 5,694㎡까지 늘어난다.[2] 신평동 182[3] 경주는 이미 2010년 부산 G20 재무 장관 회의 때, 행사의 일부를 받아 공동 개최한 경험이 있으며, 2015년 대구 세계 물 포럼도 대구와 공동 개최했다.[4] 학회는 매우 넓은 행사장이 필요하지는 않다.[5] 특2급[6] 특1급[7] 서울, 부산, 대구에서 모두 교통이 편리한 편이며, 특히, 대구, 부산과는 매우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