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9보병여단

덤프버전 : (♥ 0)




제109보병여단
第109步兵旅團
The 109th Infantry Brigade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창설일0000년 00월 00일(제109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109보병여단)
해체일2021년 11월 1일
상징명칭대관령부대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36보병사단
규모여단
역할강원도 내륙지역 방위
해체 전 여단장대령 양태규(학군사관 33기[1])
위치강원도 평창군


1. 개요
2. 역사
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
3.2. 제1대대
3.3. 제2대대
3.4. 제3대대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특징
5.1. 근무환경
5.2. 여단가
6. 사건 사고
7.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제36보병사단 예하에 있었던 제109보병여단. 별칭은 대관령부대.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하고 있었다가 2021년 10월 25일에 해체식을 하였고 잔존보병여단으로 있다가 2021년 11월 1일에 해체되었다.


2. 역사[편집]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2020년 12월 1일부로 연대에서 여단으로 부대 규모가 격상되었다가 2021년 11월 1일자로 폐지되었다.


3. 예하부대[편집]



3.1. 여단 직할대[편집]




3.2. 제1대대[편집]


  • 본부중대
  • 1 ~ 4중대


3.3. 제2대대[편집]


  • 본부중대
  • 5 ~ 8중대[2]


3.4. 제3대대[편집]


  • 본부중대
  • 9 ~ 12중대[3]


4. 출신인물[편집]



4.1. 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109보병여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김홍배예) 소장학군 15기제37보병사단
00대강찬옥예) 대령육사 37기레바논 평화 유지단
00대윤영진예) 대령연대장
00대이재호예) 대령연대장[4]
45대박정조대령연대장[5]
46대황인주대령연대장[6]
00대이종수대령육사 00기연대장
00대양태규대령학군 33기제36보병사단 참모장


4.2. 장교/부사관[편집]




4.3. 병[편집]




5. 특징[편집]


여단장대령이었으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었다.

예하의 여단으로 총 4개 대대가 존재했었다.


5.1. 근무환경[편집]



대한민국에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부대로서, 이르면 9월에도 늦으면 5월에도 내리는 눈을 볼 수 있다. 타 공병부대에서 눈을 전문적으로 치우는 제설병들이 겨울 내내 파견을 온다. 눈이 많이 내려서 최악의 복무 여건이라 하기엔 시원한 여름 덕에 면할 수 있다. 모기가 없고 구름이 땅에 깔리며 천연 에어컨 역할을 해 준다.
사단 및 전군에서 가장 춥고 강설량이 많은 대관령 지역에 주둔해있으며 겨울에 작전시 눈보라가 치는 영동고속도로를 트럭에 탑승하여 지나다니는 불운을 겪을 확률이 매우 높은 부대이다.
8월에도 전투복 팔 걷은것을 내리거나 이상 저온이 발생 할 경우 야상을 입고 야간근무를 나가기도 한다.


5.2. 여단가[편집]




6. 사건 사고[편집]




7. 여담[편집]


2018년 평창올림픽당시 109연대 장병들이 올림픽 경기에 직접 진행요원으로 참가하는 행운을 누렸다. [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40:30에 나무위키 제109보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배재대학교[2] 전체 다 인원 10명 이하의 감편중대[3] 9중대는 소대가 분리 된 약 80명, 10~12중대는 각각 10명 이하의 감편중대[4] ~15.12.22[5] 15.12.22~17.06.14[6] 17.06.14~ [7] 제설 작업을 하거나 경비병력이 아닌 봅슬레이 경기장에서 실제 진행요원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