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파크드림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도급순위가 산정되는 민간 건설사의 브랜드
파일:래미안 로고.svg파일:힐스테이트 BI_상하.svg파일:자이 심볼.svg파일:더샵 BI_2020.svg파일:푸르지오 심볼(2019.3).svg
파일:롯데캐슬 BI_상하.svg파일:e편한세상 BI.svg파일:아이파크 BI_2021.svg파일:SK뷰 BI_2010.svg파일:포레나 BI.svg
파일:베르디움 BI(2019).svg파일:데시앙 로고.svg파일:디에트르 BI(1).png파일:코오롱하늘채 BI_2018.svg파일:중흥S-클래스 심볼.svg
파일:리슈빌 BI.png파일:한신더휴 리뉴얼 BI.png파일:센트레빌 BI_상하.svg파일:어울림 BI.svg파일:서희스타힐스로고.png
파일:풍경채현로고.png파일:우미 린 심볼.svg파일:동원로얄듀크 BI_상하.svg파일:사랑으로부영 BI(상하)_2015.svg파일:두산위브 BI.svg
파일:한라비발디 국문 BI(2012).svg파일:쌍용 더 플래티넘 BI.svg파일:스위첸 BI.svg파일:해링턴플레이스 심볼.svg파일:반도유보라 BI_상하.svg
파일:금강펜테리움 BI 심볼.png파일:신세계 빌리브.png파일:수자인 BI.png파일:에일린의 뜰 로고.png파일:양우내안에 BI.png
공기업의 브랜드
파일:안단테 BI.svg



파일:화성파크드림 BI.svg



1. 개요[편집]


세상을 바꾸는 녹색디자인

화성파크드림(Park Dream)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에 본사를 둔 화성산업의 아파트 브랜드이다. [1]

우방, 청구, 보성주택, 태왕과 함께 1980~1990년대에 대구를 대표하는 건설사 중 하나였고, 지금도 대구를 대표하는 건설사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화성타운, 화성파크, 화성라온빌 등 다양한 이름들이 공존하였으며 아파트 도색엔 '신생활낙원' 이라는 네이밍도 사용하였는데, 2003년부터 화성파크드림을 런칭하고 2006년에 이를 브랜드화하여 이후 지어지는 모든 아파트 명칭을 '화성파크드림' 으로 통일했다.

우방, 청구[2]와 함께 대구에서 아파트 공급을 가장 많이 하는 회사 중 하나이다.

본래는 대구 내에서의 아파트 공급 사업에 집중하였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수도권 등 타 지역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원래는 4자 금기를 했었지만 최근 들어서 4자 금기 빈도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2. BI/전용 색상[편집]


구 BI
(2003.11~2006.02)
현재 BI
(2006.02~)
파일:화성파크드림 구BI.jpg파일:화성파크드림 BI.svg

Park Dream Green
Park Dream Green
Park Dream Green
Park Dream Orange
Park Dream Blue
Park Dream Blue
Park Dream Blue


3. 지역별 단지 현황[편집]


편의상 화성타운도 함께 기재한다. 즉 화성산업과 그 자회사들이 시공한 모든 공동주택의 목록이다.

화성개발에서 시공한 단지는 더파크 문서에 기재하도록 한다.

3.1. 서울특별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내 8단지 두산화성아파트[3]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763세대1995년 12월
고덕강일지구 7단지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619세대2020년 12월
고덕강일지구 3단지[4]715세대2027년 3월 (예정)



3.2. 부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서부주공아파트[LH]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702세대2001년 5월
부산 광안동 오피스텔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131실미정
부산 양정동 오피스텔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205실미정


