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엑스맨/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92년에 방영된 미국 애니메이션에 대한 내용은 엑스맨(TV 시리즈) 문서
엑스맨(TV 시리즈)번 문단을
엑스맨(TV 시리즈)# 부분을
, 2023년 공개 예정인 미국 애니메이션에 대한 내용은 엑스맨 '97 문서
엑스맨 '97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엑스맨 '97#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지구-101001 세계관 배경의 마블 코믹스 애니메이션
아이언맨
아이언맨 라이즈 오브 테크노보어
울버린
엑스맨블레이드
어벤저스 컨피덴셜: 블랙 위도우 & 퍼니셔


엑스맨 (2011)
エックスメン
X-MEN
파일:엑스맨_애니키비주얼.jpg
작품 정보 ▼
장르슈퍼히어로
원작마블 코믹스
감독키자키 후미노리
스토리워렌 앨리스(ウォーレン・エリス)
시리즈 구성히로타 미츠타카
캐릭터 디자인요코야마 아이(横山 愛)
U-MEN 디자인오카자키 타카시(岡崎能士)
아머 디자인
사나이 디자인
미술 감독이케다 시게미(池田繁美)
색채 설계이이지마 타카에(飯島孝枝)
촬영 감독후지타 켄지(藤田賢治)
3D CG 디렉터사이토 츠카사(さいとうつかさ)
편집키무라 카시코(木村佳史子)
츠카츠네 마리코(塚常真理子)
음향 감독나카지마 토시히코
미마 마사후미
음악타카하시 테츠야(高橋哲也)
애니메이션 프로듀서후쿠시 유이치로
애니메이션 제작파일:매드하우스 로고.svg
제작Superhero Anime Partners
방영 기간2011. 04. 01. ~ 2011. 06. 24.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애니맥스 / (금) 22:00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12화
국내 심의 등급심의 없음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주제가
3. 회차 목록



1. 개요[편집]


매드하우스에서 아이언맨, 울버린에 이어 제작한 마블 애니화 시리즈 3번째 작품. 《엑스맨》의 애니메이션화 작품이다. 감독은 키자키 후미노리.

후쿠시 유이치로 프로듀서의 작품으로 후쿠시 프로듀서의 인맥으로 실력있는 애니메이터와 연출가가 많이 참가해 영상의 품질은 매드하우스 제작의 마블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최고급으로 평가받는다. 시미즈 켄이치의 작화가 특히 많은 편.

시작부터 진 그레이가 사망하는 충격적인 전개와 함께 엑스맨(X-MEN)은 그대로 활동을 정지해버린다. 그로부터 1년 후 일본인 뮤턴트 소녀 '이치키 히사코'[1]가 수수께끼의 집단에게 습격을 받게 되고 이에 찰스 제이비어 교수(프로페서 X)가 엑스맨을 재집결시키게 된다는 내용으로부터 시작된다.

등장 뮤턴트는 사이클롭스, 울버린, 스톰, 비스트, 프로페서X, 엠마 프로스트, 아머이다.

일단 스토리상의 주인공은 울버린이 아닌 사이클롭스로 보인다. 좀 깨는 부분이 있다면 에피소드 4에서 사이클롭스와 울버린이 내기 포켓볼을 하는데, 울버린이 사이클롭스의 공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입김을 불어(...) 방해하려고 한 것. 물론 그런 걸로는 막지는 못했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일본의 지역은 도호쿠. 에피소드 5부터는 도호쿠 대지진에 대한 응원 메시지가 들어가 있다.

엑스맨의 메인 빌런매그니토가 나오지 않았다.[2] 2011년 6월 25일 토요일 에피소드 12로 완결. 참고로 파이널 에피소드인 에피소드 12에선 엔젤, 콜로서스, 로그, 나이트 크로울러, 캡틴 브리튼이 출연했다. 심지어 데드풀아이언맨까지 등장. 물론 데드풀의 대사는 없다.세계가 멸망해 가는데 데드풀이 개그를 하면 분위기가 깨진다

에피소드 12 엔딩 크래딧이 끝난 후 나온 보너스 영상에서 매그니토의 감옥이 박살난 것이 묘사되었는데 매드하우스가 제작한 마블 애니메이션의 상업적 실적이 다 좋지 않아서 속편은 무산되었다.

