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의신청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총칙적극행정 · 기간의 계산 · 나이의 계산 및 표시
행정의 법 원칙법치행정의 원칙 · 평등의 원칙 · 비례의 원칙 · 성실의무 · 권한남용금지의 원칙 · 신뢰보호의 원칙 ·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 행정의 자기구속의 원칙
행정작용처분 · 인허가의제( 인가 / 허가 ) · 공법상 계약 · 과징금 · 행정상 강제( 행정대집행 / 이행강제금 / 직접강제 / 강제징수 / 즉시강제 ) · 이의신청 · 재심사
행정입법행정입법
공법민사법형사법행정법현행 법률
헌법
민법
민소법
상법
형법
형소법
행정기본법



1. 개요
2. 행정심판와 차이
3. 행정기본법 제36조 시행 이후



1. 개요[편집]


강학상 이의신청이란 행정청의 처분 등에 의해 권리 또는 이익이 침해된 자가 행정심판위원회가 아닌 처분청에 제기하는 불복절차를 의미한다.



2. 행정심판와 차이[편집]


이의신청과 행정심판의 구분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심판기관의 차이
    • 이의신청은 보통 처분청에 제기하는 반면 행정심판은 처분청 상급 행정청 소속의 행정심판위원회에 제기하게 된다.
  2. 사법절차의 준용여부
    • 이의신청은 사법절차가 준용되지 않으나 행정심판은 사법절차가 준용된다. 이때 사법절차란 판단기관의 독립성과 공정성, 대심적 심리구조,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 보장 등이 있다.
  3. 심판청구 가능여부
    • 이의신청의 경우 이의신청결정이 있은 뒤에도 행정심판청구가 가능하나, 행정심판의 경우 행정심판법 제51조 규정에 따라 다시 행정심판을 제기할 수 없고, 불복시 항고소송을 제기하여야 한다.


3. 행정기본법 제36조 시행 이후[편집]


행정기본법이 시행됨에 따라 많은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행정기본법/내용을 참조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1:15:59에 나무위키 이의신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