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종(쩐 10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태종 성종인종영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명종헌종유종전폐제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예종藝宗예종睿宗후폐제순종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소제간정제중광제천경제
추존
목조 · 영조 · 원조 · 태조 · 공숙황
비정통
쩐디아이 · 충의왕 · 쩐동오




묘호예종(睿宗)
시호계천응운인명흠효황제
(繼天應運仁明欽孝皇帝)
쩐(Trần, 陳/진)
낀(Kính, 曔/경)
생몰기간1337년 ~ 1377년
재위기간1373년 ~ 1377년

1. 개요
2. 생애
3. 창작물에서



1. 개요[편집]


베트남 쩐 왕조의 제10대 황제. 휘는 경(Kính, 曔). 《명사》(明史)에는 이름이 진일단(陳日煓)으로 기록되어 있다. 전임 황제인 제5대 명종(明宗)의 아들이며, 제9대 예종(藝宗)의 동생이다. 즉위 전의 작위는 공선왕(恭宣王)이었다.


2. 생애[편집]


1373년, 형 예종(藝宗)이 동생인 공선왕 진경에게 양위했다.

1376년, 신하들의 간언에도 불구하고, 대월의 숙적인 참파를 정벌하려고, 군사 120,000명을 이끌고 남정했으나 대패하고, 전투에서 전사했다. 비워진 제위는 형 예종(藝宗)에 의해서 쩐히엔(陳晛/진현)이 이어 받아 황제로 즉위했으나, 그 뒤에 호꾸이리 문제로 폐위되었고, 순종(順宗)이 제위에 오르게 되었다.


3. 창작물에서[편집]


<징기스칸 4> 파워업키트 시나리오 4에서 형 예종(藝宗)과 함께 나온다. 다만 일본판에서는 한자로 표기되어 구분되지만, 한글패치판에서 묘호가 한자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관계로 형 예종(藝宗)은 ‘례종’으로 개명 아닌 개명 당한 상태로 등장한다.[1] 능력치는 정치 54, 전투 52, 지모 49. 특기 상업, 병과 적성 보병 B, 궁병 C, 기병 D, 수군 C이다.

[1] 藝의 원래 발음이 '례'가 아닌 '예'가 맞다. 한글패치 제작자가 두음법칙이 적용된 글자로 생각했거나, 어거지로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1:26:31에 나무위키 예종(쩐 10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