이 작품의 최종보스는 프로페서X의 아들인 사사키 타케오인데, 능력이라던지 다중인격이라던지 하는점을 보면 일본판 리전이다.

2023년 기준으로 현재까지 역대 엑스맨 애니메이션중 마지막에 속했으나 디즈니 플러스에서 엑스맨 신작 애니가 발표되자마자 더 이상 마지막이 아니게 되었다.

2. 주제가[편집]


  • 오프닝 테마 Reassembly
    • 작곡: 타카하시 테츠야(高橋哲也)

  • 엔딩 테마 Fighting for Peace, Fighting for All
    • 작곡: 타카하시 테츠야


3.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Episode-1The Return
集結
집결
히로타 미츠타카키자키 후미노리치바 미치노리-2011.04.01.
Episode 2U-MEN
ミュータント狩り
뮤턴트 사냥
타카야시키 히데오
(高屋敷英夫)
테라오카 이와오니시모토 유키오아카이 마사타카치바 미치노리2011.04.08.
Episode 3Armor
覚醒
각성
히로타 미츠타카요코야마 아키토시요시자와 슌이치
(吉沢俊一)
요시다 미나미
(吉田 南)
아베 쿠니히로[M]
(阿部邦博)
2011.04.15.
Episode 4Transformation
二次変質
2차 변질
타카야시키 히데오니호 토모유키이케하타 히로시
(池畠博史)
세가와 신야
(瀬川真矢)
2011.04.22.
Episode 5Power
結束
결속
히로타 미츠타카카와지리 요시아키나카야마 나오미요코야마 아이
(横山 愛)
2011.05.06.
Episode 6Conflict
激戦
격전
타카야시키 히데오오오츠카 켄니시모토 유키오야마모토 미카[C]
(山本美佳)
아카이 마사타카[M]
2011.05.13.
Episode 7Betrayal
衝撃
충격
히로타 미츠타카와카바야시 신타카하시 미즈카
(高橋瑞香)
2011.05.20.
Episode 8Lost
予兆
전조
타카야시키 히데오마츠오 신
肉球博士
요시자와 슌이치요코야마 아이
아베 히사시
(阿部 恒)
아베 쿠니히로[C2]
2011.05.27.
Episode 9Revelations
暗躍者
암약자
히로타 미츠타카나가하마 히로시나카야마 나오미하야마 준이치-2011.06.03.
Episode 10Countdown
真実
진실
타카야시키 히데오아베 마사시
(阿部雅司)
타케다 이츠코
아베 히사시
야마모토 미카
코스게 히로시
(小菅 洋)
아카이 마사타카
요코야마 아이
시미즈 켄이치[A]
치바 미치노리2011.06.10.
Episode 11Revenge
終末
종말
히로타 미츠타카니시무라 사토시#애니메이션 감독 니시무라 사토시
오오츠카 켄
니시모토 유키오야마모토 미카
모로누키 테츠로
(諸貫哲朗)
아베 히사시
이이지마 히로야
(飯島弘也)
아카이 마사타카
요코야마 아이
-2011.06.17.
Episode 12Destiny

인연
키자키 후미노리치바 미치노리
아카이 마사타카
요코야마 아이
야마모토 미카
2011.06.2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6:29:16에 나무위키 엑스맨/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코드네임은 아머.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가 아니라 원작에서도 등장한 뮤턴트다. 성우는 타무라 유카리.[2] 엔딩 크레딧에 잠깐 나오고 에피소드 5에서 다리가 무너진 걸 보고 "이 정도는 매그니토나 가능하다."는 말과 함께 곧바로 "지금은 엄중히 감금되어 있어 매그니토가 이런 일을 하는 건 불가능하다."는 언급만 나온다.[M] A B 메카닉[C] 캐릭터[C2] 크리처[A] 액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