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무공

덤프버전 :

정 국군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5%><colcolor=#373a3c>
초대

환공 ||
제2대

무공 ||
제3대

장공 ||
제4대

소공 ||
||
제5대

여공 ||
제6대

소공 ||
제7대

||
제8대

||
||
제9대

여공 ||
제10대

문공 ||
제11대

목공 ||
제12대

영공 ||
||
제13대

양공 ||
제14대

도공 ||
제15대

성공 ||
제16대

||
||
제17대

희공 ||
제18대

성공 ||
제19대

희공 ||
제20대

간공 ||
||
제21대

정공 ||
제22대

헌공 ||
제23대

성공 ||
제24대

애공 ||
||
제25대

공공 ||
제26대

유공 ||
제27대

수공 ||
말대

강공 ||
||<-4><bgcolor=#ffffff,#191919> ||
||<-4><bgcolor=#f59700>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정(鄭)나라 2대 국군
무공
武公
희(姬)
정(鄭)
굴돌(屈突)
아버지정환공(鄭桓公) 희우(姬友)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744년
재위 기간음력기원전 770년 ~ 기원전 744년

1. 개요
2. 재위 기간



1. 개요[편집]


정나라의 2대 군주. 정환공의 아들. 정장공의 아버지. 정환공이 견융족과 싸우다가 죽자 그 뒤를 이었다.


2. 재위 기간[편집]


정무공 원년(기원전 770년), 정무공은 유왕의 태자 평왕을 도와 낙읍으로 천도하는 것을 도왔다.[1] 그리하여 동주가 시작되었고, 그 공로로 경사 자리를 이었다. 정무공은 영토 확장을 하기 위해 동괵(東虢)과 회나라를 멸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주위의 인, 단, 신, 여, 폐, 보, 의, 도 등 8개 읍을 병탄하고자 했다.

정무공 2년(기원전 769년), 정무공은 회나라를 멸하고 거기에 읍을 설치했다.

정무공 4년(기원전 767년), 정무공은 동괵을 멸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차지하고자 하는 8개 읍을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원래 도읍이었던 정(鄭)은[2] 견융족 때문에 쑥대밭이 되어 수도를 회나라의 수도로 옮겼고, 그곳을 신정(新鄭)이라고 칭했다.[3] 그는 상나라의 유민들을 노비 신분에서 해방시켰다. 신정은 교통과 물산이 발달하여, 이를 바탕으로 정나라의 국력은 강해지기 시작했다.

정무공 10년(기원전 761년), 정무공은 신(申)나라의 군주의 딸 무강을 아내로 맞았다.

정무공 14년(기원전 757년), 무강에게서 훗날 정장공이 될 희오생을 낳고,

정무공 17년(기원전 754년), 공숙단을 낳았다. 훗날 그 둘은 서로 싸우게 된다.[4]

정무공 27년(기원전 744년), 정무공이 병이 무거워지자 무강은 공숙단을 사랑하여, 그를 태자로 삼으려 했으나 정무공이 거절했다. 같은 해 정무공이 죽고 태자인 희오생(姬寤生)이 그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정장공이다.
[1] 이때 함께한 사람이 진양공, 진문후였다.[2] 그곳이 지금의 섬서성에 있다.[3] 새로운 정이라는 뜻.[4] 자세한 내용은 정장공 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7:14:16에 나무위키 정무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