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교/가톨릭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주교



1. 개요[편집]


대한민국가톨릭 주교 일람.

한국 가톨릭교회 각 교구의 보좌주교/부교구장 주교 일람(주교 수품일 기준)이며, 교구장 주교를 포함한 전체 현직 주교 목록은 주교/목록

2. 목록[편집]



2.1. 이성효[편집]


이성효(李聖孝) 리노 주교, Bishop Linus LEE Seong-hyo, S.T.D., D.D.
파일:이성효 주교.jpg파일:이성효 주교 문장.png
사목 표어Fides, spes et caritas cum Christo
그리스도와 함께, 믿음·희망·사랑[1]
출생1957년 7월 6일(현재 66세) 경남 진주시 출생
현 소임지천주교 수원교구 보좌주교
총대리 겸 제1대리구장
사제 수품일1992년 4월 9일
주교 임명일2011년 2월 7일
주교 수품일2011년 3월 25일
투리스 타말레니 명의주교
학력
1980년 2월 ~ 1985년아주대학교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 석사
1985년 ~ 1987년수원가톨릭대학교 신학부 졸업
1987년 8월 ~ 1992년 2월독일 트리어 대학교 신학대학원 교부학 석사
1993년 4월 ~ 2000년 6월프랑스 파리 가톨릭대학교 교부학 박사
경력
1992년 4월 ~ 1993년 1월수원교구 호계동 본당 보좌신부
2001년 1월 ~ 2003년 9월수원교구 오산 본당 주임신부
2001년 3월 - 2003년 6월수원가톨릭대학교 강사
2003년 9월 ~ 2010년 7월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사목부장 겸 영성관장, 교무처장, 대학원장, 부설 평생교육원장,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 신앙 연구소장
2012년 3월 ~ 2017년 10월한국천주교주교회의 생명운동본부장(생명윤리위원회 위원), 주교회의 교리주교위원회 위원
2017년 10월 ~주교회의 가정과 생명위원회 위원장


2.2. 유경촌[편집]


유경촌(柳京村) 티모테오 주교, Bishop Timothy YU Gyoung-chon, S.T.D., D.D.
파일:유경촌 티모테오 주교.jpg파일:유경촌_문장.jpg
사목 표어서로 발을 씻어 주어라 (요한 13, 14)
출생1962년 9월 4일(현재 61세) 서울
현 소임지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사회사목담당 및 청소년담당 겸 동서울지역 교구장 대리
사제 수품일1992년 1월 30일
주교 임명일2013년 12월 30일
주교 수품일2014년 2월 5일
푸피 명의주교
학력
1978년 ~ 1984년서울 성신고등학교(소신학교),
가톨릭대학교(대신학교)
1988년 ~ 1998년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
독일 프랑크푸르트 상트게오르겐 대학교 박사(신학)
경력
1999년 ~ 2008년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대신학교) 교수
2014년 2월 ~ 현재서울대교구 사회사목담당 겸 동서울 지역 교구장 대리
2014년 10월 30일 ~ 현재주교회의 매스컴위원회 위원장, 주교회의 사회주교위원회 위원
배우이자 이명박 정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었던 유인촌의 친동생이다.

2.3. 손희송[편집]


손희송(孫熙松) 베네딕토 주교, Bishop Benedictus SON Hee-song, S.T.D., D.D.
파일:손희송 베네딕토 주교.jpg파일:손희송주교문장.jpg
사목 표어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2]
출생1957년 1월 28일(현재 67세) 경기도 연천군
현 소임지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총대리 겸 교구청장 겸 서서울지역교구장대리
사제 수품일1986년 7월 4일
주교 임명일2015년 7월 14일
주교 수품일2015년 8월 28일
캄플룸 명의 주교
학력
1972년 3월 ~ 1979년 2월서울 성신고등학교(소신학교),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대신학교)
1982년 10월 ~ 1986년 4월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대학교 신학대학(교의신학 석사)
1986년 ~ 1992년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대학교(신학박사 과정 수료)
1993년 3월 ~ 1996년 2월가톨릭대학교(교의신학 박사)
경력
1992년 10월 ~ 1994년 9월서울대교구 용산성당 주임신부
2012년 8월 ~ 2015년 8월서울대교구 사목국장
1994년 9월 ~ 2015년 2월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2004년 ~ 2005년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
2005년 12월 ~ 2014년 2월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총무
2012년 9월 ~ 2015년 8월주교회의 평신도사도직위원회 총무
2014년 ~ 2015년 11월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
2016년 3월 15일 ~ 현재주교회의 신앙교리위원회 위원장, 교리주교위원회 위원

2.4. 문희종[편집]


