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템플릿:태풍

덤프버전 :




편집 전 지침사항

[ 펼치기 · 접기 ]

1. 위성사진은 최전성기 당시 및 가장 최근(활동 중인 태풍 한정)의 사진을 첨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진로도는 영문 위키백과의 진로도를 권장합니다. 가장 최근에 수정되었거나 갱신된 진로도 이미지를 첨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과거에 3등급으로 해석된 태풍이 사후 해석으로 인해 4등급으로 상향 조정된 사례가 존재합니다.)
3. 활동 기간은 JMA 베스트 트랙(사후해석) 기준으로, 발생일과 소멸일은 각각 태풍 이름이 부여된 날짜와 시간, 태풍 지위를 상실한 날짜와 시간을 24시간 형식으로 기입합니다.[a]
4. 영향 지역은 태풍의 직접 및 간접[1] 영향을 받은 국가 또는 해당 국가의 세부 행정 구역을[2] 기입합니다.
5. 최저 기압은 JMA 베스트 트랙(사후해석) 기준으로 기입합니다.[*a ][b]
6. 1분 최대풍속은 JTWC 베스트 트랙(사후해석) 기준으로 기입합니다.[*a ]
7. 10분 최대풍속은 JMA 베스트 트랙(사후해석) 기준으로 기입합니다.[*a ][b]
8. 영향 지역의 강조체 적용은 가장 강하게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3]
※ 태풍 뿐만 아니라 허리케인이나 사이클론 프로필로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a] 단, 베스트 트랙 발표 전일 때는 속보 해석치를 임시적으로 기입[1] 해당 국가에서 태풍 특보로 강화되지 않았다고 해도 그에 준하는 강풍, 풍랑, 폭풍해일, 호우특보가 내려집니다. 이런 경우, 직접이 아닌 간접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해야 합니다.[2] 중국이나 미국, 러시아같이 영토가 대단히 큰 국가이거나 영향을 준 태풍의 세력이 약하거나 태풍과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 국가의 영토 전체가 아닌 일부만 영향을 받은 경우에 한정합니다.[b] A B 단, 한반도 영향 태풍 등 국내 정보가 필요한 경우 한국 기상청(KMA) 해석 추가 기입 가능[3] 중복 표기가 가능합니다. 예시로 필리핀과 대만, 일본, 대한민국이 매우 큰 영향을 받았고, 중국, 북한, 러시아는 비교적 작은 영향을 받은 경우 <필리핀, 대만, 중국, 일본, 대한민국, 북한, 러시아> 식으로 표기합니다.

1. 태풍 정보 템플릿
1.1. 기본형
1.1.1. 그라데이션형
1.2. 신버전
2. 연도별 태풍 템플릿
3. 태풍 등급 색상표
4. 국가별 태풍 구분 목록
4.1. 태풍 크기
4.2. 태풍 강도
4.3. 번외: 간편 SSHS 등급별 풍속
4.4. 번외 2: 풍속 단위 kn의 m/s 반올림 계산법
4.5. 번외 3: 태풍 T값 목록


1. 태풍 정보 템플릿[편집]



1.1. 기본형[편집]


YYYY년 제K호 태풍 ○○○
위성사진
파일:위성사진 첨부.png
진로도
파일:진로도 첨부.png
활동 기간YYYY년 M월 D일 h시~M월 D일 h시
영향 지역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태풍 등급예시) 4등급[JTWC]
10분 등급예시) 매우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예시) 대형(직경 1020 km, 반경 510 km)
최저 기압--- hPa
최대 풍속1분 평균-- m/s
10분 평균-- m/s


1.1.1. 그라데이션형[편집]


YYYY년 제K호 태풍 ○○○
위성사진
파일:위성사진 첨부.png
진로도
파일:진로도 첨부.png
활동 기간YYYY년 M월 D일 h시~M월 D일 h시
영향 지역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태풍 등급예시) 4등급[JTWC]
10분 등급예시) 매우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예시) 대형(직경 1020 km, 반경 510 km)
최저 기압--- hPa
최대 풍속1분 평균-- m/s
10분 평균-- m/s


1.2. 신버전[편집]


