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종(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태조 태종인종전폐제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성종헌종숙종위목제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양익제중폐제소종공황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장종중종영종세종
제17대제18대제19대복위
경종신종진종신종
제20대제21대제22대제23대
현종玄宗가종희종유종
제24대제25대제26대제27대
후폐제순종의종현종顯宗
제28대감국복위
민제숭양공민제



묘호인종(仁宗)
시호흠문인효선명총예선황제
(欽文仁孝宣明聰睿宣皇帝)
레(Lê / 黎 / 여)
방꺼(Bang Cơ / 邦基 / 방기)
생몰기간1441년 ~ 1459년
재위기간1442년 ~ 1459년

1. 소개
2. 생애



1. 소개[편집]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제3대 황제. 묘호는 인종(仁宗), 시호는 선황제(宣皇帝). 휘는 방 꺼(Bang Cơ, 邦基/방기). 태종 여원룡의 아들.


2. 생애[편집]


이복형 여의민(黎宜民)이 황태자에서 폐위되어서 그 대신에 여방기가 황태자로 책봉 되었다.

1442년, 아버지 태종이 사망하자, 생후 12개월도 안된 인종은 황제로 즉위하였다. 인종이 나이가 어렸기에 생모인 선자태후(宣慈太后)가 섭정하였다. 인종의 재위기간 대부분은 선자태후의 섭정 통치이며, 정치적으로는 혼란했지만, 백성들의 삶은 평안하였다.

1459년, 황태자에서 폐위되어서 황제가 되지 못한 이복 형 여의민이 쿠데타를 일으켜서 인종과 그의 생모 선자태후를 죽이고 자신이 황제로 즉위하게 된다. 이러한 혼란기는 성종(聖宗)이 황위에 오른 후에야 끝이 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3:31:31에 나무위키 인종(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