3.3. 대구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신동아맨션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110세대1979년 8월
송현주공 3단지[LH][5]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1,080세대1986년 11월
녹원맨션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542세대1989년 5월
안심 화성타운대구광역시 동구 신기동440세대1990년 6월
지산 화성맨션대구광역시 수성구 지산동436세대1991년 7월
월성 화성타운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385세대1991년 12월
까치아파트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690세대1992년 6월
범물서한화성[6]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612세대1992년 10월
상인영남화성타운[7]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758세대1993년 7월
상인장미 3단지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540세대1993년 9월
시지 천마타운[8]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1,095세대1994년 5월
성서보성화성타운[9]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1,240세대1994년 12월
명산 화성빌라트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105세대1995년 5월
칠곡미래타운[10]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720세대1995년 11월
칠곡 화성타운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481세대1995년 11월
대곡역 화성타운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동245세대1996년 3월
수성화성쌍용타운[11]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4가677세대1996년 11월
가람마을주공 1단지[LH][12]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1,446세대1997년 4월
대곡강산타운 4단지[13]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1,480세대1997년 12월
성서 2차 화성타운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365세대1997년 12월
성서동서화성타운[14]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1,256세대1997년 12월
화성그린빌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19세대1998년 8월
팔공그린빌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18세대1998년 10월
용산서한화성타운 1차[15]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478세대1998년 11월
칠곡화성타운 3차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동1,116세대1999년 8월
월촌보성화성타운[16]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452세대1999년 9월
복현화성타운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동370세대1999년 11월
상인화성하이츠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222세대1999년 12월
수성화성하이츠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4가260세대2000년 1월
칠곡그린빌 2단지[17]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656세대2001년 5월
화성고려파크뷰[18]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112세대2002년 12월
화성리버파크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948세대[19]2003년 5월
파동 화성파크뷰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228세대2004년 11월
만촌 화성파크스위트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291세대2005년 2월
사월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652세대[20]2006년 3월
매호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수성구 매호동143세대2006년 3월
대현뜨란채[21]대구광역시 북구 대현동1,440세대2006년 5월
캐슬골드파크 1·2·3단지[22]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1,803세대[23]2006년 8월
범어 화성파크리젠시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153세대2007년 4월
대곡역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달서구 유천동674세대2007년 12월
강북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392세대2007년 12월
신성서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534세대2007년 12월
강북2차 화성파크드림 와이드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366세대2008년 2월
수성3가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3가615세대2009년 11월
수성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374세대2009년 12월
신서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934세대2010년 2월
상인 화성파크드림[24]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2,420세대2010년 11월
달성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1,228세대2011년 2월
대실역 리슈빌 3단지[25]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597세대2012년 3월
대곡역 화성파크드림 위드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359세대2012년 7월
범어숲 화성파크드림S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404세대2013년 9월
국채보상공원 화성파크드림시티[오피스텔]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2가928실2015년 9월
대구 테크노폴리스 LH천년나무 1단지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1,390세대2016년 2월
만촌 3차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410세대2016년 4월
대구 테크노폴리스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639세대2016년 8월
침산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1,202세대2017년 9월
남산역 화성파크드림[26]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415세대2018년 9월
봉덕 화성파크드림[27]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332세대2019년 8월
고산역 화성파크드림[28]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112세대2019년 12월
하나스테이 대명[오피스텔]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296실2021년 12월
죽전역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삼동144세대2022년 10월
봉덕2차 화성파크드림[29]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499세대2022년 12월
동대구역 화성파크드림[30]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1,304세대[31]2023년 6월
수성센트럴 화성파크드림대구광역시 수성구 중동156세대2023년 8월
하나스테이 포정[오피스텔]대구광역시 중구 포정동287실2023년 8월
서대구역 화성파크드림[32]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1,594세대2023년 10월
동대구역 센텀 화성파크드림[33]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1,458세대2024년 3월 (예정)
서대구역 센텀 화성파크드림[34]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동1,404세대2024년 8월 (예정)
The 센트럴 화성파크드림[35]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365세대[36]2025년 1월 (예정)
침산 화성파크드림 더 퍼스트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250세대미정
삼일맨션 소규모재건축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192세대[37]미정
본동 공동주택대구광역시 달서구 본동250세대미정
광명아파트 재건축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동4가171세대미정
양지가로주택 재개발대구광역시 남구 대명4동159세대미정
협진아파트 소규모재건축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동198세대[38]미정
희도아파트 소규모재건축대구광역시 중구 수동172세대미정
동진아파트 가로주택정비사업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동204세대[39]미정
복현시영2차아파트 소규모재건축대구광역시 북구 복현동206세대미정
산격2동 가로주택정비사업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190세대미정
남산3 가로주택정비사업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110세대미정
남산3 재개발사업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773세대미정

3.4. 인천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구월 화성파크빌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288세대[40]2013년 6월
영종국제도시 화성파크드림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657세대2019년 9월
영종국제도시 A60[LH][41]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675세대2025년 1월

3.5. 대전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노은에코힐[LH]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356세대2015년 1월
노은LH네이처뷰[LH]687세대2015년 7월
노은 3지구 1단지600세대2015년 9월


3.6. 울산광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울산 신정동 공동주택울산광역시 남구 신정동733세대미정


3.7. 경기도[편집]



3.7.1. 고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강선마을 9단지 화성아파트고양시 일산서구 주엽동860세대1993년 5월


3.7.2. 군포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화성무궁화아파트군포시 금정동402세대1992년 11월


3.7.3. 김포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모담마을한강 화성파크드림김포시 운양동648세대2012년 6월
구래역 화성파크드림김포시 구래동740세대2015년 6월


3.7.4. 성남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효자촌 그린타운 화성 럭키[42]성남시 분당구 서현동872세대1994년 8월
매화마을 7단지 화성빌리지성남시 분당구 야탑동116세대1994년 10월


3.7.5. 시흥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정왕 화성아파트시흥시 정왕동420세대1997년 8월


