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년팔원선

덤프버전 :

1. 개요
2. 지선
3. 평덕선과 청년팔원선, 어느 역이 시종착역인가?
4.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청년팔원선.jpg
구장청년역구성역을 연결하는 철도. 평북선만포선, 평덕선에 접속된다.

평양등으로 이동할때 돌아가고 중요한 연선 지역이 없어서 수요가 별로 없다. 간선철도를 연결하는 기능도 청년이천선, 혜산만포청년선에 비하면 별거 안된다. 청년이천선은 선로상태는 시망이지만 강원선평부선을 연결하는 노선이라서 남한에서 라진이나 블라디보스토크방면으로 열차를 운영할때 꼭 필요한데 이건 그것도 아니다. 다만, 평양으로 가려면 삥 돌아가지만 개천시, 순천시, 평성시 등으로 가려면 이 쪽으로 빠지는 편이 거리상으로는 빠르긴 하다. 문제는 이 선로는 전혀 전철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전기기관차가 갈 수 없다는 것. 하긴 북한은 현재 전기기관차가 유명 무실한 상태라고는 하지만...

옛날 지도에는 개천과 구성을 잇는 노선만 수록된 지도도 있다. 실제로 개천에서 이어지는 노선이 있었지만 폐선. 이 노선을 구성선이라고 하는 자료도 있다. 이것은 핵 시설이 중간에 놓인 뒤 끊어 놓아서 핵을 포기했다고 구라를 치려고 한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어디까지나 추측으로만 받아들일 것.

2012년 11월에 전 역의 문서가 작성되었다.


2. 지선[편집]


지선으로는 분강역으로 가는 지선[1]과 태천 원자력 발전소로 가는 노선이 있다. 전자의 흔적이 바로 팔원청년역에서 분기하는 녕변선이고, 후자는 연중역 인근에서 분기.


3. 평덕선과 청년팔원선, 어느 역이 시종착역인가?[편집]



이하 문서의 출처는 북한철도교통연보를 따른다.

원래 평덕선은 남덕역까지였다. 이것이 1940년에 남덕역에서 장상역까지 25km를 연장하였고, 1953년에는 덕천역부터 팔원역에 이르는 덕팔선을 신설하였다. 이 때까지만 해도 운행계통상 논란거리는 없었는데, 1976년에 구성부터 팔원까지 철도를 설치하면서 운행계통이 꼬이게 된 것. 이걸 통폐합하면서 평덕선은 구장청년역을 기점으로 하게 되었고, 청년팔원선 역시 구장청년역을 기점으로 하게 된 것이다. 덕팔선이라는 명칭은 바로 이 때의 운행 계통에서 남은 것. 대한민국으로 따지면 영동선의 일부를 여전히 영암선(영주-철암 구간)이라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인 셈이다.

따라서 현재는 시종착역을 구장청년역으로 보는 것이 옳다.


4. 역 목록[편집]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역 명역간거리기점거리구 역명분기노선비고소재지
구장청년球場靑年0.00.0만포선
평덕선
평북 구장군
묵 시墨 時12.512.5
사 오沙 塢16.74.2
하 초下 草23.87.1평북 녕변군
녕 변寧 邊31.67.8
팔원청년八院靑年8.540.1녕변선
대 장大 將52.3폐지
신 룡新 龍12.252.341.7평북 태천군
연 중延 中7.559.834.2
태 천泰 川5.064.829.2
산 성山 城4.769.524.5
룡 풍龍 豊6.976.417.6평북 구성시
어미현魚尾峴4.380.713.3
동 산東 山6.387.07.0
구 성龜 城7.094.00.0평북선

[1] 본래 개천으로 가는 노선이었는데 영변 핵시설 때문에 없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9:47:08에 나무위키 청년팔원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