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천루

덤프버전 :

천루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도르시 그린호프 스미스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테레사 웰드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영국 국기.svg 에델 무켈트2회1928 생모리츠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비아트릭스 로렌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마리벨 빈슨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스웨덴 국기.svg 비비 안네 헐튼
5회1948 생모리츠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6회1952 오슬로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자케린 두 비에프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인그리드 웰든8회1960 스쿼밸리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바바라 롤스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페트라 버카10회1968 그르노블파일:체코 국기.svg 한나 마스코바
11회1972 삿포로파일:미국 국기.svg 재닛 린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독일 국기.svg 다그마 럴츠14회1984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키라 이바노바
15회1988 캘거리파일:미국 국기.svg 데비 토머스16회1992 알베르빌파일:미국 국기.svg 낸시 케리건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중국 국기.svg 천루18회1998 나가노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20회2006 토리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21회2010 밴쿠버파일:캐나다 국기.svg 조아니 로셰트22회2014 소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23회2018 평창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오스먼드24회2022 베이징파일:일본 국기.svg 사카모토 카오리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 펼치기 · 접기 ]

11회(1906년) ~ 50회(1945년)
[ 펼치기 · 접기 ]

11회1906 다보스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12회1907 빈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
13회1908 트로파우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14회1909 부다페스트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5회1910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16회1911 빈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7회1912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18회1913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
19회1914 생모리츠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20회1915취소WWI
21회1916취소WWI22회1917취소WWI
23회1918취소WWI24회1919취소WWI
25회1920취소WWI26회1921취소WWI
27회1922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28회1923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29회1924 맨체스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30회1925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31회1926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32회1927 오슬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3회1928 런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4회1929 부다페스트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5회1930 뉴욕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6회1931 베를린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7회1932 몬트리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8회1933 스톡홀름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9회1934 오슬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0회1935 빈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1회1936 파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2회1937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
43회1938 스톡홀름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44회1939 프라하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
45회1940취소WWII46회1941취소WWII
47회1942취소WWII48회1943취소WWII
49회1944취소WWII50회1945취소WWII

51회(1946년) ~ 100회(1995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46취소WWII52회1947 스톡홀름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
53회1948 다보스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54회1949 파리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
55회1950 웸블리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56회1951 밀라노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
57회1952 파리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자케린 두 비에프58회1953 다보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59회1954 오슬로파일:독일 국기.svg 건디 부쉬60회1955 빈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61회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62회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3회1958 파리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64회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5회1960 밴쿠버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캐럴 하이스66회1961 프라하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1962 프라하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68회1963 코르티나담페초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69회1964 도르트문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70회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캐나다 국기.svg 페트라 버카
71회1966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72회1967 빈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73회1968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74회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
75회1970 류블랴나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76회1971 리옹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77회1972 캘거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78회1973 브라티슬라바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렌 마그누센
79회1974 뮌헨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80회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이앤 더레이우
81회1976 예테보리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해밀82회1977 도쿄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
83회1978 오타와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84회1979 빈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
85회1980 도르트문트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86회1981 하트퍼드파일:스위스 국기.svg 데니스 비엘만
87회1982 코펜하겐파일:미국 국기.svg 일레인 자약88회1983 헬싱키파일:미국 국기.svg 로잘린 섬너스
89회1984 오타와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0회1985 도쿄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1회1986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데비 토머스92회1987 신시내티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3회1988 부다페스트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4회1989 파리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이토 미도리
95회1990 핼리팩스파일:미국 국기.svg 질 트레나리96회1991 뮌헨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97회1992 오클랜드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98회1993 프라하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옥사나 바이울
99회1994 치바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사토 유카100회1995 버밍엄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101회(1996년) ~
[ 펼치기 · 접기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동계 아시안 게임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챔피언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파일:일본 국기.svg 오사다 주리
(1986)
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1996[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타티야나 말리니나
(1999)

중국선수권 여자 싱글 챔피언
파일:중국 빙상연맹.png
천루
(1990~1998)
왕환
(1999)

[1]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때는 피겨 스케이팅 경기가 열리지 않았다.

