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셀무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arhammer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안셀름(Warhammer) 문서
안셀름(Warhammer)번 문단을
안셀름(Warhammer)#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어거스틴로렌스멜리투스유스투스호노리우스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데우스데디트데오도르베르흐트왈드타트위네노스헬름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커스버트브레고위네얜베르흐트애델하르드울프레드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페올로일드체올노스애델레드플레이문드애델헬름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울프헬름오도앨프시예뷔르흐트헬름둔스탄
제26대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애델가르시예리치앨프리치앨프해아흐뤼빙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애델노스애아드시예로버트스티간드란프랑크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안셀름레이프윌리엄티볼드토마스 베켓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제45대
리처드볼드윈휴버트 월터스티븐 랭턴리처드 러그랜트
제46대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에드먼드보니파스로버트 킬워드비존 페컴로버트 윈첼시
제51대제52대제53대제54대제55대
월터 레이놀즈사이먼 메펌존 더스트랫퍼드토머스 브래드워딘사이먼 아이슬립
제56대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1기)
사이먼 랭엄윌리엄 휘틀시사이먼 서드베리윌리엄 코트니토마스 아룬델
제61대제60대(2기)제62대제63대제64대
로저 월든토마스 아룬델헨리 치철리존 스태퍼드존 켐프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토머스 바우처존 모턴헨리 딘윌리엄 워럼토마스 크랜머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제74대
레지널드 폴매슈 파커에드먼드 그린들존 휘트기프트리처드 밴크로프트
제75대제76대제77대제78대제79대
조지 애벗윌리엄 로드윌리엄 적슨길버트 셸던윌리엄 샌크로프트
제80대제81대제82대제83대제84대
존 틸럿슨토머스 테니슨윌리엄 웨이크존 포터토머스 헤링
제85대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매슈 허턴토머스 세커프레더릭 콘월리스존 무어찰스 매너스서턴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제94대
윌리엄 하울리존 버드 섬너찰스 롱리아치볼드 캠벨 테이트에드워드 화이트 벤슨
제95대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프레더릭 템플랜들 데이비드슨코즈모 고든 랭윌리엄 템플제프리 피셔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제104대
마이클 램지도널드 코건로버트 런시조지 캐리로완 윌리암스
제105대
저스틴 웰비




제36대 캔터베리 대주교
성 안셀름
St Anselm of Canterbury
파일:1602.jpg
출생1033년
신성 로마 제국 사보이아 백국 아오스타
사망1109년 4월 21일 (향년 76세)
잉글랜드 왕국 캔터베리
재임기간제36대 캔터베리 대주교
1093년 12월 4일~1109년 4월 21일

1. 개요
2. 생애
3. 사상
4. 저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믿기 위해서 알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알기 위해서 믿습니다."

《프로슬로기온》 서문 중

캔터베리의 성 안셀름은 제36대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캔터베리대교구의 교구장이었으며, 그리스도교 신학자임과 동시에 인간의 이성을 신의 존재론적 증명에 처음 사용한 철학자이다. 철학계에 남긴 주요 업적으로 안셀무스의 신존재증명이 있다.

2. 생애[편집]


캔터베리의 안셀름은 1033년에 이탈리아 반도 북부 사보이아 백국[1] 아오스타의 부유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클뤼니 대수도원을 포함한 프랑스의 유명한 학교들을 방문해서 교육을 받았고, 마침내 노르망디 베크의 베네딕토회 수도원에 입회해 밤낮으로 학문 연구에 몰두했다.

1067년에 안셀름은 이 수도원학교의 교장이 되어 제자인 동료 수사들을 위해서 《모놀로기온 프로슬로기온》등 많은 작품을 저술했고, 윤리적, 종교적 교육에 힘씀으로써 베크 수도원학교를 당대 최고로 발전시켰다. 안셀름이 1078년 베크 수도원의 원장이 되었을 때, 그의 명성은 이미 프랑스의 경계를 넘어 앵글로-노르만 왕국에까지 이르렀다. 안셀름은 간곡한 거절에도 불구하고 1093년에 결국 캔터베리의 대주교로 서임되었다.

하지만 안셀름은 이 직무를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에게 심각한 고통을 안겨준 오랜 분쟁에 휘말렸다. 성직자들을 직접 임명하고 교황과의 연락을 제한하는 영국 국왕의 교회직무에 관한 간섭에 대해서 안셀름음 강하게 반발했다. 결국 그는 영국 성직서임권 논쟁의 여파로 1097년, 1106년 2차례나 망명길에 올랐다. 망명 중에도 저술 활동을 멈추지 않아 《삼위일체에 대한 신앙》, 《왜 하느님은 사람이 되셨는가》 등 다수의 저작을 남겼다. 안셀름은 교회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싸우는 한편, 교회를 혁신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었음에도 사색과 묵상을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결국 1109년 성주간[2] 수요일에 사망했다.


3. 사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안셀무스의 신 존재 증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저서[편집]


  • 《모놀로기온 프로슬로기온》

  • 《삼위일체에 대한 신앙》

  • 《왜 하느님은 사람이 되셨는가》


5. 둘러보기[편집]





[1] 나중에 이탈리아를 통일하는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의 전신.[2] 부활절 직전의 1주일. 자세한 것은 부활절 항목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