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사공

덤프버전 :


당(唐) 정난군절도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한택한전의양혜림이연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이원장후전진이청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이우부량필이환황중질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이창언유원미기이업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최씨이복정조전재빈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초국부인서(婿)이연원호씨이현례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제갈상이사공이사간이성경
복위제29대제30대제31대
이사간이이창이인복이이초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안종진이비은이극예이계균
제36대
이계봉
서하 군주




당항 정난절도사 초대 수령
李思恭 | 이사공
묘호없음
시호없음
작위하국공(夏國公)
성씨탁발(拓拔) → 이(李)
사공(思恭)
탁발중건(拓跋重建)
생몰? ~ 886년
재위882년 ~ 886년
1. 개요
2. 생애
3. 같이보기




1. 개요[편집]


李思恭/拓拔思恭
당나라 말기 탕구트족의 수령으로 정난군 절도사, 하국공에 임명되었고 유주 자사를 자칭했고 서하 태조 이계천의 조상이다.


2. 생애[편집]


881년
3월 군대를 일으켜 역적을 토벌했다.
4월 하,수,은 절도사를 임시로 맡았다.
4~7월 황소가 장악한 장안 탈환을 도왔다.
8월 하,수,은 절도사에 임명되었다.
9월 적장 상양,주온[1]과 싸웠는데 동생 사충이 죽었다.
12월 하주가 정난군의 칭호를 받았다.

882년
1월 경성남면도통에 임명되었다.
8월 경성사면도통에 임명되었다.

883년
4월 안문절도사 이극용을 따라 장안을 회복했다.
7월 진(晉)에서 하국공에 임명받았고 당희종이 태자태부를 더하고 하국공에 임명했다.

885년
9월 빈녕군을 모아 하중(河中)을 토벌했다.

888년
부,연 지역을 취하고 동생 사효를 유휴에 임명했다.

895년
이사공이 죽었는데 그의 아들 인우가 일찍이 죽었고 손자 이창이 어려서 동생 사간이 그를 계승했다.


3. 같이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21:49:35에 나무위키 이사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전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