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공능력평가

덤프버전 :

1. 개요
2. 도입 취지
3. 용어 변경
4. 평가기관
5. 상위 30위 건설사 명단
6. 기타



1. 개요[편집]


시공능력평가제도국토교통부가 전국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①최근 3년간의 공사실적의 연 평균액, ②경영 및 재무상태 ③기술능력 ④신인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각 업체가 1건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금액(시공능력평가액)으로 환산한 뒤 매년 7월 말에 공시하는 제도다. (8월 1일부터 1년간 적용)

건설산업기본법 제23조 및 동법 규칙 제22조~제25조를 근거로 하고 있다.


2. 도입 취지[편집]


발주자는 평가액을 기준으로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또 조달청에서는 등급별 유자격자명부, 도급하한제 근거로 활용한다.


3. 용어 변경[편집]


예전에는 시공능력평가액을 도급액, 시공능력평가액(시평액) 순위를 도급순위라고 했으나 1998년부터 용어가 변경됐다. 하지만 여전히 도급액, 도급순위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많다.


4. 평가기관[편집]


평가기관은 국토교통부지만 모든 평가를 다 할 수 없기 때문에 대한건설협회, 대한전문건설협회,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대한시설물유지관리협회에 위탁하고 있다.(건설산업기본법 제91조 제3항 및 시행령 제87조)


5. 상위 30위 건설사 명단[편집]


대한민국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대 건설사
[ 펼치기 · 접기 ]

도급순위가 산정되지 않는 공기업
파일:한국토지주택공사 CI.svg파일:경기주택도시공사 로고.svg
※ 본 틀은 매년 도급 순위(=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30개 건설사를 등재합니다. 매년 순위는 당해 8월 1일에 발표해 이듬해 7월 말까지 적용하며 이곳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단, LH와 GH는 순위에 포함되지 않으나 인지도를 고려해 본 틀에 등재합니다.





연도1위2위3위4위5위6위7위8위9위10위
1965년현대건설대림산업삼부토건동아건설산업대한전척공사삼양공무사한국전력개발공단평화건설사풍전산업신흥건설산업
1975년현대건설대림산업동아건설산업극동건설삼부토건평화건업사한국건업삼환기업한신공영미륭건설
1985년현대건설대우대림산업두산중공업삼환기업동아건설산업한진건설한양삼성물산극동건설
1995년현대건설동아건설산업대우삼성물산대림산업현대산업개발쌍용건설LG건설현대중공업두산중공업
1997년현대건설대우삼성물산동아건설산업대림산업LG건설포스코개발한보현대산업개발쌍용건설
1998년현대건설대우삼성물산동아건설산업대림산업현대산업개발LG건설쌍용건설SK건설포스코개발
1999년현대건설대우삼성물산동아건설산업대림산업현대산업개발LG건설SK건설포스코개발쌍용건설
2000년현대건설삼성물산대우대림산업현대산업개발LG건설동아건설산업SK건설포스코개발한진중공업
2001년현대건설삼성물산대우건설LG건설현대산업개발대림산업한진중공업SK건설동부건설두산중공업
2002년현대건설대우건설삼성물산LG건설대림산업현대산업개발포스코건설SK건설다이세이건설한진중공업
2003년현대건설대우건설삼성물산LG건설대림산업현대산업개발포스코건설롯데건설두산중공업한진중공업
2004년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현대산업개발대림산업LG건설포스코건설롯데건설두산산업개발한진중공업
2005년삼성물산대우건설현대건설대림산업GS건설현대산업개발포스코건설롯데건설금호산업두산산업개발
2006년대우건설삼성물산현대건설GS건설대림산업현대산업개발포스코건설롯데건설SK건설금호산업
2007년대우건설삼성물산GS건설현대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SK건설금호산업
2008년대우건설삼성물산현대건설GS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SK건설타이세이건설
2009년현대건설삼성물산대우건설GS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타이세이건설SK건설
2010년현대건설삼성물산GS건설대우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롯데건설현대산업개발SK건설두산건설
2011년현대건설삼성물산GS건설포스코건설대림산업대우건설롯데건설현대산업개발SK건설두산건설
2012년현대건설삼성물산대우건설GS건설포스코건설대림산업롯데건설현대산업개발SK건설두산중공업
2013년현대건설삼성물산대우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GS건설롯데건설SK건설현대산업개발한화건설
2014년삼성물산현대건설포스코건설대림산업대우건설GS건설롯데건설SK건설한화건설현대엔지니어링
2015년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포스코건설GS건설대림산업롯데건설SK건설현대엔지니어링현대산업개발
2016년삼성물산현대건설포스코건설대우건설대림산업GS건설현대엔지니어링롯데건설SK건설현대산업개발
2017년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대림산업포스코건설GS건설현대엔지니어링현대산업개발롯데건설SK건설
2018년삼성물산현대건설대림산업대우건설GS건설현대엔지니어링포스코건설롯데건설SK건설HDC현대산업개발
2019년삼성물산현대건설대림산업GS건설대우건설포스코건설현대엔지니어링롯데건설HDC현대산업개발호반건설
2020년삼성물산현대건설대림산업GS건설포스코건설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롯데건설HDC현대산업개발SK건설
2021년삼성물산현대건설GS건설포스코건설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롯데건설DL이앤씨HDC현대산업개발SK에코플랜트
2022년삼성물산현대건설DL이앤씨포스코이앤씨GS건설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롯데건설SK에코플랜트HDC현대산업개발
2023년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GS건설DL이앤씨포스코이앤씨롯데건설SK에코플랜트호반건설

6. 기타[편집]


개별 건설업체에 대한 자세한 평가 결과는 업종별 건설 관련 협회 누리집(대한건설협회 https://www.cak.or.kr, 대한전문건설협회 https://www.kosca.or.kr,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https://www.kmcca.or.kr, 대한시설물유지관리협회 https://www.fm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도별 국내 종합건설업체 (토건)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상위 100개 기업과 전체 순위 정보는 건설워커에서 확인 가능하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1-07 00:21:53에 나무위키 시공능력평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