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살-1라-3

덤프버전 : (♥ 0)


북한이 생산한 미사일 및 어뢰 종류
[ 펼치기 · 접기 ]
단거리KN-02/화성-11(160km, 220km) · KN-09/KN-16(180km, 200km) · 화성-11나(450km) · 조종방사포/KN-25(250km, 400km) · KN-24/화성-11나(450km) · 스커드/화성-5·6(340km, 700km) · KN-23(600km, 800km)
준중거리SCUD-ER(1,000km) · 노동/화성-7(1,300km) · KN-15/북극성-2(1,300km) · 극초음속 2형(2,000km)
중거리화성-8(극초음속, 3,200km) · 무수단/화성-10(4,000km) · KN-17/화성-12(6,000km)
대륙간KN-08, KN-14/화성-13 · KN-20/화성-14(10,000km) · KN-22/화성-15(13,000km) · 화성-17(15,000km)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대포동 1호/백두산 로켓(1998) · 대포동 2호/은하 로켓(2006) · 대포동 3호/은하 2호/광명성 2호(2009)
은하 3호/광명성 3호(2012년 4월, 12월) · 광명성 4호(2016)
SLBMKN-23 개량 SLBM(590km) · KN-11/북극성(1,300km) · KN-26/북극성-3(2,500km) · 북극성-4 · 북극성-5
지대공KN-06 (S-300, HQ-9 기반), KN-07 (S-400, HQ-9 기반)
함대함KN-01 (실크웜 기반) · 금성 3호 (KH-35 기반)
지대함KN-18(대함 탄도탄) · KN-19 (지대함 버젼)
어뢰CHT-02D · PT-97W
미분류불새-2/3 (9M111 Fagot 기반), 신형 대전차 미사일, KN-12/KN-13
파일:2019 국방백서 북한 미사일.png


전략순항미싸일
《화살-1라-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화살 계열 순항미사일
파일:화살-1라-3.jpg
2024년 4월 19일, 2차 시험발사 때의 모습
발사 플랫폼지상 TEL
최대사거리불명

1. 개요
2. 상세
2.1. TEL
3. 1차 시험 발사
4. 2차 시험 발사



1. 개요[편집]


북한이 북한이 2024년 2월 2일 첫 시험 발사한 지상 발사 순항 미사일. '초대형전투부'를 탑재한 화살-1의 대형화 개량형이다.


2. 상세[편집]


2024년 2월 2일 별찌-1-2형과 함께 첫 시험 발사가 진행됐다. '초대형전투부 위력시험'이라 하여 화성-11가의 대형화 개량형처럼 화살 순항미사일의 대형화 개량형임을 시사했다.
아후 4월 19일 2차 시험발사를 보도하며 '화살-1라-3'형이란 명칭을 공개해 화살-1의 개량형임이 확인됐다.


2.1. TEL[편집]


파일:화살-2 3차 시험 발사.png
화살-2의 8륜 TEL

파일:화살-1라-3 TEL.jpg
화살-1라-3의 10륜 TEL

기존 화살-1/2형이 화성-11나, 별찌-1-2 등과 공유하는 8륜 TEL을 사용했다면, 화살-1라-3은 대형화된 형식 답게 위 TEL과 캐빈 부분을 공유하는 새 10륜 차대를 사용한다.


3. 1차 시험 발사[편집]


파일:초대형전투부.jpg
2월 2일 1차 시험 발사
2024년 2월 2일 서해상으로 1차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


4. 2차 시험 발사[편집]


파일:화살-1라-3.jpg
4월 19일 2차 시험 발사
2024년 4월 19일 서해상으로 2차 시험 발사를 진행했다.
명칭이 《화살-1라-3》임이 처음 공개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20 12:25:39에 나무위키 화살-1라-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