파일:chenlu.jpg
이름천루(陳露[1], 陈露[2], Chén Lù)
국적
파일:중국 국기.svg

출생1976년 11월 24일 (47세)
지린성 창춘시
신체162cm
종목피겨 스케이팅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1989-90 시즌
2.2. 1990-91 시즌
2.3. 1991-92 시즌
2.4. 1992-93 시즌
2.5. 1993-94 시즌
2.6. 1994-95 시즌
2.7. 1995-96 시즌
2.8. 1996-97 시즌
2.9. 1997-98 시즌
3. 은퇴 이후
4. 평가
5. 수상 기록



1. 개요[편집]


중국의 前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올림픽에서 2번 연속으로 메달을 딴 최초의 아시아 선수이며, 산드라 베직의 뮤즈였다.[3]

2. 선수 경력[편집]



2.1. 1989-90 시즌[편집]


1989 NHK 트로피에서 8위를 하고 1990 중국선수권에서 우승했다.

2.2. 1990-91 시즌[편집]


1991 주니어 세계선수권[4]에서 동메달을 따고 1991 중국선수권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 1991 세계선수권에서는 12위에 올랐다.

2.3. 1991-92 시즌[편집]


1991 스케이트 아메리카 4위, 1991 스케이트 캐나다 6위, 1991 NHK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땄다. 1992 중국선수권에서도 3연패를 달성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도 참가하였는데, 거의 모든 선수들이 넘어져서 빙판에 제대로 서지 못했다. 천루의 야박한 프리 점수에 야유를 보낸 관중들도 많았다. 역대 최악의 올림픽으로, 많은 사람들에게는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과 더불어, 악몽 같은 대회로 기억되어 있다. 그녀를 제외한 정상급 선수들이 최소 1번씩은 넘어진 대회였다. 천루는 트리플 러츠 2개를 포함한 총 6개의 트리플 점프를 성공시켰고, 몇 안 되는 클린 경기를 한 선수였다. 경기를 초반에 해서 그런지, 기술 점수가 매우 짜게 나와 야유가 쏟아졌다. 이 대회에서 종합 6위를 차지하며, 차세대 주자로 존재감을 드러냈다.[5]

올림픽이 끝나고 여세를 몰아, 1992 주니어 세계선수권1992 세계선수권에서는 모두 동메달을 땄다.

2.4. 1992-93 시즌[편집]


1992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 1992 NHK 트로피에서 4위를 기록했다. 1993 중국선수권에서는 4연패를 달성했다. 1993 세계선수권에서는 프리곡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로 동메달을 따며 2년 연속 메달을 획득했다. 낸시 케리건, 수리야 보날리, 옥사나 바이울, 토냐 하딩 등이 건재하던 그 시기에, 아시아권 선수로써 드물면서도 대단한 성과였다.

2.5. 1993-94 시즌[편집]


1993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우승, 1993 NHK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땄다. 피루텐에서도 시니어 부문으로 참가해 우승했고 1994 중국선수권에서도 5연패를 달성했다.

두 번째로 참가한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은 대회 전부터 다크호스로 불리우며, 2년 전보다 더 좋은 경기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1994 세계선수권은 부상으로 인해 쇼트 프로그램 직전에 기권했다.

2.6. 1994-95 시즌[편집]


1994 NHK 트로피에서 우승하고 1995 중국선수권에서는 6연패를 달성했다.

1995년 세계선수권에서 기념비적인 작품 마지막 황제로 드디어, 생애 첫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따서 모두에게 이름을 알렸다! 당시 프리 프로그램이었던 "마지막 황제"는 동양 문화의 접목을 한 작품으로서, 동서양의 문화의 조화라는 극찬을 받았다.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호평 받은 명작으로 현재까지 회자되고 있다.

