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윤성(야구선수)

덤프버전 :

오윤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bb2848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1164d><colcolor=#FFF><width=20%> '''투수''' || '''4 [[이승관|{{{#000000,#FFFFFF 이승관}}}]]^^#^^ · 7 [[김진욱(2002)|{{{#000000,#FFFFFF 김진욱}}}]] · 11 [[정윤환|{{{#000000,#FFFFFF 정윤환}}}]]^^#^^ · 15 [[김태현(야구선수)|{{{#000000,#FFFFFF 김태현}}}]] [br] 17 [[이수민(야구선수)|{{{#000000,#FFFFFF 이수민}}}]]^^#^^ · 18 [[오윤성(야구선수)|{{{#000000,#FFFFFF 오윤성}}}]] · 19 [[김재영(야구선수)|{{{#000000,#FFFFFF 김재영}}}]]^^#^^ · 20 {{{#000000,#FFFFFF 이가미}}} [br] 21 [[박윤철|{{{#000000,#FFFFFF 박윤철}}}]] · 24 [[이태규(야구선수)|{{{#000000,#FFFFFF 이태규}}}]] · 29 [[유지성|{{{#000000,#FFFFFF 유지성}}}]] · 31 {{{#000000,#FFFFFF 최정욱}}} [br] 39 [[최지민|{{{#000000,#FFFFFF 최지민}}}]] · 40 [[한선태|{{{#000000,#FFFFFF 한선태}}}]]^^#^^ · 41 [[이근혁|{{{#000000,#FFFFFF 이근혁}}}]] · 43 [[서준원|{{{#000000,#FFFFFF 서준원}}}]] [br] 44 [[양경모(야구선수)|{{{#000000,#FFFFFF 양경모}}}]] · 45 {{{#000000,#FFFFFF 백동운}}} · 54 [[오세훈(야구선수)|{{{#000000,#FFFFFF 오세훈}}}]] · 55 {{{#000000,#FFFFFF 김효준}}} [br] 62 [[하준수(야구선수)|{{{#000000,#FFFFFF 하준수}}}]]^^#^^ · 67 [[정이황|{{{#000000,#FFFFFF 정이황}}}]]^^#^^ · 99 [[김승현(1992)|{{{#000000,#FFFFFF 김승현}}}]]^^#^^ · # [[구대성|{{{#000000,#FFFFFF 구대성}}}]]''' || || '''포수''' || '''10 [[허관회|{{{#000000,#FFFFFF 허관회}}}]] · 22 [[김기연(야구선수)|{{{#000000,#FFFFFF 김기연}}}]] · 25 {{{#000000,#FFFFFF 곽지민}}} · 26 [[김시앙|{{{#000000,#FFFFFF 김시앙}}}]]^^#^^ [br] 32 [[조형우|{{{#000000,#FFFFFF 조형우}}}]] · 42 [[박상언|{{{#000000,#FFFFFF 박상언}}}]]^^#^^''' || || '''내야수''' || '''1 [[송찬의|{{{#000000,#FFFFFF 송찬의}}}]] · 2 [[신준우|{{{#000000,#FFFFFF 신준우}}}]] · 3 [[김민석(타자)|{{{#000000,#FFFFFF 김민석}}}]] [br] 5 [[김주성(야구선수)|{{{#000000,#FFFFFF 김주성}}}]] · 14 [[김규성|{{{#000000,#FFFFFF 김규성}}}]] · 23 [[서호철|{{{#000000,#FFFFFF 서호철}}}]] [br] 36 [[김서진(야구선수)|{{{#000000,#FFFFFF 김서진}}}]] · 52 [[김태연(야구)|{{{#000000,#FFFFFF 김태연}}}]] · 56 [[박정현(2001)|{{{#000000,#FFFFFF 박정현}}}]]^^#^^''' || || '''외야수''' || '''13 [[하재훈|{{{#000000,#FFFFFF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27 [[박찬혁|{{{#000000,#FFFFFF 박찬혁}}}]] · 28 [[이진영(1997)|{{{#000000,#FFFFFF 이진영}}}]] [br] 35 [[김석환|{{{#000000,#FFFFFF 김석환}}}]]^^#^^ · 38 [[유상빈|{{{#000000,#FFFFFF 유상빈}}}]]^^#^^ · 47 [[오장한|{{{#000000,#FFFFFF 오장한}}}]] · 50 [[이원석(1999)|{{{#000000,#FFFFFF 이원석}}}]]^^#^^ [br] 51 [[장진혁|{{{#000000,#FFFFFF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57 [[박주홍|{{{#000000,#FFFFFF 박주홍}}}]] · 97 [[권광민|{{{#000000,#FFFFFF 권광민}}}]]''' || || '''투타겸업''' || '''16 [[장재영(야구선수)|{{{#000000,#FFFFFF 장재영}}}]]^^#^^''' || ||<-2> '''
[[코치(스포츠)#s-2.1|{{{#FFFFFF {{{-2 감독}}}}}}]]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이병규(1974)|{{{#FFF {{{-2 이병규}}}}}}]] ·
[[코치(스포츠)|{{{#FFFFFF {{{-2 투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손정욱|{{{#FFF {{{-2 손정욱}}}}}}]][br]
[[코치(스포츠)|{{{#FFFFFF {{{-2 야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윤진호(야구)|{{{#FFF {{{-2 윤진호}}}}}}]] ·
[[코치(스포츠)|{{{#FFFFFF {{{-2 배터리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윤수강|{{{#FFF {{{-2 윤수강}}}}}}]]''' || ||<-2> {{{-2 ^^#^^ 중도 귀국 선수}}} ||




