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팔결로

덤프버전 :

||




대한민국의 일반국도·지방도
540번 지방도
청주시 오창읍 방면
오창대로
팔결로
(공항사거리 ~ 팔결교삼거리)
증평 방면
팔결신대로

八結路 / Palgyeol-ro

1. 개요
2. 구간


파일:palgyeolnew.jpg
팔결로 190, 오근장육교 일대(2018년 2월 25일 촬영)[1]


1. 개요[편집]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근장동과 오창읍을 잇는 길.

이름의 유래는 특이하게도 지명이 아니라 다리의 이름이다. '팔결다리', '팔결교'라고 불리는 미호천의 해당 다리는 예전부터 그 이름으로 불렸는데 설도 몇 개 있다. 인근 나룻터의 요금이 8결이었다는 설, 강 줄기가 8개 합쳐졌다는 설, '북일, 북이, 강서, 강외, 강내, 오창, 옥산, 청주' 여덟 마을이 있어서라는 설. 혹은 이 일대의 미호천을 팔결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다.# 아무튼 이 길이 지나는 다리 '팔결교' 인근을 뜻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 길로 이어지는 오근장과 오창은 지명에서도 오동나무 오(梧)가 같은 유래일 정도로 서로 밀접했던 동네이다. 이 '팔결교'라는 이름은 바로 옆의 공항로의 다리 역시 똑같이 쓰고 있다. 좀 더 나중에 크게 지은 다리 같아보이니 '팔결대교'라고 붙이는 게 혼동은 좀 덜했을 것 같다.

청원구 내에서 미호천을 건너는 길은 3순환로(공항대교), 공항로, 그리고 이 팔결로뿐이다. 이보다 동쪽에서는 신대석성로(석성교)가 미호천을 건너는데, 그쪽은 북쪽 건너편이 진천군이다. 이 때문에 청주시/통합 청주시 성립과정에서 오창읍흥덕구에 넣자는 안이 있기도 하였다.충북일보(2013.04.18), 통합 청주시 4개구 'X축 분구' 확실시: 3안 사실 흥덕구 쪽에도 미호천을 넘는 다리가 없는 건 매한가지라 청주역로는 허구한 날 막힌다.

똑같이 '팔결'이 들어가는 도로로는 팔결신대로가 있다. 팔결로 330에서 동쪽으로 분기하는 길이다.

공항로가 지어지기 전에는 이 도로가 17번 국도였다. 2002년 12월 31일에 현재의 공항로가 지어지며 팔결로 율량교차로 - 복현교차로 구간이 국도에서 지정해제 되었다. 이 중 공항로 292 이남 구간은 공항로와 중복되어 팔결로는 여기에서 끊어진다. 오창에서 직결되는 복현로문진로를 이어보면 자연스럽게 진천 방향으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구간이 예전 17번 국도임을 짐작할 수 있다. 복현교차로 이북 구간은 2003년 12월 20일에 지정해제되었으며 현재는 생거진천로가 17번 국도의 역할을 하고 있다.


2. 구간[편집]


남쪽 기점 (공항로 292)
소재지교차로명번호교차하는 도로국도/지방도



주중동종축장삼거리0번공항로
40번주중로
외남동140번외평로
150번3순환로
190번토성로
외남로
외평동공항사거리280번오창대로
(540번 지방도)
540번 지방도
외하동팔결교삼거리330번팔결신대로
(540번 지방도)
(구)팔결교 (미호천)






가곡리오창제방길
괴정리가곡삼거리460번공항로
(17번 국도)
가곡길
540번괴정길
도암길
600번괴정1길
도암길
오창중학교삼거리*620번공항로
(17번 국도)
장대리670번중부로
(508번 지방도)
680번
705번
710번
715번
오창시내1길
오창시내3길
오창시내4길
오창시내5길
720번두릉유리로
화복로
북쪽 종점 (두릉유리로 1150, 화복로와 직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2:29:31에 나무위키 팔결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도로가 약간 위로 올라가있는 것은 이 북쪽의 충북선을 넘어가기 위해 오근장육교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