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기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내용은 조기수(1902) 문서
조기수(1902)번 문단을
조기수(190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조기수[1]
趙基守
본관함안 조씨[2]
출생1871년 2월 4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임하현 금소리
(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
사망1922년 1월 18일
부모아버지 조용헌
자녀아들 조복선
상훈대통령표창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2019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1871년 2월 4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임하면(현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조용헌(趙鏞憲)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9년 3월 임하면 금소동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에 아들 조복선과 함께 참여하여 격렬한 시위를 벌이다가 다음날 출동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갖은 고문을 받았다. 이후 그해 5월 29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의 예심에서 소위 소요 및 보안법 위반 혐의에 대해 면소 처분을 받고 출옥하였다.#@

그러나 고문 후유증으로 불구의 몸이 되어 고통받다가 1922년 1월 18일 별세하였다.


3. 기타[편집]


201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0:47:44에 나무위키 조기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명은 조철하(趙哲河).[2] 29세 하(河) 제(濟) 항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