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한자

덤프버전 :



규정에서 사용을 강제하는 템플릿입니다.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인문사회한자 관련 문서 문단에서 사용을 강제하는 템플릿이며, 이 템플릿의 수정 시 나무위키:기본방침규정의 개정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1. 규정 해설 안내
2. 기본정보 표 관련 지침
2.1. 표 형식 및 문법
2.2. 세칙
2.3. 실제 예시


1. 규정 해설 안내[편집]




2. 기본정보 표 관련 지침[편집]



2.1. 표 형식 및 문법[편집]



부수
나머지 획수
, ④획총 획수⑤획
교육용어문회 급수
신자체
일본어 음독⑨,
일본어 훈독⑪,
간체자
표준 중국어⑭,
{{{-3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설명:

①: 표준자형
②: 대표훈음(ex.하늘 천)
③: 부수(제부수 한자일 경우에는 하이퍼링크를 지울 것)
④: 부수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획수
⑤: 총 획수
⑥: 교육용 한자 배당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미배정' 중의 하나)
⑦: 급수(읽기 기준, 'XX급' 또는 '미배정')
⑧: 해당 한자의 신자체(확장신자체일 경우에는 #c88(연한 빨간색)로 표기할 것)
⑨: 일본어 음독(상용)
: 일본어 음독(비상용)
⑪: 일본어 훈독(상용)
: 일본어 훈독(비상용)
⑬: 해당 한자의 간체자
⑭: 표준 중국어 독음(상용)
: 표준 중국어 독음(비상용)
  • 비상용독음(⑩, ⑫, ⑮)이 없더라도 {{{#c88 }}} 색상 문법을 유지합니다.


문법:
||<-8><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dcdcdc,#434343><bgcolor=#fff,#1f2023>
② || ||<-2><width=25%>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③|{{{#000,#fff ③}}}]], ④획
||<-2><width=25%>
{{{-1 '''총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⑤획
|| ||<-2>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2>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⑦ 한자|{{{#000,#fff ⑦}}}]]
|| ||<-8>|| ||<-2>
{{{-1 '''[[신자체]]'''}}}
||<-6>
{{{#!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⑧</span>}}}
|| ||<-2>
{{{-1 '''일본어 음독'''}}}
||<-6>
⑨, {{{#c88 ⑩}}}
|| ||<-2>
{{{-1 '''일본어 훈독'''}}}
||<-6>
⑪, {{{#c88 ⑫}}}
|| ||<-8>|| ||<-2>
{{{-1 '''[[간체자]]'''}}}
||<-6>
{{{#!html <span lang="zh-CN" style="font-family: Microsoft YaHei, SimHei, SimSun">⑬</span>}}}
|| ||<-2>
{{{-1 '''표준 중국어'''}}}
||<-6>
⑭, {{{#c88 ⑮}}}
|| ||<-8>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만약 본 한자가 유니코드의 SIP, TIP에 배정되어 있을 경우 다음의 표를 이용합니다.

부수
나머지 획수
, ④획
총 획수
⑤획
일본어 음독
⑨,
일본어 훈독
⑪,
표준 중국어
⑭,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설명:
⑯: 한자 모양 설명 문자를 사용하여 그 한자의 형태 설명. 자세한 방법은 본 문서 참고 바랍니다.


문법:
||<-8><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dcdcdc,#434343><bgcolor=#fff,#1f2023>
{{{-2 ⑯}}}[br]② || ||<-2><width=25%>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③|{{{#000,#fff ③}}}]], ④획
||<-2><width=25%>
{{{-1 '''총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⑤획
|| ||<-2>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2>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⑦ 한자|{{{#000,#fff ⑦}}}]]
|| ||<-8>|| ||<-2>
{{{-1 '''[[신자체]]'''}}}
||<-6>
{{{#!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⑧</span>}}}
|| ||<-2>
{{{-1 '''일본어 음독'''}}}
||<-6>
⑨, {{{#c88 ⑩}}}
|| ||<-2>
{{{-1 '''일본어 훈독'''}}}
||<-6>
⑪, {{{#c88 ⑫}}}
|| ||<-8>|| ||<-2>
{{{-1 '''[[간체자]]'''}}}
||<-6>
{{{#!html <span lang="zh-CN" style="font-family: Microsoft YaHei, SimHei, SimSun">⑬</span>}}}
|| ||<-2>
{{{-1 '''표준 중국어'''}}}
||<-6>
⑭, {{{#c88 ⑮}}}
|| ||<-8>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2.2. 세칙[편집]


