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히타히코산선

덤프버전 :

||




파일:JRK_Wlogo.svg
파일:JRK-JI.svg日田彦山線(ひたひこさんせん
Hitahikosan Line
히타히코산선
||
日田彦山線(ひたひこさんせんBRT(ビーアールティー
Hitahikosan Line BRT
히타히코산선 BRT
파일:Hitakiha40.png

키하 40계 동차
노선 정보
애칭BRT 히코보시 라인 (BRT 구간)
(BRTひこぼしライン)
분류지방교통선
BRT선
기점조노역
소에다역(BRT)
종점소에다역
히타역(BRT)
역 수15
36(BRT)
노선기호JI (코쿠라 ~ 타가와고토지)
개업일1915년 4월 1일
2023년 8월 28일(BRT)
소유자파일:JR 큐슈 로고.svg
JR 큐슈
운영자JR 큐슈
JR 큐슈 버스
사용차량키하 40계 동차
BYD J6
이스즈 에르가 미오
차량기지노가타 차량센터
JR 큐슈 버스 소에다 지점
철도노선 제원
노선연장39.5km
궤간1067mm
선로구성단선
사용전류비전화
폐색방식특수 자동폐색식
신호장비ATS-SK, DK
최고속도85km/h
BRT노선 제원
노선연장37.7km[1]
선로구성전구간 단선
사용동력전기(BYD J6) / 디젤(이스즈 에르가 미오)

파일:JR_Hitahikosan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히타히코산선
상행 히타 →타가와고토지 구간 주행영상 (2013년)상행 소에다→코쿠라 구간 주행영상 (2015년)

1. 개요
1.1. 철도노선 데이터
2. 역사
3. 특징
4. 역 목록
4.1. 철도 구간
4.2. BRT 구간
4.3. 2023년 폐지구간



1. 개요[편집]


JR 큐슈 소속의 지방교통선으로, 조노역에서 소에다역을 잇는다. 철도 구간이 대도시근교구간에 의한 '후쿠오카 근교구간'에 포함된다.


1.1. 철도노선 데이터[편집]




2. 역사[편집]


조노-카와라 구간은 코쿠라 철도에 의해 1915년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1943년까지는 사철이었다가, 1943년 전시매수에 따라 국가가 매입하여 소에다선이라는 명칭을 받았다. 카와라-소에다 구간은 부슈 철도에 의해 처음 개통되었으나, 큐슈 철도에 합병되고 나서 1909년 국유화되었으며, 타가와선이라는 명칭을 받았다. 그 외에 히코산선, 히타선 등의 노선이 차례차례 개통되어, 1960년 모든 노선이 '히타히코산선'이라는 이름으로 한 노선이 되었다.

2017년 7월 5일과 6일 양일간 쏟아진 규슈 북부 집중호우로 인해 2020년 12월 2일 현재까지도 칸유샤히코산역부터 이마야마역 간의 노선이 운휴중이다. 대행버스를 해당 구간에서 운행하고 있는데 이대로 선로를 복구하지 않고 BRT로 교체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히타도 못 가고 히코산도 갈수 없게 된다.

같은 재해로 인해 불통되었던 큐다이 본선호히 본선이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등을 인정받아 1년만에 복구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관광을 포함하여 이동수요가 충분하여 "유후"나 "유후인노모리", 큐슈횡단특급과 아소보이 등의 특급열차가 운행하고 있는 큐다이 본선 및 호히 본선과 쾌속이 있다고 해도 일 1회 코쿠라 방면만 있는 이 노선은 수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은 지자체들도 BRT 교체에 동의하였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 JR 큐슈 최초의 BRT 노선이 생기며, 애칭은 히코보시 라인.

BRT 개업일은 2023년 8월 28일. BRT는 오후나토선, 케센누마선 BRT와 마찬가지로 청춘 18 티켓으로 이용할 수 있다. SUGOCA도 이용할 수 있으나, 정리권을 뽑아서 하차 시에 같이 내야 한다.

3. 특징[편집]


차량은 키하 40형, 키하 147형, 키하 125형 등이 운행중에 있다. 타가와고토지역을 기점으로 운행계통이 갈린다. 소에다-코쿠라 구간에 쾌속이 운행중이며, 코쿠라 방면 편도이다.

