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단철도

덤프버전 :

파일:external/a.hiphotos.baidu.com/d439b6003af33a87011840a3c65c10385343b516.jpg

파일:PGtoljJ.jpg
1. 개요
2. 역 목록
3. 여담


1. 개요[편집]


沈丹铁路
중국철도 노선 중 하나로, 중국의 선양역(沈阳站)과 단둥역(丹东站)을 잇는 노선이다. 1905년일제에 의해 건설, 개통되었다. 만들어질 당시에는 단둥의 이름이 안동[1], 선양의 이름은 '봉천'이었기 때문에 '안봉선'이라고 불리었다.

만주지역에 있는 쌀과 여러 공업물품을 일본으로 실어 날라 일제강점기에는 수송량이 많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는 북한이 외부와 교역이 많은 나라도 아니고 대한민국, 일본과는 교류가 전면 중단되었기 때문에 수송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북한평의선, 즉 한국 철도의 경의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향후 남북통일이 된다면 경의선을 통해 선양, 베이징 등 중국의 주요 대도시와 남한의 대도시들을 잇는 노선이 되므로 한국으로서도 상당히 중요한 노선이 될 전망이다.



2. 역 목록[편집]


단동역과 심양역의 사이는 277km, 역은 39개소이다.

선단선 역 목록
역 명역간거리기점거리
선 양沈 阳기점0
얼타이즈 [2] 二台子 12 211
펑황청凤凰城6217
장자바오张家堡7224
이몐산一面山13232
탕 허汤 河6238
탕산청汤山城6244
우룽베이五龙背9253
라오구거우老古沟7260
진산완金山湾3263
하마탕蛤蟆塘6267
사허전沙河镇7274
단 둥丹 东3277
경의선(서울 방면)[3],평의선(평양 방면)


3. 여담[편집]


  • 이 노선의 부설권과 철도의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일본이 청나라간도협약을 맺어 간도를 넘겼다고 한다. 간도 협약에서 언급되는 '안봉선'이 상기에 나왔듯 이 노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6:41:06에 나무위키 선단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래서 더 나중에 개통한 경상북도안동역은 처음에는 동음이의역을 피하기 위해 '경북안동역'으로 이름지어졌다.[2] 폐역이다.[3] 남북분단으로 운행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