2.7. 1995-96 시즌[편집]


1995 NHK 트로피 금메달, 1995 트로피 드 프랑스 은메달, 1995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은메달을 따며 1995-96 챔피언 시리즈 파이널에 진출했다.[6] 쇼트는 1위로 시작했지만 프리에서 난조를 보이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1996 중국선수권에서는 7연패를 달성했다.

2.7.1. 1996 세계선수권[편집]


1996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미셸 콴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천루의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과 콴의 살로메 대결은 많은 팬들에게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명승부로 기억되고 있다.

다만 이와 더불어서 순위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둘 다 프리에서, 그 어렵다는 6.0 만점이 2개가 나왔는데, 신인이었던 콴에게 미국과 일본 심판이 6.0점을 주었다. 천루에게는 불행히도 프리 심판진에 중국 심판이 없었고, 그것도 차별적 시선을 가지지 않았던 유럽 심판이 6.0점 2개를 주었다.

만약 이 대회가 캐나다가 아닌 다른 곳(유럽)에서 개최되었다면, 천루가 우승을 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프리 경기에서 콴이 마지막 순서로 경기했는데, 콴에게 금메달을 주기 위하여 미국과 일본 심판이 의도적으로 콴에게 6.0점을 두개 줬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더구나, 천루는 전년도 세계선수권 우승자임과 동시에 이미 올림픽 동메달리스트라서 신인인 콴과 동등선 상에서 구성점을 두기 어렵다. 더군다나, 구채점제는 기술점수보다는 구성점수가 더 중요했다.[7]

2.8. 1996-97 시즌[편집]


중국 연맹 간의 갈등과 부상으로 인한 체중 증가, 정신적 충격으로 자살까지 생각할 정도로 최악의 시기였다. 특히, 코치인 리밍추의[8] 이간질(천루가 이민계획을 세우고 있다는)로, 공산당에 끌려가 문초까지 받았다. 여러가지 여파로 그랑프리 시리즈 2개 대회를 모두 기권하고 1997 세계선수권에서도 크게 부진하며, 25위로 프리컷을 당했다.[9]

2.9. 1997-98 시즌[편집]


주변의 도움으로, 다시 훈련을 시작했다. 카를 샤퍼 메모리얼에서 우승하고 1997 NHK 트로피에서 1위, 1997 트로피 드 프랑스에서 4위를 기록했다. 1998 중국선수권에서는 9연패를 달성했다.

2.9.1.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편집]


당시 안무가인 산드라 베이직에 의하면, 그때까지도 천루의 점프가 돌아오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기적적으로 프리에서 1번의 투풋 랜딩을 제외하고는 클린 경기로 그녀를 프리 2등으로 채점한 심판도 있었다. "버터플라이 로벌" 프로그램은 지금도 많은 팬들에게 회자되는 걸작이다. 쇼트에서는 4위를 기록했는데, 프로그램이었던 "아디오스 노니노"는 엄청나게 후려친 극단적인 기술점수(4.9점~5.7점)로 인해, 점수 발표 이후 여기저기서 야유가 터져 나왔다.[10] 지금도 유튜브 영상에서 많은 팬들이 이 점을 지적하고 있다.[11] 금메달과 은메달은 타라 리핀스키미셸 콴이 가져갔다.

3. 은퇴 이후[편집]


2005년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페어 은메달리스트인 데니스 페트로프와 결혼했다. 선전에 아이스링크를 지어 남편과 함께 후배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중국 연맹도 호의적인 태도로 대하여 준다.

4. 평가[편집]


이토 미도리로 대표되는 기술적인 피겨 스케이팅에서, 1990년대 중반 아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도 예술적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선구자적인 선수이다. 그녀 이후로 중국에서는 페어와 남자 싱글에서 정상급 선수들이 나오기 시작했다.[12] 또한 프로그램 중 꼭 한곡은 동양풍의 음악을 사용하여, 서양 피겨 스케이팅에 오리엔트적 무드를 잘 접목시켰다는 호평이 많았다.

