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 ( [0] => [include(틀:신체 부위)] [목차] == 개요 == 하복부의 삼각형 모양의 부분으로, [[넓적다리]]와 [[생식 기관|성기]] 사이의 '''[[고간]]'''을 일컫는 [[순우리말]]이다. == 특징 == 남녀 막론하고 [[허벅지]] 사이 안쪽의 살이 맞닿는 부위인지라 [[땀]]이 차기 쉽다. 이러한 땀이 제거되지 않고 오래 묵혀 노폐물이 모일 경우 역한 [[악취]]를 내뿜음은 물론 [[습진]]으로 발전해 매우 가려워질 수 있다. 특히 [[여름]]에 말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귀두지/[[치구#s-6]]'''라 불리는 [[지방(화학)|지방]]성 분비물, [[단백질]] 대사물, 곰팡이, '''잔여 [[똥|분변]]''' 등의 다양한 물질들이 어우러질 수 있다. 샅에 잔여 분변을 남기기 싫다면 볼일보고 물로 씻는 것이 좋다. 보통 바지를 입을 경우 이쪽이 터질 확률이 높다. 몸을 움직일때 사타구니 쪽으로 계속해서 살이 쓸리기 때문.[[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jackapparel&logNo=221218499675|#]] 걸음걸이를 고치거나, 허벅지 살을 빼면 이런 일이 줄어든다. 다만 [[사이 갭]]이 있는 여성은 바지의 사타구니가 덜 닳을 것이다. [[겨드랑이]]처럼 체온으로 뜨뜻하고 습기로 눅진하고 양분이 되는 노폐물도 풍부한 등 조건이 여러 모로 알맞아서 [[세균]]이나 [[곰팡이]] 따위가 번식하기 좋은 최적의 부위다. [[완선]]이라든지. 따라서 조금만 관리에 소홀해도 [[악취]]를 풍길 수 있으니 자주 씻는 것이 좋다. [[겨드랑이]]의 아포크린 샘이 여기에도 분포하는지라 [[암내]]와 비슷하지만 앞은 성기, 뒤는 항문이 자리잡고 있다는 주변 환경 때문에 더욱 강렬한 '''[[샅내]]'''가 난다. 다만 겨드랑이에 비해 옷 속에 꽁꽁 감춰져 있고 위치가 낮아서 자각하지 못할 뿐이지. 그래도 겨드랑이 못지 않게 [[악취]]가 나는 부위라는 인식이 강해져 사타구니 전용 클리너가 시판 중이다. [[성관계]]시 반드시 상대에게 노출되는 부위이며 [[성병]]인 [[매독]]에 걸리면 궤양이 생겨 부어오른다. 사타구니 중에서 [[성기]]와 [[항문]] 사이를 회음부(perineum, 會陰部)라고 한다. 남성은 [[고환]]부터 항문까지, 여성은 [[음문]]부터 항문까지의 사이에 있는 부위[* [[출산|아기를 낳을 때]] 이 부분을 자르는 것을 회음부절개라고 한다. [[히알루론산]] 성분을 회음부 피부에 주사해서 부드럽게 늘어나게 하는 회음부 열상주사가 있다.]가 회음부다. 이 회음부 중앙에는 회음봉선(Perineal raphe)이라는 약간 볼록 튀어나온 선이 있는데, 태아 시절 성기와 항문, 사타구니가 형성될 때는 벌어져 있다가 성장하면서 봉합되기 때문에 생기는 선이다. 이 선은 남성의 경우 항문 밑부분부터 고환을 담고있는 음낭과 [[음경]] 기둥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귀두]] 바로 밑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남성기와 여성기가 [[상동 기관]]이기 때문이다. 여성기는 음문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분이 봉합이 되지 않지만, 남성기는 완전히 봉합되면서 고환과 음경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선이 긴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이곳에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39385|회음혈(會陰穴)]]이 있다고 하는데, 중요한 신경과 혈관이 지나가는 곳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https://blog.naver.com/apocaly0002/222020955689|링크(사진주의)]] 다리를 벌려 사타구니를 보여주는 자세는 [[쩍벌]]이라고 한다. 땅바닥에서 여기까지의 거리를 [[인심]]이라고 한다. [[인심|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 때의 인심은 inseam으로, 영어다. 