오윤성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60번
황덕균
(2016)
오윤성
(2017~2018)
조영건
(2019)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01번
최민섭
(2016~2017)
오윤성
(2020)
김성진
(2021~2021.4.30.)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40번
김준연
(2020)
오윤성
(2021~2023)
결번
질롱 코리아 등번호 18번
김인범
(2019-20)
오윤성
(2022-23)
팀 해체

파일:키움 오윤성 프로필.png
오윤성
吳允成 | Oh Yoonsung
출생1998년 12월 10일 (25세)
인천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인천서림초 - 신흥중 - 인천고
신체183cm, 80kg
포지션중간계투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2017년 2차 4라운드 (전체 37번, 넥센)
소속팀넥센-키움 히어로즈 (2017~2023)

질롱 코리아 (2022/23)
병역현역 (2019~2020)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2.2.1. 2017 시즌
2.2.2. 2018 시즌
2.2.3. 전역 및 이후
3. 연도별 성적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넥센-키움 히어로즈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2.1. 아마추어 시절[편집]


고교 시절 147Km/h까지 속구 구속을 기록하여 여러 구단의 관심을 받았지만, 이후 활약이 썩 좋지는 않았는지 2017년 드래프트에서 넥센에 2차 4라운드 37순위로 지명되었으며, 육성선수로 계약하였다.

2.2. 넥센-키움 히어로즈[편집]



2.2.1. 2017 시즌[편집]


5월 정식 선수로 전환되었다. 5월 23일 NC 다이노스를 상대로 추격조로 등판하며 데뷔전을 가졌는데, 이 날 등판한 넥센의 투수 신재영, 마정길, 하영민, 금민철, 오윤성 중 유일하게 무실점을 기록하여 주목받았다. "프로는 역시 다르네요" 넥센 오윤성.

그러나 6월 13일 고척 NC전에서 3회 한현희가 2이닝 소화 후 팔꿈치 통증으로 강판되자마자 몸도 제대로 못 풀고 올라와서는 2이닝 7실점 70구로 처참하게 멸망해버렸다. 이 와중에 장정석 감독은 별다른 조치 없이 그냥 지켜보기만 했다는 증언들이 터지며 이기는 상황에서도 경기를 던진다고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었다.[1] 급작스럽게 끌려나온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지나치게 무기력한 투구였기 때문에 결국 2군행. 이후 퓨처스리그에서 계투로 종종 등장했지만 매 경기 꼬박꼬박 실점하며 2군 ERA도 9점에 육박한다. 그나마도 7월 6일 이후로는 등판이 없는 상태. 사실상 방치된 채 외롭게 공을 던져야만 했던 6월의 그 경기가 트라우마로 남은 것일까.


2.2.2. 2018 시즌[편집]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는데, 4월 22일 현재 2패 ERA 11.91을 찍고 있다. 작년의 사건 이후 좀처럼 감을 잡지 못하는 모습. 최종 성적도 11게임 4패 27.1이닝 ERA 15.80으로 매우 저조하다.

키움 히어로즈 홈페이지에 따르면 시즌 후 현역으로 입대했다고 한다.


2.2.3. 전역 및 이후[편집]


키움 히어로즈 홈페이지에 따르면 2020년 7월 21일 전역 예정이었고, 무사히 전역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반 현역 입대라 군복무 중 제대로 된 훈련을 받기 어려웠을 터이니 잔여시즌 동안 1군에 얼굴을 내밀긴 쉽지 않을 듯. 퓨처스에도 전혀 출장하지 않았다.

2021년에는 퓨처스 고양에서 13게임 12이닝 ERA 6.75의 성적을 올렸다. 4월부터 10월까지 꾸준히 구원투수로 출장했는데도 총 13게임만 던진 것을 보면 몸 상태가 아직도 완전하진 않은 모양이다. 이와 관련해 팀에서 더 기대해볼 부분이 있었는지 재계약에 성공했다.

2022 시즌 역시 퓨처스에서 시작했으며 꾸준히 계투로 출장하는 중이지만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6월 1일까지 총 12게임에 등장했는데 이중 10게임에서 실점을 했으며 그 결과가 ERA 9.60, 피안타율 0.391로 영 좋지 않다.

2022 시즌 후 질롱코리아에 파견되었다. 퓨처스 성적이 부진해 방출될 가능성도 높았지만, 나이도 아직 젊어서 그런지 조금 더 지켜보려고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2023 시즌 1군에 콜업되지 못하였고 퓨처스에서 20경기 무승 3패 ERA 9.70으로 시즌을 마쳤다.

10월 16일, 육성선수 말소가 되며 방출되었다.


3.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이닝승률ERAERA+피안타피홈런볼넷탈삼진실점자책점WHIP
2017넥센-키움67⅔01000.00011.7442.49010410102.35
20181군 기록 없음
2019군복무
2020
20211군 기록 없음
2022
2023
KBO 리그 통산
(1시즌)
67⅔01000.00011.7442.49010410102.35

4. 관련 문서[편집]


[1] 4대3으로 리드중이었던 건 사실이다. 3회라서 문제지. 애초에 이렇게 이른 시점에 승리를 기대하고 내보낼 만한 선수가 넥센에는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0:05:29에 나무위키 오윤성(야구선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