문희종(文熙鍾) 세례자 요한 주교, Bishop John Baptist MOON Hee-jong, D.D.
파일:문요한 주교.jpg파일:문희종_문장.jpg
사목 표어마리아를 통하여 그리스도께로, 사랑·겸손·순종[3]
출생1966년 8월 26일(현재 57세)
현 소임지천주교 수원교구 보좌 주교 겸 제2대리구장
사제 수품일1994년 1월 21일
주교 임명일2015년 7월 23일
주교 수품일2015년 9월 10일
무티아 명의 주교
학력
1984년 ~ 1988년수원가톨릭대학교 (신학 학사)
1991년 ~ 1993년수원가톨릭대학교 (신학 석사)
2001년 ~ 2006년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 (전례학 석사)
경력
1994년 ~ 1997년수원교구 비산동, 철산, 호계동 본당 보좌신부
1997년 ~ 1999년수원교구 팽성 본당 주임신부
2014년 ~ 2015년 9월수원교구 본오동 성 요한 세례자 본당 주임신부
1999년 ~ 2001년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영성부장)
2006년 ~ 2015년 9월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
2006년 ~ 2014년수원교구 복음화국장
2016년 3월 17일 ~ 2016년 10월 12일주교회의 사회주교위원회 위원
2016년 3월 17일 ~ 현재주교회의 해외선교·교포사목위원회 위원장
2016년 10월 12일 ~ 현재주교회의 선교사목주교위원회 위원

2.5. 장신호[편집]


장신호(張信浩) 요한 보스코 주교, Bishop John Bosco CHANG Shin-ho, S.L.D., D.D.
파일:장신호 요한 보스코 주교.jpg파일:장신호 주교 문장.jpg
사목 표어Non mea sed tua voluntas
제 뜻이 아니라 아버지 뜻대로(루카 복음서 22,42)
출생1966년 5월 25일(현재 58세)
현 소임지천주교 대구대교구 보좌주교 겸 총대리
사제 수품일1998년 8월 25일
주교 임명일2016년 5월 31일
주교 수품일2016년 7월 12일
베세라 명의주교
학력
1984년 ~ 1988년영남대학교 공과대학(전기공학 학사)
1988년 ~ 1993년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993년 ~ 1996년교황청립 “사도들의 모후” 대학(신학 학사)
1996년 ~ 2002년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전례학 석사, 박사)
경력
1998년 ~ 1999년대구대교구 봉덕성당 보좌신부
2002년 ~ 2009년대구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전례학)
2009년 9월 ~ 2016년 7월 11일주교회의 사무처 전례서 편찬 담당
2009년 12월 ~ 2016년 7월 11일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총무
2016년 10월 28일 ~ 현재교황청 경신성사성 위원
2017년 10월제52차 세계성체대회 (2020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예정) 한국 대표

2.6. 구요비[편집]


구요비(具要備) 욥 주교, Bishop Job KOO Yobi, D.D.
파일:kyb_bishop.jpg파일:kyb_coa.png
사목 표어Sequere me
나를 따라라(요한 복음서 21,19)
출생1951년 1월 25일(현재 73세)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위곡리
현 소임지천주교 서울대교구 보좌주교
해외선교담당 및 수도회 담당 겸 중서울지역 교구장 대리
사제 수품일1981년 2월 24일
주교 임명일2017년 6월 28일
주교 수품일2017년 8월 17일
스파스페리아 명의주교
학력
1972년 ~ 1981년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1974년 ~ 1976년 : 군복무) 및 대학원
1998년 ~ 2000년프랑스 파리 가톨릭대학교 석사(영성신학)
경력
1981년 ~ 1983년이문동, 신당동 본당 보좌
1986년 ~ 1993년구로2동, 상계동 본당 주임
2000년 ~ 2002년종로 본당 주임
2013년 2월 ~ 2017년 8월포이동 본당 주임
1986년 ~ 1998년프라도사제회 한국지부 대표
2006년 ~ 2012년프라도사제회 한국지부 대표
2007년 ~ 2013년프라도사제회 국제평의회 위원
1982년 ~ 1983년서울대교구 북부지구 가톨릭노동청년회(JOC) 지도신부
1983년 ~ 1986년프랑스 리옹 가톨릭대학교(노동사목)
1991년 ~ 1992년가톨릭노동장년회(CWM) 지도신부
1993년 ~ 1998년가톨릭노동청년회(현 YCW) 전국 지도신부,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 위원
2002년 ~ 2009년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 영성지도 신부
2017년 10월 ~주교회의 성직주교위원회 위원

2.7. 한정현[편집]