이 부분도 운동이 과할 경우 근육통증으로 고생한다. [[햄스트링]]과 함께 [[박찬호]]가 선수 시절 가장 자주 부상을 당한 부위이기도 하다. == 성별 == === 남성의 사타구니 === [[남자]]의 경우 [[고환]]과 [[피부]] 사이에 습기가 차서 여길 긁는 경우가 많다. 습관화된 경우 잠자리나 혼자 있을 때 뿐만 아니라 집 밖에서도 무의식적으로 긁어 주위 사람들에게 충격과 공포, 혐오감을 안겨주는 경우도 물론 전술했다시피 세균이나 진균이 득실득실하므로 함부로 긁지 말고 잘 씻자. 잘못 긁어대다가 [[완선]] 같은 것이 생기기라도 하면 매우 난감하다. [[남성]]의 대표적인 약점으로 꼽히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여성]]과 달리 남성의 고간 부분은 '''[[내장]]이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 내장의 정체라고 하면 [[정자(세포)|정자]]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이를 만드는 [[고환]]이 몸 밖으로 나와있는 것이다. 정통으로 맞으면 단순히 아픈게 문제가 아니고 몸 밖에 매달려있는 내장이라서 자칫하다 [[내장파열]]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여자도 남자처럼 신경이 많이 모여있기 때문에 남녀 모두 이 부위를 제대로 맞으면 기절할 정도로 아프다. 남성의 사타구니 가운데에 [[음경]]이 있는 모양이 마치 알파벳 M과 비슷하다고 하여 남성의 사타구니를 M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여성의 사타구니 === [[여자]]도 남자와 똑같이 함부로 긁지 말고 잘 씻자. 하지만 이쪽이 오히려 더 심하다. 이쪽은 생식기 구조상 원인(상대적으로 짧은 [[요도]]에 [[질(신체)|질]], [[항문]]까지 오밀조밀하게 모여 있음. 게다가 질에선 [[냉(점액)|냉]], [[월경]]까지.)으로 인해 남자들보다 요도염, 회음부염, [[질염]][* 이 중 하나로 인해 나머지 둘이 초래되는 일이 잦다.]에 걸리기 쉽다. [[출산|자연분만]]시 [[태아]]가 나오는 곳이기도 하다. 여성의 사타구니가 마치 알파벳 Y와 비슷하다고 하여 여성의 사타구니를 Y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는 [[도끼자국|음부가 들어간 모양새]]가 마치 알파벳 W와 비슷하다고 하여 W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성은 [[출산]] 문제로 인해 남성에 비해 두 [[허벅지]]의 간격이 남성에 비해 넓다고 한다. 다만 [[트랜스여성]]은 성전환 수술 전에 남자로서 2차 성징을 마쳤기 때문에, 일반 여성에 비해 허벅지의 간격이 조금 좁을 수 있다. [[여성]]의 경우 [[성관계|성교]] 도중 자신과 상대방의 '잔여 분변'이 [[질(신체)|질]]로 끼어붙어 세균 감염으로 연결. 냉증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즐기기 전후에 반드시 씻는 것이 좋다. == 기타 == * [[두시탈출 컬투쇼]]의 [[https://www.mk.co.kr/news/entertain/view/2019/01/3253/|레전드 사연]]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미용실]]에 가서 머리를 자르는데, [[구레나룻]]을 남겨달라고 한다는 게 "스포츠로 짧게 쳐주시구요. '''사타구니'''는 자르지 말고 남겨주세요."... 덕분에 이 사연을 읽은 가수 [[최재훈(가수)|최재훈]]은 1년이 넘게 [[연관검색어]]에 사타구니가 떴다...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1711080257|기사]][* 다음에는 2014년에도 연관검색어에 붙박이로 자리잡고 있었다.] * [[조석(만화가)|조석]]의 웹툰 [[마음의소리]]의 [[환상의 에피소드]]로 남은 2009년도 추석 특집의 에피소드의 이름이 사타구니이기도 한데, 예고편이 조석 스타일의 병맛이면서도 꽤나 그럴싸한데다 '''다음 편은 내년 추석에 연재하겠다'''는 골때리는 공약을 내세우는 통에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예고편의 병맛스러운 그럴싸함 + 무려 1년의 준비기간이 존재함이라는 조건이 마음의 소리 독자들의 가슴에 굉장히 인상적인 기대를 심어주었고, 덕분에 다음 해 추석에 사타구니가 아닌 그냥 추석 특집을 연재해 버린 조석은 불똥세례를 맞았다... 