YYYY년 제K호 태풍 OOO
[ 태풍 등급 펼치기 · 접기 ]

(태풍전성기 당시 등급) (KMA)
(태풍전성기 당시 등급) (JMA)
(태풍전성기 당시 등급) (SSHS)

위성사진
파일:위성사진 첨부.png
진로도
파일:진로도 첨부.png
활동 기간
YYYY년 M월 D일 h시~YYYY년 M월 D일 h시
영향 지역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100%]]{{{#!html }}}{{{#!html 출력=inline국가]]

태풍 크기
예시) 중형(직경 950 km)[1]
예시) 4등급[JTWC]
예시) 매우 강한 태풍[JMA]
최저 기압
--- 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 m/s
10분 평균
-- m/s
피해상황
사망자x명
실종자y명
부상자z명
피해총액
(화폐단위) 00,000 달러
(한화 약 000원)


2. 연도별 태풍 템플릿[편집]


XXXX년 태풍
[ 펼치기 · 접기 ]

4등급 태풍2등급 태풍1등급 태풍미발생 태풍
← XXXX-1년 태풍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아직 발생하지 않은 태풍은 취소선 표기.XXXX+1년 태풍 →



3. 태풍 등급 색상표[편집]


태풍 등급의 색상표는 다음과 같습니다.[참고3]

1분 기준
태풍 등급미발생
태풍 등급열대요란
태풍 등급열대저기압
태풍 등급열대폭풍
태풍 등급1등급
태풍 등급2등급
태풍 등급3등급
태풍 등급4등급
태풍 등급5등급
10분 기준(JMA)
강한 태풍 이후의 색은 1분 기준 색을 적용
10분 등급미발생
10분 등급열대저기압
10분 등급열대폭풍
10분 등급강한 열대폭풍
10분 등급강한 태풍
10분 등급매우 강한 태풍
10분 등급맹렬한 태풍
10분 등급맹렬한 태풍

※ 보라색 바탕의 등급은 작성 당시 위키백과에서 단 한번도 쓰인 적이 없던 나무위키만의 오리지널 등급으로, 명칭은 같으나 해당 등급은 10분풍속 62m/s(120kn) 이상을 충족해야 적용이 가능한 등급입니다.
※ 다크 모드와 라이트 모드 간의 색상에 차이가 있습니다. 라이트 모드에서의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두 색상 모두를 적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국가별 태풍 구분 목록[편집]



4.1. 태풍 크기[편집]


1. JTWC는 상세한 크기 정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2. 대한민국 기상청반경을, 일본 기상청직경으로 구분하며, 반경은 직경의 절반입니다.

3. 태풍 크기는 반드시 JMA의 값으로 기입합니다. 크기 구분은 아래와 같습니다.[이유]

대한민국 기상청
소형반경 300km 미만
중형반경 300~500km
대형반경 500~800km
초대형반경 800km 이상
일본 기상청
소형직경 600km 미만
중형직경 600~1000km
대형직경 1000~1600km
초대형직경 1600km 이상


4.2. 태풍 강도[편집]


1. 일본 기상청의 m/s 값은 반올림으로 세세한 풍속값을 생략하여 부정확하고 불편합니다. 따라서, 옆에 있는 괄호로 감싼 몇 노트(knots)[2]로 쓰인 풍속값을 차용합니다.

2. 일본한국 기상청10분 풍속을, JTWC1분 풍속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분 풍속값이 10분 풍속값보다 더 높으나, 예외 사례가 존재합니다.(예시:2013년 태풍 마니)

3. JTWC의 태풍 세력 구분은 일반적이지 않으나 상세하게 살펴보면 구분이 가능합니다. 열대요란의 경우 '96W',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했을 경우 'TD 04W'로 명칭이 변경되며, 열대폭풍으로 발달했을 경우 'TS 04W', 태풍으로 발달했을 경우 'TY 04W', 또한 슈퍼태풍으로 발달했을 경우 'STY 04W'로 표기됩니다.

