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세환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장세환
張世煥 | Chang Se-hwan
파일:12486_8466_835.jpg
출생1953년 1월 14일[1] (71세)
전라북도 전주시
종교가톨릭 (세례명 : 베드로)
재임기간제4대 전라북도 정무부지사 (유종근 도정)
2000년 7월 1일 ~ 2001년 7월 2일
학력전주고등학교 (졸업)
전북대학교 (법학 /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 석사)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1
의원 대수18
약력전북일보 사회부 기자, 정치부 차장
한겨레신문 기자, 민원사회2부 차장 민원사회2부, 정치부 차장/부장대우
전라매일 편집국 국장, 논설주간
전라북도 정무부지사
새천년민주당 김근태의원 언론특보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대통령후보 언론특보
국민참여통합신당 원내대표 정치특보
열린우리당 전북도지부 정책위원
전북중흥포럼 상임대표
17대 대통령선거 정동영후보 전북선거대책본부장
제18대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위원
민주당 기획담당 원내부대표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위원
제18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제18대 윤리특별위원회 간사

1. 개요
2. 선거 이력
3. 소속 정당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종교가톨릭으로 세례명은 베드로이다.

1953년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태어났다. 전주고등학교[2], 전북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1979년 전북일보 기자로 입사하였다가 1988년 한겨레 창간에 참여하였다. 한겨레에서 전북담당과 정치부에서 활동했고, 한겨레 정치부 부장대우까지 지내다가 1998년 지역언론사인 전라매일로 옮겼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새천년민주당 장영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부터 2001년까지 전라북도 정무부지사를 지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대통령 후보 언론특보를, 2003년에는 열린우리당 김근태 원내대표 언론특별보좌역을 지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에서 홍보미디어위원회 위원장, 제1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당 후보로 전라북도 전주시 을[3]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정운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4]이후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하였다.

2023년 재보궐선거에 나선 임정엽 후보의 선대위원장을 맡았다


2. 선거 이력[편집]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2000 - 2002정계 입문

ta-hash-start=w-350a7f5ee27d22dbe36698b10930ff96[[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2 - 2003입당

무소속

2003탈당[5]

ta-hash-start=w-8d2319b81e276feccb1fef2c93c65954[[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3 - 2007창당

ta-hash-start=w-76e2b617370467620ac2c60334533cac[[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08합당[6]

ta-hash-start=w-89d4e9502805abfbe2ac167c6e2178fb[[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합당[7]

ta-hash-start=w-0b2dc5b52bfadc656ccc226aac89c006[[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1당명 변경

ta-hash-start=w-e35d7a5768c4b85b4780384d55dc3620[[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1 - 2013합당[8]

ta-hash-start=w-6c4d541fc68d426aa028bc05f38164d1[[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cd9adc741133e54e0f7e71ddf2bbd71f[[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5합당[9]

무소속

2015 - 2016탈당[10]

ta-hash-start=w-7d3599b51843974f0e36e2cb2397ed32[[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6 - 2018창당

무소속

2018탈당[11]

ta-hash-start=w-eade5febf80213b6310d1b17bafc98ff[[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 - 2020창당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 - 2021합당[12]

무소속

2021탈당[13]
2021 - 현재복당

4. 둘러보기[편집]






[1] 음력 1952년 11월 29일[2] 정동영, 송하진과 48회 동기생이다.정동영의원 등 전고 48회 친구들의 화합 회동[3] 기존의 전주시 완산구 을에서 전주시 을로 개편되었다. 다만 해당지역구의 관할 행정동은 조정없이 그대로이다.[4] 더불어민주당 최형재 후보와 민주당 성향 표분산으로 보수정당인 새누리당 정운천 후보가 2위를 기록한 최형재 후보를 불과 0.1%p차(111표차)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다. 당시 민주당 텃밭인 호남지역에서 보수정당이 어부지리로 당선된 사례는 전남 순천시 지역도 있었다.[5]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6]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7] 민주당에 신설 합당.[8]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9]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1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1]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2] 바른미래당, 대안신당과 신설 합당.[13] 더불어민주당 복당을 위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