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취희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금관가야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수로왕거등왕마품왕거질미왕이시품왕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좌지왕취희왕질지왕겸지왕구형왕
봉사손봉사손봉사손봉사손봉사손
김세종김솔지김무력김서현김유신
대가야
초대계보 미상제?대제?대제?대
이진아시왕금림왕기본한기하지왕
계보 미상제9대계보 미상제16대태자
이뇌왕도설지왕월광태자
소가야(족보상 언급)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말로왕대아왕미추왕소간왕아도왕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질노왕거아왕달나왕이형왕
아라가야탁순국탁국
제?대제?대말대제?대말대
가실왕말금한기아리사등기능말다간기함파한기



왕호취희왕(吹希王)
별호질가왕(叱嘉王) / 김희왕(金喜王)
시호(?)혜왕(惠王)(?)[1]
성씨김(金)
희(喜) / 취희(吹希) / 질가(叱嘉)[2]
왕후인덕(仁德)
왕자김질지(金銍知)
부왕좌지왕(坐知王)
모후복수(福壽)
생몰연도? ~ 451년 2월 3일
재위기간421년 4월 12일 ~ 451년 2월 3일 (29년)

1. 소개
2. 가실왕과의 연관성
3. 기록
3.1. 《삼국유사》 가락국기
3.2. 《삼국유사》 왕력


1. 소개[편집]


금관국 7대 왕. 질가(叱嘉)나 김희(金喜)라고 불리기도 한다. 김해 김씨 족보에는 혜왕(惠王)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31년간 나라를 다스렸다. 왕비는 각간 진사(進思)의 딸 인덕(仁德)이고 사이에서 질지를 낳았다.


2. 가실왕과의 연관성[편집]


가실왕이 이 사람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본 학자들이 가락국기의 내용을 무시하고 주장한 내용으로 취희왕과 아들인 질지왕, 손자인 겸지왕이 모두 가실왕과 동일인이라는 주장이다. 그래서 가야금을 만든 시기도 이 시기일 것이라는 설이 제기된다. 두산백과나 위키백과에도 이 설을 따라 기재되어 있지만 가실왕은 우륵과 동시대 사람이고 우륵진흥왕과 동시대 사람인데 진흥왕의 재위 기간은 540년~576년이다.


3. 기록[편집]



3.1. 《삼국유사》 가락국기[편집]


질가(叱嘉)라고도 한다. 김씨이다. 영초 2년에 즉위해 31년 동안 다스리다가 원가 28년 신묘에 붕했다. 왕비는 진사 각간의 딸 인덕인데 왕자 질지를 낳았다.



3.2. 《삼국유사》 왕력[편집]


제7대 취희왕(吹希王)

김희(金喜)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좌지왕이다. 어머니는 복수(福壽)이다. 신유년(421년)에 즉위하여 30년 동안 다스렸다.

第七 吹希王

一云金喜 父坐知王 母福壽 辛酉立 治三十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6:33:04에 나무위키 취희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해 김씨 족보에 기록된 시호.[2] 가(嘉)를 자획이 유사한 희(喜)로 치환하면 '질희(叱喜)'가 되는데, 이는 '취희'와 음이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