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시방

덤프버전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사공신(인조)
[ 펼치기 · 접기 ]

1623년 3월 13일 인조에 의해 책록
정사일등공신 (1등)
김류이귀김자점심기원
신경진이서최명길이흥립
구굉심명세


정사이등공신 (2등)
이괄김경징신경인이중로
이시백이시방장유원두표
이해신경유박호립장돈
구인후장신심기성
정사삼등공신 (3등)
박유명한교송영망이항
최래길신경식구인기조흡
이후원홍진도원우남김원량
신준노수원유백증박정
홍서봉이의배이기축이원영
송시범김득홍효손김연
유순익한여복홍진문유구



파일:이시방.jpg
이시방
李時昉
출생1594년(선조 27)
사망1660년(현종 1)[1]
계명(季明)
서봉(西峯)
본관연안 이씨[2]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조선 중기의 문신. 인조반정의 주역 이귀의 아들로 이시백의 동생이다. 배위는 이수검의 딸 청주 이씨다.


2. 생애[편집]


1594년 연평부원군 이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귀가 반정에 참여할 당시에는 이시방은 유생이었으나 아버지의 권유로 인조반정에 가담하여 공을 세웠고 이에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으로 연성군(延城君)에 봉해졌다.[3]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군사를 모아 반란군을 토벌했으며 정묘호란 때 인조가 강화도로 피난하기에 앞서 순검사가 되어 먼저 강화도에 가서 군비를 정비하고 경계를 엄히 했는데 인조가 도착한 뒤에는 8도의 군량미를 조달하는 중책을 맡기도 했다. 병자호란 때는 즉시 군사를 동원해 남한산성의 위급을 구원하지 않았다는 죄로 정산에 유배되었다가 1640년 사면되어 제주목사로 나갔다. 제주목사 역임 당시 광해군이 죽자 소복으로 친히 염습하여 사변을 잘 처리하기도 했는데 그가 저술한 <서봉일기>에도 광해군 사후 처리 과정을 자세히 기록했다. 이후 병으로 직책을 그만두었으나 1642년 겨울에 광주수어사가 되었으며 이어 병조참판에 제수되었으나 본의아닌 일로 파직되었고 1644년 다시 광주수어사가 되었으나 마침 심기원의 역변이 일어났는데 형 이시백과 함께 관련이 있었다는 흉서 사건으로 피해를 입었다.

1645년 호조참판이 되어 충청도와 전라도에 대동법을 실시할 것을 강력히 주장했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1647년 병조참판을 거쳐 가선대부가 되었고 1648년 공조판서에 올랐다. 인조가 죽자 산릉제조를 거쳐 형조판서가 되었고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이후 사은사의 부사로 청나라에 들어가 외교를 통해 조선에 대한 의심을 풀도록 했으며 그 뒤 호조판서가 되어 폐정 개혁에 힘썼다. 그러나 김자점이 역적으로 몰리자 당시 자신의 누이인 예순비구니가 김자점의 아우인 김자겸과 결혼하여 김자점과 가까웠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1659년 현종이 즉위하자 공조판서로서 판의금부사를 겸하여 김육의 대동법을 지지하였으나 곧 병으로 죽었는데 이후 영의정으로 추봉되었고 연성부원군에 증직되었다.


3. 기타[편집]


  • 독립유공자 이설은 이시방의 직계 9대 봉사손(奉祀孫)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3:19:08에 나무위키 이시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형인 이시백과 같은 해에 죽었다.[2] 소부감판사공파.[3] 사실 반정 당시 유생이었던 이시방이 아버지 이귀의 권유로 인해 가담했을 정도면 이귀는 실패했을지도 모르는 반정에 자신의 형인 이자에게 입양된 차남 이시담을 제외한 온 가족을 가담시켜 모든 것을 걸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