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먼저 선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セン
일본어 훈독
さき, ま-ず
-
표준 중국어
xi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개요[편집]


먼저 선(先). 먼저, 처음, 이전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먼저
중국어표준어xiān
광동어sin1
객가어siên, sîn
민북어síng[文] / sáing[白]
민동어siĕng[文] / sĕng[白]
민남어sian[文] / seng[白]
오어xi (T1)
일본어음독セン
훈독さき, ま-ず
베트남어tiên

유니코드에선 U+5148에 배정되어 있다.

회의자로, (갈 지)와 (어진 사람 인)이 합쳐진 한자다. 즉 사람의 발을 강조하여 '다른 사람보다 앞서 나간다'라는 의미에서 '먼저'라는 뜻이 생겼다. 之의 이체자 중 㞢와(둘은 공통의 소전체가 해서에서 분화된 것이다) 儿을 합쳐놓으면 이해하기 더 쉬울 것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3.7. 일본어[편집]



3.7.1. 훈독[편집]




3.7.2. 음독[편집]




3.7.3. 기타[편집]


일본어에서는 (뾰족할 첨)이 음독으로 쓰일 경우 尖 대신 음독이 같은 先을 쓴다. 참고.


4. 유의자[편집]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7. 여담[편집]


  • 매우 쉬운 한자이다 보니, 先은 한자를 별로 안 쓰는 한국의 방송에서도 자막으로 내보내는 한자들 중 하나이다. 예시: 8분 44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1:30:5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C 문독[白] A B C 백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