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태공

덤프버전 :

전제(田齊) 국군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bf2f7b>
전씨종주(田氏宗主)
||
||<width=20%>
초대 종주

경중 ||<width=20%>
2대 종주

맹이 ||<width=20%>
3대 종주

맹장 ||<width=20%>
4대 종주

문자 ||
||<width=20%>
5대 종주

환자 ||<width=20%>
6대 종주

무자 ||<width=20%>
7대 종주

희자 ||<width=20%>
8대 종주

성자 ||
||<width=20%>
9대 종주

양자 ||<width=20%>
10대 종주

장자 ||<width=20%>
11대 종주

도자 ||<width=20%>
전씨대제
||
||<-4><bgcolor=#bf2f7b>
전제(田齊) 국군
||
||<width=20%>
초대 국군

태공 ||<width=20%>
2대 국군

제후 섬 ||<width=20%>
3대 국군

환공 ||<width=20%>
초대 왕

위왕 ||
||<width=20%>
2대 왕

선왕 ||<width=20%>
3대 왕

민왕 ||<width=20%>
4대 왕

양왕 ||<width=20%>
말대 왕

제왕 건 ||
||<-4><bgcolor=#ece5b6,#494212>
초한쟁패기
||
||<-4> 교동왕 전시 | 제왕 전도 | 제북왕 전안 ||
||<-4><bgcolor=#fff,#191919> ||
||<-4><bgcolor=#bf2f7b>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전제 초대 국군
태공
太公
규(嬀)[1]
전(田)[2]
화(和)
아버지전장자(田莊子) 혹은 전도자(田悼子)[3]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384년
재위 기간음력기원전 391년 ~ 기원전 384년[4]
기원전 386년 ~ 기원전 384년[5]

1. 개요
2. 즉위 전
3. 즉위 후




1. 개요[편집]


전씨 제나라(田齊)의 초대 군주. 전장자(田莊子) 혹은 전도자(田悼子)의 아들. 그는 고조부 전항, 증조부 전반, 조부 전백, 아버지 전도자의 기반을 바탕으로 제나라의 상국이 되었다.[6] 그것을 바탕으로 제강공을 몰아내고 강제를 차지해 전제의 초대 군주가 되었다.


2. 즉위 전[편집]


제 선공 51년(기원전 405년), 전화는 아버지 혹은 형 전도자의 자리를 물려받았다.

제 강공 원년(기원전 404년), 삼진(한•위•조)이 제나라의 장성을 쳤다. 제나라의 장성은 서쪽에는 방문(현재의 산동성 비성), 동으로는 바다에 이르렀다. 그 장성은 산맥을 따라 지어졌다. 장성을 쌓는 일은 전화가 주도하였으므로 제선공은 허수아비였다. 제 선공이 죽고 제 강공이 즉위했는데, 전씨가 남긴 기록에 의하면 제강공은 주색을 즐기고 품행이 좋지 않았다고 되어 있다.[7]

아무튼 그것을 이유로 전화는 제 강공 19년(기원전 391년)에 제강공을 바닷가로 몰아내고, 식읍으로 성 1개를 딸려 주었다. 그리고 강성 제나라(姜齊)의 제사를 잇게 하고 자신이 전씨 제나라의 군주가 되어 제 태공이라고 불렸다.[8]


3. 즉위 후[편집]


제 태공 2년(기원전 390년)[9], 제나라는 위나라를 쳐서 양양을 취했다.[10] 그러나 오래지 않아 위문후, 초도왕과 충택 땅에서 회맹해 군주로 인정받았고, 위 문후가 주안왕의 허락을 구했다.

제 태공 6년(기원전 386년), 주 안왕은 제 태공을 정식으로 제나라 군주로 인정했다.

제 태공 8년(기원전 384년), 전화가 죽고 아들인 전섬(田剡)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제후 섬(齊侯剡)이다.

[1] 조상 진완(陳完)진(陳)나라의 공족이므로 규성이다.[2] 원래는 전씨가 아니라 진(陳)씨다. 조상 진완(선술한 인물과 동일 인물)의 이름이 발음이 변하여 전완(田完)이 되었다고 한다.[3] 전도자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4] 제 강공을 몰아낸 때를 기준으로 했을 시[5] 주나라로부터 인정받은 때를 기준으로 할 시.[6] 당시 전씨의 세력이 커서 상국 자리를 사실상 전씨가 물려받았다.[7] 즉 전씨가 강제를 멸하고 전제를 세운 것을 정당화하기 위한 프로파간다이므로 필터링해서 봐야 한다는 말이다.[8] 다만 강제가 형식적으로는 남아있었기 때문에 형식상으로는 전제는 강제의 신하국이다.[9] 이 문서에서는 제 강공을 몰아낸 때를 기준으로 표기한다.[10] 형주의 양양이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23:39:38에 나무위키 제태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