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우철학상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역대 수상자 및 수상작


1. 개요[편집]


서우(曙宇) 최재희 전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1989년에 제정된 상. 저술과 번역 두 개의 부문에서 탁월한 철학적 성과를 이룩한 학자를 선정해 매년 6월 초순에 시상한다.

심리철학과 형이상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김재권이 2001년에 수상한 바 있다.

2009년을 마지막으로 시상 소식을 찾을 수 없다.

2. 역대 수상자 및 수상작[편집]


수상자의 직책 및 소속은 수상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2009년을 마지막으로 시상 소식을 찾을 수 없다.

순서시상년도수상자수상 부문수상작
제1회1989신일철 고려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신채호의 역사사상연구』
제2회1990조요한 숭실대학교 총장『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1]
제3회1991윤명로저술 부문현상학과 현대철학
강성위번역 부문『서양철학사』
제4회1992박우석 뉴욕 주립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논문 부문『Haecceitas and the Bare Particular: A Study of Duns Scotus' Theory of Individuation』[2]
제5회1993소흥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저술 부문
박찬영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한자경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논문 부문
제6회1994조윤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저술 부문
정인재 서강대학교 교수번역 부문중국철학사
제7회1995정대현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저술 부문필연성의 문맥적 이해
제8회1996조가경 뉴욕주립대 버팔로 석좌교수저술 부문
소광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번역 부문존재와 시간
제9회1997최명관 숭실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앙띠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
제10회1998박영식 광운대학교 총장『비트겐슈타인 연구-논리철학논고의 해명』
제11회1999남경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이성과 정치존재론』
제12회2000박종현번역 부문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제13회2001김재권 브라운 대학교 철학과 석좌교수저술 부문마인드의 철학
제14회2002백종현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존재와 진리:칸트 순수이성비판의 근본문제』
제15회2003이한구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교수번역 부문추측과 논박:과학적 지식의 성장 1,2』
제16회2004성염교황청 한국대사번역 부문신국론
제17회2005김동식 육군사관학교 철학과 교수저술 부문프래그마티즘
제18회2006김광명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저술 부문칸트미학의 이해』 『칸트 판단력 비판 연구
제19회2007김형효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저술 부문철학적 사유와 진리에 대하여 1,2』
제20회2008윤병태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저술 부문개념논리학』 『삶의 논리
임석진 명지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번역 부문정신현상학 1, 2』
제21회2009방인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 장정욱 박사번역 부문『역주(譯註) 주역사전(周易四箋)』

[1] 중앙일보에서 과거 기사를 인터넷에 옮겨 적는 과정에서 우 자와 자 자를 착각해서인지 제2회 서자철학상이라는 제목으로 나와 있다.[2] 핵체이타스(Haecceitas)와 헐벗은 특정성:둔스 스코투스의 개별화 이론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