1990년대임에도 많은 팬들의 사랑을 골고루 받은 몇 안 되는 팬층이 두터운 선수였다. 특히, 우아한 연기가 일품이었는데, 수리야 보날리1995 세계선수권 순위에는 인정한다고 인터뷰를 할 정도로 예술성을 인정받는 선수였다. 또한, 김연아가 시니어에 데뷔했을 때, 천루를 연상케 한다는 해외 평론이 많았다. 또한 모든 점프를 정석으로 뛰는 정석 점퍼이기도 하다.

5. 수상 기록[편집]


올림픽
동메달1994 릴레함메르여자 싱글
동메달1998 나가노여자 싱글
세계선수권
금메달1995 버밍엄여자 싱글
은메달1996 에드먼턴여자 싱글
동메달1992 오클랜드여자 싱글
동메달1993 프라하여자 싱글
아시안 게임
금메달1996 하얼빈여자 싱글
주니어 세계선수권
동메달1991 부다페스트여자 싱글
동메달1992 헐여자 싱글
[1] 번체자[2] 간체자[3] 유명한 선수들은 자신들을 최고의 뮤즈로 생각하고 최적의 안무를 짜주는 안무가들이 1명씩은 존재하는데, 김연아 - 데이비드 윌슨, 미셸 콴 - 로리 니콜, 알렉세이 야구딘 - 타티야나 타라소바 등이 이에 해당한다.[4] 당시에는 당해년도 11월에 열렸다. 이듬해 3월부터 열린건 2000 주니어 세계선수권부터다.[5] 프리 1위였던 크리스티 야마구치는 5개의 트리플 점프를 뛰었는데, 공교롭게도 둘 다 말라게냐에 맞춰서 연기를 했다.[6] 당시에는 그랑프리 시리즈를 3번까지 출전할 수 있었고, 이 경우엔 상위 두 대회의 성적으로 파이널 진출 여부를 가렸다.[7] 아직도 라흐마니노프를 떠올리면 천루의 작품을 꼽는 팬들이 많다. 1996년임에도 불구하고 6개의 트리플 점프와 2개의 더블 악셀 점프를 성공시켰다. 다만, 콴이 프리에서 마지막 점프였던 더블 악셀을 트리플 토룹으로 변경하면서 7개의 트리플 점프 & 1개의 더블 악셀을 성공시켜 '우승할 자격이 전혀 없다' 정도의 비판은 나오지 않았다.[8] 이 코치는 천루 은퇴 이후 십여 년 만에 등장한 여성 싱글 유망주인 리쯔쥔 한테도 똑같은 짓을 벌여왔다. 당시 리쯔쥔은 본인의 웨이보의 연맹과의 갈등을 암시하는 글을 올렸다가 삭제하기도 하였다. 리쯔쥔은 2018-2019 시즌에 은퇴를 선언하였으며, 그녀의 은퇴 이후 여성 싱글 유망주는 등장하지 않고 있다.[9] 이 다음 시즌에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여 동메달을 땄는데, 프리 프로그램 이후 빙판에서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아무래도 올림픽 이전에 선수가 많은 문초를 겪었기에 대부분은 천루의 이런 행동에 이해가 간다는 반응이였다.[10] 팬들이 절대 천루에게 야유를 한 것이 아니다. 점수를 박하게 준 심판들에게 한 것이니 오해하지 말자.[11] 클린 경기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점수를 4.9점으로 준 심판도 있었다. 구채점제 기준으로 기술점수 4점대 후반은 중위권 선수들이 받는 점수이다. 그런데 이러한 점수를 올림픽 메달 후보 선수에게 준 것은 논란이 있을 수 밖에 없다.[12] 여자 싱글과 아이스 댄스는 아직 저변이 부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