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역자활센터

덤프버전 :




파일:보건복지부 MI_좌우_White.svg
보건복지부 소관 특수법인
[ 펼치기 · 접기 ]

한국건강관리협회대한구강보건협회사회복지공동모금회한국자활복지개발원인구보건복지협회
대한간호협회대한의사협회대한조산협회대한치과의사협회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안마사협회대한물리치료사협회대한방사선사협회대한안경사협회대한의무기록협회
대한임상병리사협회대한작업치료사협회대한약사회대한한약사회대한영양사협회
한국사회복지공제회대한노인회어린이집안전공제회한국어린이집 총연합회한국장례문화진흥원
한국사회복지사협회대한약업사협회한국의약품유통협회한국한약유통협회대한미용사회중앙회
한국이용사회대한숙박업중앙회한국목욕업중앙회한국세탁업중앙회한국건물위생관리협회
대한치과기공사협회대한치과위생사협회한국제약바이오협회대한화장품협회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한국효문화진흥원한국보육진흥원아동권리보장원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중앙사회서비스원



파일:한국자활복지개발원 CI.svg
Korea Development Institute for Self-Sufficiency and Welfare (KDISSW)
1. 개요
2. 기능
3. 목록
4. 기타


1. 개요[편집]


지역자활센터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6조에 의거 보건복지부로부터 지정 받은 센터로 일자리, 기술, 자금부족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일할 기회를 찾기 어려운 취약계층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고 안정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조건들을 지원 함으로써 참여자들이 일하는 성취감을 경험하고 삶의 희망을 가지고 스스로 자활할 수 있도록 돕는 센터다.2013년 현재 전국의 시군구 단위로 247개의 센터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 기능[편집]


지역자활센터저소득층에게 집중적인 자립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자립의욕과 기술능력을 향상시키고 소득 창출을 위한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민간센터로서 생산적 복지구현을 위한 지역 단위 인프라다.지역자활센터 사업에는 일차적으로 최저생계비 이하의 수급자가 참여하지만 수급자가 아니더라도 차상위, 저소득 실직자인 경우에도 참여를 희망하는 경우 자활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3. 목록[편집]


  • 강화 지역자활센터
  • 경기김포 지역자활센터
  • 고양 지역자활센터
  • 파주 지역자활센터
  • 인천서구 지역자활센터
  • 인천계양 지역자활센터
  • 인천동구 지역자활센터

4.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5:45:48에 나무위키 지역자활센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