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신형/라이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신형




1. vs 김민철[편집]


일명 혁벽대전.
두 선수의 대결은 브루드워때부터[1] 이어져 자유의 날개를 거치며 꾸준히 있어왔다. 특히 군단의 심장이 시작된 직후 저테전의 정점에 선 대결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망고식스 결승전을 제외한[2] 대부분의 경기에서는 이신형이 너무나도 압도적인 모습으로 승리하기에 경기력 자체는 김이 빠진다고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 이후로는 이신형이 높은 평가를 받기보다는 테저전 밸런스가 망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득세했다.

그나마 프로리그에서의 경기들이 치열한 혈전을 보여주며 대역전극 같은 명경기들을 보여주기는 한다. 이후 한동안 만나지 못하다가 2014년 GSL Season 2 16강 최종전이라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나 오랜만에 좋은 경기를 만들어냈으나, 여기에선 지고 말았다.

그후 김민철의 기량이 하락하며 둘이 만날 기회가 사라지다가 김민철의 은퇴로 둘의 대결을 이제 볼 수 없게 되었다.

대회라운드스코어결과
브루드 워
20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2라운드 5주차 3세트0-1패배
20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5라운드 5주차 3세트0-1패배
20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5라운드 5주차 에이스결정전1-0승리
2010-11 신한은행 프로리그6라운드 2주차 5세트0-1패배
2011-12 SK플래닛 프로리그1라운드 2주차 4세트0-1패배
자유의 날개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2듀얼 토너먼트1-0승리
2012 HOT6 GSL Season 5코드 S 8강3-0승리
군단의 심장
2012-13 SK플래닛 프로리그4라운드 4주차 3세트0-1패배
2012-13 SK플래닛 프로리그5라운드 4주차 에이스결정전1-0승리
MANGOSIX GSL결승전3-4패배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PL 8강3-0승리
2012-13 SK플래닛 프로리그플레이오프 결승전 2세트1-0승리
WCG 2013 국가대표 선발전3위 결정전2-0승리
2014 HOT6 GSL Season 216강 최종전1-2패배

  • 총 스코어 : 이신형 16 vs 11 김민철

2. vs 조성주[편집]


망고식스 결승전에서 김민철에게 불의의 일격을 당하며 준우승을 했지만, 바로 이어진 시즌 파이널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우려를 잠재웠고,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에서도 승승장구하며 4강에 진출, 상대는 로얄로더의 꿈을 꾸던 조성주. 하지만 모두가 이신형의 압승을 예상했던 것과는 다르게 조성주가 이신형을 압도하며 0:4 충격의 셧아웃을 선사한다. 이신형은 이 4강의 충격이 컸던 지 이후 1년여 동안 별다른 성적을 내지 못하게 된다.

옥션 올킬 4강 이후 프로리그에서도 두번 만나 두번 다 패배하며 0:6. 천적관계를 굳히는가 싶었지만 GSL 4강에서 조성주를 다시 만나 4:1이라는 스코어상으로도 경기내용상으로도 2년 전 빚을 깨끗히 갚아주며 결승에 진출. GSL 우승을 차지한다.

4강 이후 만난 프로리그에서 패배하나, 공허의 유산 전환 이후 세 번 만나 세 번 다 이기며 천적관계를 씻고 타이스코어를 맞췄다.

대회라운드스코어결과
옥션 올킬 스타리그 20134강0:4
2015 프로리그 2라운드5주차0:1
2015 프로리그 3라운드플레이오프0:1
2015 GSL Season 3 Code S4강4:1
2016 프로리그 1라운드6주차0:1
2017 SSL 시즌1 프리미어정규시즌 3주차2:0
IEM 시즌 12 상하이16강 승자전2:1
2017 SSL 시즌2 프리미어정규시즌 5주차2:1

  • 총 스코어 : 이신형 10 vs 10 조성주

3. vs 윤영서[편집]


이신형이 스타크래프트 2 : 자유의 날개 로 종목 전환을 할 당시 윤영서가 제일 먼저 이신형의 잠재력을 주목했고, 상대하기 부담스럽다고 언급했다. 이후 윤영서와 이신형의 경기는 대부분 테테전 명경기들로 회자된다. 특히 2013 WCS Season 2 Finals 16강 3세트, 뉴커크 재개발 지구에서 펼쳐진 52분간의 혈전은 군단의 심장 역대급 테테전으로 손꼽힌다.[3]