이후 매해 추석마다 이 에피소드에 대한 성지순례와, 사타구니 연재 요청글이 쇄도한다. '''조석이 이미 블로그에 사타구니 재미없어서 안한다는 해명글을 올렸음에도.''' 이미 해명된 떡밥임에도 불구하고, 그 기괴한 카리스마 덕에 [[맥거핀]]으로 남아버렸다. * 꽃중년 감독으로 유명한 전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요아힘 뢰프|요아힘 뢰브]] 감독이 사타구니를 긁은 후 냄새까지 맡았었다. * 아무래도 인체의 가장 은밀한 곳이다 보니 철두철미하게 수색한다는 뜻의 '샅샅이 뒤지다'라는 관용구가 있다. '이 잡듯 뒤진다'와 비슷한 용례. 간혹 둘을 합쳐서 이 잡듯 샅샅이 뒤진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51&key=201609051105440499|기사]] * 간혹 [[남성]]의 중요 부위를 [[고간]]이라 표현을 하기도 하는데, 해당 부위를 정확히 지칭하자면 [[고환|낭심]] 정도가 더 적절하다. * [[https://www.fmkorea.com/index.php?document_srl=3234171894&mid=best&cpage=3|바람 부는 날에 입은]] 얇은 [[원피스(의류)|원피스]]나 [[치마]]가 여성의 Y존을 [[https://blog.naver.com/marun_5/221981541795|강조할 수 있다]](사진 참조). == 언어별 명칭 == ||<-2><colbgcolor=#f5f5f5,#2d2f34><tablebgcolor=#fff,#1f2023> '''언어별 명칭''' || || [[한국어|{{{#373a3c,#ddd '''한국어'''}}}]] ||사타구니, 샅, 사타귀, 가랑이, [[고간]]([[股]][[間]]), 서혜부([[鼠]][[蹊]][[部]]), 서혜(鼠蹊) || || [[한자|{{{#373a3c,#ddd '''한자'''}}}]] ||股間(고간), 鼠蹊部(서혜부) || ||<|2> [[그리스어|{{{#373a3c,#ddd '''그리스어'''}}}]] ||βουβώνας(vouvónas), αχαμνά(achamná), καβάλος(kaválos)(일상적) || ||βουβών(boubṓn), πλιχάς(plikhás)(일상적)([[고대 그리스어]]) || || [[독일어|{{{#373a3c,#ddd '''독일어'''}}}]] ||Leiste, Schritt(일상적), Leistengegend(일상적), Zwickel(일상적)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пах(pax), проме́жность(proméžnostʹ) || || [[마인어|{{{#373a3c,#ddd '''마인어'''}}}]] ||kelangkang(일상적) || || [[베트남어|{{{#373a3c,#ddd '''베트남어'''}}}]] ||háng, vùng bẹn, bẹn || ||<|2> [[아랍어|{{{#373a3c,#ddd '''아랍어'''}}}]] ||أُرْبِيَّة(ʾurbiyya), مَغْبَن(maḡban) || ||خن الرجل(xonn e-regl), خن الفخد(xonn el faxd)([[이집트 아랍어]]) || ||<|2> [[스페인어|{{{#373a3c,#ddd '''스페인어'''}}}]] ||ingle, entrepierna(일상적) || ||engonal, entrecuix([[카탈루냐어]]) || ||<|2> [[에스페란토|{{{#373a3c,#ddd '''에스페란토'''}}}]] ||ingveno, seksorgano(일상적) || ||inguino([[이도]]) || || [[영어|{{{#373a3c,#ddd '''영어'''}}}]] ||groin(격식적, 해부학적), crotch(일상적), inguinal region || || [[이탈리아어|{{{#373a3c,#ddd '''이탈리아어'''}}}]] ||inguine, cavallo(일상적) ||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ruby(脚の付け根, ruby=あしのつけね)]([[https://en.wiktionary.org/wiki/groin|ashi no tsukene]]), [ruby(鼠蹊部, ruby=そけいぶ)]([[https://en.wiktionary.org/wiki/%E9%BC%A0%E8%B9%8A%E9%83%A8#Japanese|sokeibu]]), [ruby(鼠蹊, ruby=そけい)]([[https://en.wiktionary.org/wiki/%E9%BC%A0%E8%B9%8A#Japanese|sokei]]), [ruby(股座, ruby=またぐら)](마타구라), [ruby(股間, ruby=こかん)](kokan), [[마타|[ruby(股/俣, ruby=また)](mata, 