  • 한자의 표준자형, 대표훈음, 부수, 나머지 획, 총획수, 급수는 한국어문회의 배정한자표에서 지정한 것(링크)을 따릅니다.
  • 한국에서 사용되나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에 없는 한자의 대표훈음은 그 한자의 용례를 고려하여 기재합니다.
  • 한국에서 사용되지 않는 한자의 경우 대표훈음은 기재하지 않으며, 부수 및 획수는 유니코드(링크)에서 지정한 것을 따릅니다.
  • 한자의 부수는 형태의 변형 여부에 상관없이 본래의 형태로 기재합니다.
  • 신자체는 「상용한자표」(常用漢字表, 링크)에서 구자체가 등재된 것에 한하여 별도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신자체가 한국의 표준자형과 일치할 경우에는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 구자체가 등재되지 않았으나, 일본의 표준자형과 한국의 표준자형이 유의미하게 다르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일본의 표준자형을 신자체로 별도 기재할 수 있습니다.
    • 표외한자의 신자체, 소위 '확장신자체(拡張新字体)'는 #c88(연한 빨간색)로 표기합니다.
  • 일본어 독음 기재는 「상용한자표」를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음독은 가타카나로, 훈독은 히라가나로 표기하며, 훈독의 경우 오쿠리가나의 경계는 붙임표(-)로 표기합니다.
      • 단, 아테지 등과 같은 외국어 훈독은 가타카나로 표기합니다.
    • 상용한자표에 등재된 독음이지만 특이한 독음이라고 명시되어 있을 경우에는 괄호를 표기하며, 미등재된 독음 또는 표외한자의 독음은 비상용독음으로 간주합니다.
  • 간체자는 「통용규범한자표」(通用规范汉字表, 링크)에서 번체자 혹은 이체자가 명시된 것에 한하여 별도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간체자가 한국의 표준자형과 일치할 경우에는 별도로 표기하지 않습니다.
    • 번체자가 등재되지 않았으나, 중국 대륙의 표준자형과 한국의 표준자형이 유의미하게 다르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중국 대륙의 표준자형을 간체자로 별도 기재할 수 있습니다.
  • 표준중국어 독음 기재는 「통용규범한자자전」(通用规范汉字字典, 링크)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독음은 한어병음으로만 기재합니다.
    • 「통용규범한자자전」에 미등재된 독음 또는 「통용규범한자표」 기준 일급자나 이급자가 아닌 한자의 독음은 비상용독음으로 간주합니다.
    • 대만에서 쓰이는 독음과 중국 대륙에서 쓰이는 독음이 다를 경우에는 대만에서 쓰이는 독음을 비상용독음으로 간주합니다. 이때 대만 표준음은 「교육부국어사전간편본」(敎育部國語辭典簡編本, 링크)을 따릅니다.
  • 한자의 상용독음은, 3국에 대해 각각 한국어문회의 배정한자표, 「상용한자표」, 「통용규범한자자전」에 등재된 순서대로 기재합니다.
    • 상용독음으로 등재되지 않은 한, 다른 한자의 통가자로 사용될 때의 독음은 원칙적으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 비상용독음은 상용독음보다 뒤에 사전순으로 기재하며, #c88(연한 빨간색)로 표기합니다.
    • 일본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오십음도 순서를 따릅니다(JIS X 4061(링크)의 4.4.10 및 5.1 참고).
    • 중국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라틴 문자 순서를 따릅니다(GB/T 13418-1992(링크)의 5.1.1, 5.2.5.5 및 5.2.6.6 참고).


2.3. 실제 예시[편집]


