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영희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 여성 독립 운동가 ]

강원신강혜원공백순권기옥권애라
김경화김덕세김도연김마리아김란사
김순애김알렉산드라김자혜김점순김정숙
김조이김향화김효숙남자현동풍신
민영주박계남박신애박원희박자혜
박차정박현숙방원희부덕량부춘화
신마실라신순호신의경신정숙심영신
안경신안영희양방매어윤희연미당
오건해오광심오희영유관순유순희
윤용자윤희순이병희이신애이의순
이혜련이효정이희경장매성장선희
전수산전월순정정화조마리아조순옥
조신성조화벽주세죽지복영차경신
차미리사차보석최선화최용신최정숙
홍애시덕황마리아황애시덕


파일:안영희.jpg
1925년 1월 4일~1999년 8월 27일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참고자료



1. 개요[편집]


광복군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63년 대통령표창, 1977년 건국포장)수여.


2. 생애[편집]


1925년 1월 4일 평안남도 진남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중국으로 건너가 1940년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가입했다. 지복영과 함께 광복군 창설식에서 국기를 계양했고, 제5지대에 편입되었다. 그 후 제2지대에 배속되어 간호장교로 활동하였다.

해방 후 귀국하여 숙명여대에 진학했고, 졸업 후 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1990년 정년퇴임 후 국민훈장 모란장,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고, 1999년 8월 27일 별세하였다.

2015년 숙명여대 동창인 모수미 서울대 명예교수, 이재연 숙명여대 명예교수, 형난옥 도서출판 나녹 대표 등이 광복군안영희선양사업위원회를 만들었고, 2019년 '광복군 갔다고 말 전해주소 여성광복군 안영희의 삶'이란 책을 출간하였다.


3. 여담[편집]



  • 1989년에 당시 광복회장인 이강훈, 광복군 출신인 박기성과 함께 가요무대출연했다. 중국에 건너가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초모공작으로 입대했고, 부모님과는 광복 후에 안부를 전했지만 미처 월남을 하지못해 이후 이산가족으로 홀로 지냈다고 한다. 다만 광복군 출신인 안춘생이 같은 종씨로 친척지간과 같이 지냈다고 한다.

4. 참고자료[편집]


독립유공자 공훈록
숙명여자대학교.2019년 4월 24일 자.
독립운동사 제6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