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순숙비

덤프버전 :




고려 현종의 후궁
원순숙비 | 元順淑妃
출생미상
사망1057년 5월
본관부계 - 경주 김씨
모계 - 미상
부모부친 -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김인위
(尙書左僕射 叅知政事 金因渭)
모친 - 미상
형제자매
2남 3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원순숙비
계림국대부인(鷄林國大夫人) 김씨[1]
김원황
김원정
김원충
[1] 이자연 부인
배우자현종
자녀
1녀 이상 [ 펼치기 · 접기 ]
장녀 - 경성왕후
차녀 - 왕녀[A]
[A]고려사》에 경성왕후가 “경흥원(景興院)의 장녀”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최소 두 명의 딸을 두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처경흥원(景興院)
작호경흥원주(景興院主)
→ 덕비(德妃)
시호원순숙비(元順淑妃)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1. 개요[편집]


고려 제8대 국왕 현종의 후궁.


2. 생애[편집]


평장사(平章事) 김인위 딸이다.

이자연의 아내 계림국대부인(鷄林國大夫人)과 자매이자 문종의 비 인예왕후 이씨, 인경현비(仁敬賢妃) 이씨, 인절현비(仁節賢妃) 이씨의 이모이다.

경흥원주(景興院主)로 입궐해 1024년 음력 1월 24일 '덕비(德妃)'로 책봉되었으며, 그 해 9월 원순숙비의 아버지 김인위에게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주국 경조현 개국남(尙書左僕射 叅知政事 柱國 京兆縣 開國男)'의 작위와 식읍 300호가 내려지고, 잉령치사[1]하게 했다.

1057년 음력 5월 원목왕후의 장례에 대해 문종이 대신들과 의논할 때 "을미년 12월 판지에 경흥원주 귀비(景興院主 貴妃)를 문화대비의 예에 의하여 장례하고, 그 능호를 제하게 하였다."고 한 것을 보아 그 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이며, 장례는 문화왕후 김씨의 예로 능호 없이 치러진 것으로 보인다. '원순숙비(元順淑妃)'는 시호다.

슬하에 딸로 덕종의 제1비 경성왕후가 있는데, 《고려사》에 경성왕후를 “경흥원(景興院)의 장녀”로 서술한 것과 관련되어, 최소 두 명의 딸을 두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가족관계[편집]


  • 아버지: 김인위
    • 자매: 계림국대부인(鷄林國大夫人) 김씨 - 이자연의 아내
      • 조카: 인예왕후 - 문종의 제2비
      • 조카: 인경현비(仁敬賢妃) - 문종의 제3비
      • 조카: 인절현비(仁節賢妃) - 문종의 제4비

  • 시아버지: 안종 - 추존왕
    • 남편: 현종
      • 딸: 경성왕후 김씨 - 덕종의 제1비
      • 사위: 덕종
      • 딸: 왕녀[A]
[1] 임금의 명에 따라 벼슬을 하는 것.[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12:55:14에 나무위키 원순숙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