집 관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7획
고등학교
[1]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やかた, たち, たて
표준 중국어
gu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펼치기 · 접기 ] 館 문법 확인
||<-8><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dcdcdc,#434343><bgcolor=#fff,#1f2023>
집 관 || ||<-2><width=25%>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食|{{{#000,#fff 食}}}]], 8획
||<-2><width=25%>
{{{-1 '''총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17획
|| ||<-2>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고등학교
||<-2>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1 '''[[신자체]]'''}}}
||<-6>
{{{#!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館</span>}}}[* [[食]](밥 식)변이 ⻞의 형태가 아닌 飠의 형태이다.]
|| ||<-2>
{{{-1 '''일본어 음독'''}}}
||<-6>
カン{{{#c88 }}}
|| ||<-2>
{{{-1 '''일본어 훈독'''}}}
||<-6>
やかた, {{{#c88 たち, たて}}}
|| ||<-8>|| ||<-2>
{{{-1 '''[[간체자]]'''}}}
||<-6>
{{{#!html <span lang="zh-CN" style="font-family: Microsoft YaHei, SimHei, SimSun">馆</span>}}}
|| ||<-2>
{{{-1 '''표준 중국어'''}}}
||<-6>
guǎn{{{#c88 }}}
|| ||<-8>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즐길 락, 노래 악, 좋아할 요
부수
나머지 획수
, 11획
총 획수
15획
중학교
일본어 음독
ガク, ラク, ギョウ, ゴウ
일본어 훈독
たの-しい, たの-しむ, かな-でる, この-む
표준 중국어
lè, yuè, lào, yà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펼치기 · 접기 ] 樂 문법 확인
||<-8><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dcdcdc,#434343><bgcolor=#fff,#1f2023>
즐길 락, 노래 악, 좋아할 요 || ||<-2><width=25%>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木|{{{#000,#fff 木}}}]], 11획
||<-2><width=25%>
{{{-1 '''총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15획
|| ||<-2>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중학교
||<-2>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1 '''[[신자체]]'''}}}
||<-6>
{{{#!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楽</span>}}}
|| ||<-2>
{{{-1 '''일본어 음독'''}}}
||<-6>
ガク, ラク, {{{#c88 ギョウ, ゴウ}}}
|| ||<-2>
{{{-1 '''일본어 훈독'''}}}
||<-6>
たの-しい, たの-しむ, {{{#c88 かな-でる, この-む}}}
|| ||<-8>|| ||<-2>
{{{-1 '''[[간체자]]'''}}}
||<-6>
{{{#!html <span lang="zh-CN" style="font-family: Microsoft YaHei, SimHei, SimSun">乐</span>}}}
|| ||<-2>
{{{-1 '''표준 중국어'''}}}
||<-6>
lè, yuè, {{{#c88 lào, yào}}}
|| ||<-8>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머리 혈
부수
나머지 획수
頁, 0획
총 획수
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ケツ, ヨウ
일본어 훈독
かしら, ページ
표준 중국어
yè, xié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펼치기 · 접기 ] 頁 문법 확인
||<-8><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dcdcdc,#434343><bgcolor=#fff,#1f2023>
머리 혈 || ||<-2><width=25%>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頁, 0획
||<-2><width=25%>
{{{-1 '''총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9획
|| ||<-2>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미배정
||<-2>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1 '''[[신자체]]'''}}}
||<-6>
{{{#!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span>}}}
|| ||<-2>
{{{-1 '''일본어 음독'''}}}
||<-6>
{{{#c88 ケツ, ヨウ}}}
|| ||<-2>
{{{-1 '''일본어 훈독'''}}}
||<-6>
{{{#c88 かしら, ページ}}}
|| ||<-8>|| ||<-2>
{{{-1 '''[[간체자]]'''}}}
||<-6>
{{{#!html <span lang="zh-CN" style="font-family: Microsoft YaHei, SimHei, SimSun">页</span>}}}
|| ||<-2>
{{{-1 '''표준 중국어'''}}}
||<-6>
yè, {{{#c88 xié}}}
|| ||<-8>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부수
나머지 획수
, 2획
총 획수
5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こ-む, こ-める
-
표준 중국어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펼치기 · 접기 ] 込 문법 확인
||<-8><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dcdcdc,#434343><bgcolor=#fff,#1f2023>
[br] || ||<-2><width=25%>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辵|{{{#000,#fff 辵}}}]], 2획
||<-2><width=25%>
{{{-1 '''총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5획
|| ||<-2>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미배정
||<-2>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000,#fff 미배정}}}
|| ||<-8>|| ||<-2>
{{{-1 '''[[신자체]]'''}}}
||<-6>
{{{#!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span>}}}
|| ||<-2>
{{{-1 '''일본어 음독'''}}}
||<-6>
-{{{#c88 }}}
|| ||<-2>
{{{-1 '''일본어 훈독'''}}}
||<-6>
こ-む, こ-める{{{#c88 }}}
|| ||<-8>|| ||<-2>
{{{-1 '''[[간체자]]'''}}}
||<-6>
{{{#!html <span lang="zh-CN" style="font-family: Microsoft YaHei, SimHei, SimSun">-</span>}}}
|| ||<-2>
{{{-1 '''표준 중국어'''}}}
||<-6>
-{{{#c88 }}}
|| ||<-8>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𰜩
⿰氵恩
물 이름 은
부수
나머지 획수
, 10획
총 획수
14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펼치기 · 접기 ] 𰜩 문법 확인
||<-8><table align=right><table width=350><table bordercolor=#dcdcdc,#434343><bgcolor=#fff,#1f2023>
𰜩
{{{-2 ⿰氵恩}}}[br]물 이름 은 || ||<-2><width=25%>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水|{{{#000,#fff 水}}}]], 10획
||<-2><width=25%>
{{{-1 '''총 획수'''}}}
||<-2><width=25%><colbgcolor=#fff,#1f2023>
14획
|| ||<-2>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미배정
||<-2>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000,#fff 미배정}}}
|| ||<-8>|| ||<-2>
{{{-1 '''[[신자체]]'''}}}
||<-6>
{{{#!html <span lang="ja" style="font-family: MS PGothic, MS Gothic, Meiryo, MS PMincho, MS Mincho, Hiragino Kaku Gothic Pro">-</span>}}}
|| ||<-2>
{{{-1 '''일본어 음독'''}}}
||<-6>
-{{{#c88 }}}
|| ||<-2>
{{{-1 '''일본어 훈독'''}}}
||<-6>
-{{{#c88 }}}
|| ||<-8>|| ||<-2>
{{{-1 '''[[간체자]]'''}}}
||<-6>
{{{#!html <span lang="zh-CN" style="font-family: Microsoft YaHei, SimHei, SimSun">-</span>}}}
|| ||<-2>
{{{-1 '''표준 중국어'''}}}
||<-6>
-{{{#c88 }}}
|| ||<-8>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3:43:03에 나무위키 템플릿:한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밥 식)변이 ⻞의 형태가 아닌 飠의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