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법 전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テン
일본어 훈독
のり, ふみ
-
표준 중국어
di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1. 개요[편집]


典은 '법 전'이라는 한자로, '법(法)', '책'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중국어표준어diǎn
광동어din2
감어dien3
객가어tién
진어die2
민북어dǐng
민동어diēng
민남어tián
오어ti (T2)
상어jdienn3
일본어음독テン
훈독のり, ふみ
베트남어điển

유니코드에는 U+517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BC(廿月金)로 입력한다.

죽간을 본뜬 (책 책)과 받침대를 본뜬 (책상 기)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갑골문상에서는 원래 죽간을 두 손으로 들고 있는 모습이었으나, 금문으로 와서 두 손 부분이 (한 일)과 (여덟 팔)이 합쳐진 형태로 바뀌었다. 이 형태는 전서까지 이어지다가, 예서에서 위쪽의 (책 책)이 뭉개져 (굽을 곡)과 유사한 형태가 되었으며, 이 형태가 해서까지 이어져 지금에 이르렀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경전(經典)
  • 고전(古典)
    • 고전경제학파(古典經濟學派), 고전극(古典劇), 고전동화(古典童話), 고전문학(古典文學), 고전미(古典美), 고전소설(古典小說), 고전악(古典樂), 고전어(古典語), 고전음악(古典音樂), 고전주의(古典主義), 고전파(古典派), 고전학파(古典學派)
  • 묘전(妙典)
  • 법전(法典)
  • 병전(兵典)
  • 불전(佛典)
  • 사전(事典/辭典)
  • 서전(書典)
  • 성전(盛典/聖典)
    • 축성전(祝盛典)
  • 오전(五典)
  • 원전(原典)
  • 의전(儀典)
  • 자전(字典)
  • 전교(典敎)
  • 전당(典當)
    • 영업전당(營業典當), 전당국(典當局), 전당포(典當鋪)
  • 전례(典例/典禮)
  • 전범(典範)
  • 전법(典法)
  • 전서(典書)
  • 전아(典雅)
  • 전악(典樂)
  • 전옥서(典獄署)
  • 전적(典籍)
  • 전칙(典則)
  • 전포(典鋪)
  • 전품(典品)
  • 전형(典型)
    • 전형적(典型的)
  • 전훈(典訓)
  • 정전(正典)
  • 제전(祭典)
  • 조전(朝典)
  • 체전(體典)
  • 축전(祝典)
  • 통전(通典)
  • 특전(特典)
  • 형전(刑典)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1:34:3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