이신형의 기량이 최고조이든 최저조이든 둘이 만날 때마다 이신형이 고전을 면치 못했다는 점이 신기하다. 대체로 윤영서의 약점이 국내대회에서의 판짜기에 약하다는 것인데 이신형이 국내대회든 국제대회든 정석적인 성향인데다 테테전에서 피지컬 믿고 초반에 수비적으로 가다 사소한 손해는 감수하는 경우가 많았기에 윤영서와의 상성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대회라운드스코어결과
자유의 날개
2012-13 SK플래닛 프로리그1라운드 4주차 4세트0-1패배
2013 HOT6 GSL Season 1코드S 16강2-1승리
군단의 심장
2012-13 SK플래닛 프로리그4라운드 3주차 2세트0-1패배
2012-13 SK플래닛 프로리그5라운드 1주차 2세트1-0승리
2013 WCS Season 2 Finals16강1:2패배
2013 SC2 League[4]결승전0-1패배
2013 DreamHack Open결승전0:3패배
2013 DreamHack Eizo Open Winter조별리그 Gruop C1:2패배
Warer.com Invitational3,4위전2:3패배
ATC Season 3조별리그-승리
Dragon Invitational Tournament #216강2:1승리
2014 WCS Global Finals8강1:3패배

  • 총 스코어 : 이신형 12 vs 20 윤영서

4. vs 주성욱[편집]


유독 주성욱에게는 약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맨 처음 만난 2013 WCG 선발전에서의 승리 이후로 만나기만 하면 패배하고 있다.
최근에 벌어진 IEM Season Ⅸ - World Championship에서도 풀세트 접전 끝에 패배하고 프로리그 결승전에서도 패배하면서 천적 관계가 계속 굳혀지고 있다.
빵셔틀이라 일진은 이길 수가 없다고 하더라
하지만 최근에 벌어진 2015 HOT6 GSL Season 3 8강에서 3:1로 승리하며 차이를 좁혔으며 2015 WCS Global Finals 16강에서 다시 만나 3:0으로 압살하며 천적에서 라이벌로 다시금 관계를 고쳤다.

대회라운드스코어결과
프로리그 12-131라운드0:1
2013 WCG 한국 대표 선발전8강2:1
2013 IEM Season Ⅷ New York 아시아 최종 예선4강1:2
2014 GSL Season 1 Code A48강0:2
2014 GSL Season 2 Code S16강0:2
IEM Season Ⅸ - World Championship8강2:3
IEM Season X gamescom 한국/타이완 예선4강2:1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4라운드6 Set0:1
2015 GSL Season 3 Code S8강3:1
2015 WCS Global Finals16강3:0
Leifeng Cup 1584강2:0
SHOUTcraft Kings 2016 December1:0

  • 총 스코어 : 이신형 31 vs 29 주성욱

5. vs 한지원[편집]


공식전 전적 자체는 많은 편이 아닌데 한동안 비공식전을 전부 합쳐도 다전제에서 이긴 적이 한번도 없었던 극상성이었지만, 2015년 마지막 군단의 심장 기반의 GSL에서 한지원을 상대로 4:2라는 스코어로 우승을 차지하며 어느 정도 따라잡았다. 사실 상대전적보다는 우승의 가치가 더 크다

대회라운드스코어결과
군단의 심장
2015 프로리그 2라운드2주차 2세트0-1패배
SSL 2015 Season 232강2-3패배
SSL 2015 Season 38강2-3패배
2015 GSL Season 3결승4-2승리
공허의 유산
2017 GSL Season 132강2-0승리
SSL Premier 2017 Season 17주차2-1승리

  • 총 공식 상대전적: 이신형 16 vs 한지원 17 [5]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6:42:30에 나무위키 이신형/라이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브루드워 당시에는 김민철이 압도적 우위였다.[2] 물론 결승전도 3세트까지는 이신형이, 나머지 세트는 김민철이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대비되긴 했다.[3] 체제가 메카닉과 바이오닉으로 맞물리면서 양 선수간의 무게추가 왔다갔다한다.[4] EG 관련 스폰서가 주최한 단체전[5] 비공식전 포함시 12 vs 17+비공식전 포함 다전제 전적 이신형 1 vs 한지원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