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유림(배드민턴)

덤프버전 :

파일:삼성생명 이유림.jpg
이름이유림(Lee Yurim)
국적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출생2000년 1월 27일(24세), 경기도 시흥시
학력진말초등학교
시흥능곡중학교
장곡고등학교
종목배드민턴
주종목여자복식, 혼합복식
신체163cm, 54kg
소속삼성생명 배드민턴단
장비요넥스 나노플레어 700
후원사요넥스코리아(국가대표팀 스폰서)
테크니스트(소속팀 스폰서)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기록
5.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배드민턴 선수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11년~2017년[편집]


초등학교 5학년 때 처음 배드민턴을 시작했는데, 계속 재능을 보여 장곡고등학교 2학년 시절 당시 최연소 국가대표로 선발되는 등[1]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2017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백하나와 함께 여자복식 금메달을 획득했고 혼성 단체전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2.2. 2018년[편집]


베트남 인터내셔널 챌린지 우승으로 시니어 국제대회 첫 정상에 올랐다. 5월에 열린 호주 오픈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는데, 공희용-김소영 조를 꺾기도 했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세계랭킹 상위권 진입이 가시권에 있었으나, 2018년 종별선수권 대회 경기 도중 왼쪽 무릎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는 중상을 입었다.[2] 어쩔 수 없이 백하나는 새 짝을 찾아야 했다. 이후 백하나는 김혜린을 거쳐 정경은과 짝을 이뤘고, 정경은-백하나 조는 각종 대회에서 활약하며 세계랭킹을 10위까지 끌어올렸다.

2.3. 2019년~현재[편집]


삼성생명 배드민턴단에 영입되었고, 재활 과정을 거친 후 복귀하여 2019년 종별선수권대회 여자복식에서 김하나와 함께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각종 대회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였으며 2019-20 시즌 잠시 이탈했던 국가대표도 또한 2021년 막판 재선발되었다. 현재 소속팀에서 김혜정과 함께 여자복식, 그리고 김원호와 함께 혼합복식에 출전하다 2021년 말 백하나와 재결합했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전형적인 복식 후위플레이어이자 하드히터-하드워커 스타일의 선수로 160cm 초반의 키로 배드민턴 선수치고는 신장이 작지만, 파워가 매우 좋아 후위에서의 공격력이 굉장히 위력적이다. 여자 선수로써는 드물게 점프스매싱을 구사하여[3] 작은 신장임에도 높은 타점에서 스매싱을 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점프 스매싱은 무릎 부상 이후 잠시 사용 빈도가 줄었으나, 재활을 거치고 다시 대표팀에 승선하게 되면서 부상 이전만큼의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수비가 약점으로 꼽히는 다른 후위플레이어들과는 다르게 민첩성을 기반으로 한 코트 커버력도 상당해서 코트에서 몸을 날리는 데 주저하지 않아 예상치 못한 위치에 떨어지는 셔틀콕도 받아내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다만 많이 뛰는 스타일의 특성 상 체력 소모가 심하고 또다른 부상을 당할 위험성 또한 존재한다. 이에 대비하여 소속팀 및 대표팀에서의 체계적인 관리는 필수적으로 보인다.

4. 수상 기록[편집]


아시아 팀선수권
은메달2023 두바이혼성 단체전
동메달2018 알로르세타르단체전
우버 컵
동메달2018 방콕단체전
금메달2022 방콕여자 단체전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2017 욕야카르타여자 복식
동메달2017 욕야카르타혼성 단체전
주니어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17 자카르타혼성 단체전
금메달2017 자카르타여자 복식
은메달2016 방콕혼성 단체전
은메달2016 방콕혼합 복식

5. 여담[편집]


  • 삼성생명 배드민턴단의 배드민턴 전문채널인 콕쳐 시즌 1에서 패널로 고정출연했다.
  • 좋아하는 거트의 색깔은 분홍색이라고 한다.
[1] 이후 이 기록은 소속팀 후배 안세영에 의해 깨졌다.[2] 순간적인 스텝 오버가 몹시 중요한 라켓운동인 배드민턴에서 십자인대 부상은 선수 생명에 치명적이다.[3] 이유림 이외에도 김가은, 김보민, 백하나, 이소희가 점프 스매싱을 구사할 수 있으나 이들 중 사용 빈도는 이유림이 가장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8:47:57에 나무위키 이유림(배드민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