한정현(韓楨鉉) 스테파노 주교, Bishop Stephanus HAN Jung-Hyun, D.D.
파일:한정현 스테파노 주교.jpg파일:한정현 주교 문장.jpg
사목 표어Verbum habitavit in nobis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요한 1, 14)
출생1971년 9월 7일(현재 52세) 충청남도 서산시
현 소임지천주교 대전교구 보좌주교
총대리 겸 수도회 담당 교구장 대리 겸 교구청장
사제 수품일2000년 2월 21일
주교 임명일2020년 11월 28일
주교 수품일2021년 1월 25일
모조트코리 명의 주교
학력
1997년 ~ 1999년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년 ~ 2013년로마 로마 성요셉 신학교
경력
2000년사제 수품
2000년 ~ 2001년대전교구 탄방동본당 보좌
2001년 ~ 2002년대전교구 당진본당 보좌
2002년 ~ 2013년로마 유학(교황청립 성서대학)
2010년 ~ 2013년(겸) 교황청 인류복음화성 성 요셉 신학원 영성지도
2013년 ~ 2016년대전교구 버드내본당 주임
2014년 ~ 2020년대전교구 사제평생교육위원 겸 대전교구 출판 검열 위원
2015년 ~ 2020년대전교구 시노드 사무국장
2020년~2021년 1월21일대전교구 탄방동본당 주임 겸 대전서부지구장
2021년 1월 25일~ 현재대전교구 보좌주교

2.8. 신호철[편집]


신호철(辛昊喆) 비오 주교 , Bishop Pius SIN Hozol, S.L.D., D.D.
파일:신호철 비오 주교.jpg파일:신호철 주교 문장.png
사목 표어SICUT IN CŒLO ET IN TERRA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출생1968년 9월 3일(현재 55세) 부산광역시
현 소임지천주교 부산교구 보좌주교 겸 총대리
사제 수품일1996년 2월 3일
주교 임명일2021년 5월 22일
주교 수품일2021년 6월 29일
벨레사사 명의주교
학력
1994년 ~ 1996년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9년 ~ 2008년로마 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 전례학 석사, 박사학위
경력
1996년 2월사제수품
1996년 ~ 1997년괴정 본당 보좌신부
1997년 ~ 1998년반여 본당 보좌신부
1998년 ~ 1999년중앙 본당 보좌신부
1999년 ~ 2008년교황청립 성 안셀모 대학 전례학 석사, 박사학위
2008년 ~ 2016년부산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2009년 ~ 2021년부산교구 전례위원회 위원
2009년 ~ 2021년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위원
2016년 ~ 2017년주교회의 전례위원회 총무
2016년 ~ 2019년부산가톨릭대학교 교수
2016년 ~ 2017년인문교양학부 교수 겸 교목처장
2017년 ~ 2018년기획정보처장
2019년 ~ 2021년 6월24일부산가톨릭대학교 총장
2021년 5월 22일보좌주교 임명
2021년 6월 25일 ~ 현재교구총대리
2021년 6월 29일 ~ 현재부산교구 보좌주교

3. 참고[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9:02:42에 나무위키 주교/가톨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배경에는 성 아우구스티노의 교회에 대한 해설이 자리한다. “믿음은 믿고, 희망과 사랑은 기도한다. 그러나 희망과 사랑은 믿음 없이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믿음도 기도한다(Fides credit, spes et caritas orant. Sed sine fide esse non possunt; ac per hoc et fides orat).”(「엔키리디온」2, 7) 이성효 주교는 여기에서 기도하는 믿음·희망·사랑이 그리스도를 향한 교회의 본질적인 모습으로 이해한다. 또한 그리스도와 함께 하는 믿음·희망·사랑은 세상에로 나아가는 교회의 실천적 모습이기도 하다.[2] 토마스 사도예수님께 대한 남다른 충심을 지녔던 제자였는데, 스승의 무력한 죽음에 낙담과 절망의 늪에 빠져 헤어 나오지를 못했다. 부활하신 주님을 뵈었다는 동료들의 말조차도 믿지 않고 있다가 여드레 뒤에 다른 제자들과 함께 있던 토마스에게 부활하신 주님께서 나타나신다. 그제야 토마스는 모든 의심을 버리고 그분께 “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요한 20,28)이라고 고백한다. 그래서 예수님의 손과 옆구리에 난 상처는 우리에 대한 극진한 사랑의 표징이다. 이처럼 극진한 사랑은 사람의 마음을 바꿔놓는다. 오늘날도 극진한 사랑의 예수님은 말씀과 성사를 통해 죄 많은 우리들에게 다가 오신다.[3] 주교 직분을 겸손하게 '섬기는 자'로서 신자들 가운데 머무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주교 직분을 성실하게 수행하기 위해 신앙의 모범이신 성모 마리아를 자신의 삶의 중심에 두고 살아가며, 사목 표어의 배경에 수원교구의 주보이신 '평화의 모후' 성모 마리아를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