대한민국 기상청
열대저압부17m/s 미만
17~24m/s
25~32m/s
33~43m/s
매우 강44~53m/s
초강력54m/s 이상
일본 기상청
열대저기압35kn 미만
35~45kn
50~60kn
65~80kn
매우 강85~100kn
맹렬105kn 이상
JTWC
열대요란25kn 미만
열대저기압25~30kn
열대폭풍35~60kn
태풍65~125kn
슈퍼태풍130kn 이상


4.3. 번외: 간편 SSHS 등급별 풍속[편집]


SSHS
등급m/s노트(knots)파고(feet)
TD[3]17m/s 이하33kn 이하0 m0 ft
TS[4]18~32m/s34~63kn0~0.9 m0~3 ft
C133~42m/s65~82kn1.2~1.5 m4~5 ft
C243~49m/s85~95kn1.8~2.4 m6~8 ft
C350~58m/s100~113kn2.7~3.7 m9~12 ft
C459~66m/s115~125kn4.0~5.5 m13~18 ft
슈퍼태풍
C467~69m/s130~135kn4.0~5.5 m13~18 ft
C570m/s 이상136kn 이상5.5 m 이상19 ft 이상


4.4. 번외 2: 풍속 단위 kn의 m/s 반올림 계산법[편집]


2020년 제19호 태풍 고니의 사례처럼 명확한 기준 및 규칙이 없어서 풍속값 반올림 적용에 관한 의견이 갈리는 상황이라 자체적으로 이렇게 작성하게 되었습니다.[5]

풍속값[kn]반올림 적용[m/s]반올림 미적용[m/s]
열대요란
1587.716
201010.288
열대저기압
251312.861
301515.433
열대폭풍
351818.005
402120.577
452323.15
강한 열대폭풍
502625.722
552828.294
603130.866
1등급
653333.438
703636.011
753938.583
804141.155
2등급
854443.727
904646.3
954948.872
3등급
1005151.444
1055454.016
1105756.588
4등급
1155959.161
1206261.733
1256464.305
1306766.877
1356969.45
5등급
1407272.022
1457574.594
1507777.166
1558079.738
1608282.311
1658584.883
1708787.455
1759090.027
1809392.6
1859595.172


4.5. 번외 3: 태풍 T값 목록[편집]


1. 대응 1분풍속은 완벽하게 맞아 떨어지지 않으니 어디까지나 참고용으로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태풍 T값 목록
T값대응 1분풍속[m/s]대응 10분풍속[m/s]대응 SSHS대응 태풍 등급[6]
1.0~10~8D / LPA열대요란
1.510~138~10TD열대저압부
2.013~1810~15
2.518~2318~23TS열대폭풍
3.021~2621~26
3.526~3326~31강한
열대폭풍
4.033~3928~33C1
4.539~4633~39강한 태풍
5.044~5439~44C2
5.551~5941~49C3
6.059~6746~51C4매우 강한 태풍
6.564~7249~54
7.072~7754~59C5맹렬한 태풍
7.577~8557~62
8.0[7]85~62~맹렬한 태풍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8:13:53에 나무위키 템플릿:태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형 혹은 초대형인 경우 초대형(직경 xxxxkm)[참고3] 위키백과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색상들입니다. 다만 1분 풍속과 10분 풍속의 일부 등급들 한정이며 나머지 등급들은 전부 나무위키 고유의 색상과 문법을 사용했습니다.[이유] KMA의 경우 그 값이 정확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않습니다. JTWC의 경우 태풍 크기 값이 공개되지 않아 관계자가 아니면 확인이 불가능합니다.[2] 본래 'kt'로 표기되어 있으나 폭발력의 단위로도 쓰이는 킬로톤(Kiloton)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정규 기호인 'kn'으로 표기한다.[3] 열대저기압(Tropical Depression)[4] 열대폭풍(Tropical Storm)[5] 강조체로 작성된 값은 반올림 관련 의견이 분분한 값이다.[kn] 노트, knots[m/s] A B C D 초속 n미터, Meter per Second[6] 일본 기상청 기준[7] 사실상 상징적인 등급이나, 이 등급에 도달한 태풍이 21세기에만 3개나 있다. 바로 2013년 제30호 태풍 하이옌, 2020년 제19호 태풍 고니, 2023년 제2호 태풍 마와르가 그 주인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