'히타히코산선 활성화 추진 연선 자치체 연락회'에서 히타히코산선을 소개하는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 관심이 있으면 참고해보자. 링크


4. 역 목록[편집]



4.1. 철도 구간[편집]


표기이름
쾌속
통과하는 열차는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JR 큐슈 히타히코산선
노선번호역명km우등환승노선소재지



JI01코쿠라 (파일:JR_area_KYU.png)
(小倉)
6.1JR 큐슈 파일:JRK-JA.svg산요 본선 (JA51),
파일:JRK-JA.svg가고시마 본선 (JA28) (모지코 방면)
JR 서일본 파일:JRW-SKS.svg산요 신칸센
키타큐슈 고속철도 파일:KKMR_SQlogo.svg코쿠라선 (01)




키타큐슈시
코쿠라키타구
JI02니시코쿠라 (파일:JR_area_KYU.png)
(西小倉)
5.3¶JR 큐슈 파일:JRK-JA.svg가고시마 본선 (JA27) (하카타 방면)
JI03미나미코쿠라 (파일:JR_area_KYU.png)
(南小倉)
2.6
JI04조노 (파일:JR_area_KYU.png)
(城野)
0.0¶JR 큐슈 파일:JRK-JF.svg닛포 본선 (JF04)키타큐슈시
코쿠라미나미구





JI05이시다 (파일:JR_area_KYU.png)
(石田)
3.3
JI06시이코엔 (파일:JR_area_KYU.png)
(志井公園)
5.1키쿠가오카역 : 키타큐슈 고속철도 파일:KKMR_SQlogo.svg코쿠라선 (13)
JI07시이 (파일:JR_area_KYU.png)
(志井)
6.8
JI08이시하라마치 (파일:JR_area_KYU.png)
(石原町)
9.0
JI09요부노 (파일:JR_area_KYU.png)
(呼野)
12.3
JI10사이도쇼
(採銅所)
18.1타가와군
카와라정
JI11카와라
(香春)
23.4
JI12잇폰마츠
(一本松)
25.0
JI13타가와이타
(田川伊田)
27.4헤이세이 치쿠호 철도 이타선 (HC15), 타가와선 (HC15)타가와시
JI14타가와고토지
(田川後藤寺)
30.0¶JR 큐슈 파일:JRK-JJ.svg고토지선 (JJ06)
¶헤이세이 치쿠호 철도 이토다선 (HC55)


이케지리
(池尻)
32.2타가와군
카와사키정
부젠카와사키
(豊前川崎)
34.7
니시소에다
(西添田)
38.3타가와군
소에다정
소에다
(添田)
39.5


4.2. BRT 구간[편집]


JR 히타히코산선 BRT 본선
역명환승노선위치
소에다
(添田)
¶JR 큐슈 히타히코산선(코쿠라 방면)후쿠오카현타가와군
소에다마치
하타가와(이인마에)
(畑川(医院前))
츠카하라
(塚原)
노다
(野田)
칸유샤히코산
(歓遊舎ひこさん)
키후네바시
(貴船橋)
부젠마스다
(豊前桝田)
야나바루
(柳原)
시모오치아이
(下落合)
야카타바루
(屋形原)
큐에히코츄갓코마에
(旧英彦中学校前)
히코산
(彦山)
후카쿠라
(深倉)
치쿠젠이와야
(筑前岩屋)
아사쿠라군
토호무라
다이교지
(大行司)
호슈야마
(宝珠山)
요시타케
(吉竹)
오이타현
히타시
타케모토
(竹本)
나모토
(名本)
오츠루
(大鶴)
다이메이쇼츄갓코마에
(大明小中学校前)
호시구치
(方司口)
후시오
(伏尾)
이마야마
(今山)
쿠기와라
(釘原)
오즈루
(小鶴)
카미무라
(上村)
이와이바루
(祝原)
요아케
(夜明)
¶JR 큐슈 큐다이 본선(쿠루메 방면)
요시타케
(吉竹)
키타토모다
(北友田)
미나미토모다
(南友田)
테루오카
(光岡)
¶JR 큐슈 큐다이 본선
린코니시구치
(林工西口)
(일부편 통과)
쇼와가쿠엔마에
(昭和学園前)
히타시야쿠쇼마에
(日田市役所前)
히타
(日田)
¶JR 큐슈 큐다이 본선(분고모리 방면)


4.3. 2023년 폐지구간[편집]



JR 큐슈 히타히코산선
역명km우등환승노선소재지
소에다
(添田)
39.5후쿠오카현타가와군
소에다정
칸유샤히코산
(勧遊舎ひこさん)
41.6
부젠마스다
(豊前桝田)
43.2
히코산
(彦山)
47.2
치쿠젠이와야
(筑前岩屋)
55.1아사쿠라군
토호우촌
다이교지
(大行司)
59.3
호슈야마
(宝珠山)
61.3
오츠루
(大鶴)
62.9오이타현
히타시
이마야마
(今山)
65.4
요아케
(夜明)
68.7¶JR 큐슈 큐다이 본선 (쿠루메 방면)
테루오카
(光岡)
74.8
히타
(日田)
77.2¶JR 큐슈 큐다이 본선 (오이타 방면)



[1] 단, 철도 운행시 기준인 "영업 킬로(営業キロ)"를 따르기 때문에 실제 주행거리와 다르다.[2] 히타히코산선 내 역에서 하차하지 않고 SUGOCA 에어리어 역까지 이동할 목적으로 통과할 수는 있다. BRT 구간에서는 Pitapa를 제외한 9종의 전국호환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승차 시 정리권을 뽑고, 하차 시 정리권과 IC카드를 같이 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