3.7.6. 안양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비산 화성파크드림안양시 동안구 비산동191세대2014년 10월


3.7.7. 용인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한보라마을 3단지 화성파크드림용인시 기흥구 보라동311세대2007년 7월


3.7.8. 의왕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오전 동백아파트[43]의왕시 오전동1,074세대1995년 12월


3.7.9. 파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운정 화성파크드림 시그니처파주시 목동동1,047세대2020년 2월


3.7.10. 평택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참이슬아파트[44]평택시 합정동862세대1999년 8월
평택석정공원 화성파크드림[45]평택시 장당동1,296세대2025년 7월 (예정)


3.8. 충청남도[편집]



3.8.1. 천안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성정동 공동주택천안시 서북구 성정동535세대미정


3.9. 경상북도[편집]



3.9.1. 경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사동 2지구 화성파크드림경산시 사동505세대2010년 10월


3.9.2. 구미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화성파크 프레지던트구미시 상모동753세대[46]2004년 11월
상모사곡 화성파크드림구미시 사곡동418세대2008년 6월


3.9.3. 김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부곡 화성타운김천시 부곡동896세대1999년 1월
김천 코아루 파크드림 시티[47]김천시 율곡동469세대2016년 6월
김천혁신도시 파크드림씨티 써밋736세대2017년 5월


3.9.4. 안동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화성드림파크안동시 정하동599세대2004년 6월
용상화성파크드림안동시 용상동240세대2019년 1월


3.9.5. 영주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영주 화성라온빌영주시 휴천동210세대2005년 7월


3.9.6. 포항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우현 화성타운포항시 북구 우현동282세대1992년 9월
포항 블루밸리 화성파크드림포항시 남구 동해면691세대미정


3.9.7. 칠곡군[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인평화성타운칠곡군 북삼읍 인평리254세대1996년 12월


3.10. 경상남도[편집]



3.10.1. 거제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거제 코아루 파크드림[48]거제시 일운면767세대2018년 10월


3.10.2. 양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웅상신도시 화성파크드림양산시 명동530세대2008년 11월
명동 화성파크드림 2차양산시 명동220세대2013년 8월


3.10.3. 창원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삼계화성타운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330세대1998년 9월


3.11. 전라북도[편집]



3.11.1. 익산시[편집]


단지명소재지규모입주
부송주공 9단지[LH]익산시 부송동400세대


4.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2:29:47에 나무위키 화성파크드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계열사 화성개발도 공동으로 이 브랜드를 사용하였으나 2022년 분리경영을 선포하며 더파크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출범시켰다.[2] IMF 사태로 부도나기 전까지 약 20년 가량 대구에 지속적으로 아파트 공급을 해오고 있었다. 한때 재계 42위의 기업이었다.[3] 두산건설과 공동 시공[4] 서해종합건설과 공동 시공[LH] A B C D E F G [5] 경일건설, 대창건설과 공동 시공[6] 서한과 공동 시공[7] 영남건설과 공동 시공[8] 청구, 영남건설과 공동 시공[9] 보성주택과 공동 시공[10] 우방건설, 보성주택과 공동 시공[11] 쌍용건설과 공동 시공[12] 영남건설과 공동 시공[13] 보성주택, 영남건설, 서한과 공동 시공[14] 동서개발과 공동 시공[15] 서한과 공동 시공[16] 보성주택과 공동 시공[17] 신성과 공동 시공[18] 고려주택과 공동 시공[19] 1단지 433세대 + 2단지 515세대[20] 1단지 188세대 + 2단지 297세대 + 3단지 167세대[21] 우방과 공동 시공[22] 롯데건설과 공동 시공 / 황금주공 1·2단지 재건축[23] 1단지 1,059세대 + 2단지 242세대 + 3단지 502세대[24] 송현주공 1, 2단지 재건축[25] 계룡건설산업, 한라주택과 공동 시공[오피스텔] A B C [26] 남산4-6지구 재건축[27] 봉덕2동 재건축[28] 고산 경북아파트 재건축[29] 선주주택 재건축[30] 신암4동 재건축[31] 아파트 1,079세대, 오피스텔 225실[32] 평리7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33] 신암2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34] 평리5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35] 신천 백합맨션 재건축[36] 아파트 257세대, 오피스텔 108실[37] 아파트 138세대, 오피스텔 54실[38] 아파트 165세대, 오피스텔 33실[39] 아파트 148세대, 오피스텔 56실[40] 전 세대 오피스텔[41] 경남기업, 삼진씨앤씨, 명덕건설과 공동시공[42] LG건설과 공동 시공[43] 코오롱글로벌,경남기업과 공동 시공[44] 경남기업과 공동 시공[45] 민간특례사업[46] 1단지 328세대, 2단지 425세대[47] 한국토지신탁과 공동 개발[48] 한국토지신탁과 공동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