마타)]]([[https://en.wiktionary.org/wiki/%E8%82%A1#Japanese|일상적]]) ||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ruby(腹股沟, ruby=fùgǔgōu)]([[정자(한자)|腹股溝]]), [ruby(鼠蹊, ruby=shǔxī)], [ruby(胯股, ruby=kuàgǔ)] || ||<|2> [[페르시아어|{{{#373a3c,#ddd '''페르시아어'''}}}]] ||کشاله ران(kešâle-ye rân) || ||қадкашак(qadkašak)([[타지크어]]) || ||<|2> [[포르투갈어|{{{#373a3c,#ddd '''포르투갈어'''}}}]] ||virilha, entreperna(일상적) || ||virilla, ingua, ventrecha(일상적)([[갈리시아어]]) || || [[프랑스어|{{{#373a3c,#ddd '''프랑스어'''}}}]] ||aine, entrejambe(일상적) || || [[히브리어|{{{#373a3c,#ddd '''히브리어'''}}}]] ||מפשעה(mifsa'a/mifsaá) || ||<-2><^|1><height=32>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5f5f5,#2d2f34><tablebgcolor=#fff,#1f2023> [[나와틀어|{{{#373a3c,#ddd '''나와틀어'''}}}]] ||quēxilli, maxactli(일상적)(고전 나와틀어) || || [[네덜란드어|{{{#373a3c,#ddd '''네덜란드어'''}}}]] ||lies, kruis(일상적) || || [[노르웨이어|{{{#373a3c,#ddd '''노르웨이어'''}}}]] ||lyske, skritt(일상적), skrev(일상적) || || [[덴마크어|{{{#373a3c,#ddd '''덴마크어'''}}}]] ||lyske, skridt(일상적) || || [[루마니아어|{{{#373a3c,#ddd '''루마니아어'''}}}]] ||stinghie || || [[마오리어|{{{#373a3c,#ddd '''마오리어'''}}}]] ||tapatapa, tapa o te kūhā || || [[몽골어|{{{#373a3c,#ddd '''몽골어'''}}}]] ||цавь(tsavĭ) || || [[미얀마어|{{{#373a3c,#ddd '''미얀마어'''}}}]] ||ပေါင်ခြံ(paunghkram) || || [[바스크어|{{{#373a3c,#ddd '''바스크어'''}}}]] ||iztai || || [[벨라루스어|{{{#373a3c,#ddd '''벨라루스어'''}}}]] ||пахві́на(paxvína) || || [[벵골어|{{{#373a3c,#ddd '''벵골어'''}}}]] ||কুঁচকি(kũcôki) || || [[불가리아어|{{{#373a3c,#ddd '''불가리아어'''}}}]] ||слабина(slabina), чатал(čatal)(일상적) || || [[세르보크로아트어|{{{#373a3c,#ddd '''세르보크로아트어'''}}}]] ||препоне/prepone || || [[스웨덴어|{{{#373a3c,#ddd '''스웨덴어'''}}}]] ||ljumske, skrev(일상적), gren(일상적) || || [[슬로바키아어|{{{#373a3c,#ddd '''슬로바키아어'''}}}]] ||slabina, rozkrok(일상적) || || [[슬로베니아어|{{{#373a3c,#ddd '''슬로베니아어'''}}}]] ||dimlje || || [[아르메니아어|{{{#373a3c,#ddd '''아르메니아어'''}}}]] ||աճուկ(ačuk) || || [[아이슬란드어|{{{#373a3c,#ddd '''아이슬란드어'''}}}]] ||klof(일상적) || || [[아제르바이잔어|{{{#373a3c,#ddd '''아제르바이잔어'''}}}]] ||qasıq || || [[알바니아어|{{{#373a3c,#ddd '''알바니아어'''}}}]] ||rrëzë e kofshës || || [[에스토니아어|{{{#373a3c,#ddd '''에스토니아어'''}}}]] ||kube || || [[우즈베크어|{{{#373a3c,#ddd '''우즈베크어'''}}}]] ||chov || || [[우크라이나어|{{{#373a3c,#ddd '''우크라이나어'''}}}]] ||пахви́на(paxvýna) || || [[자바어|{{{#373a3c,#ddd '''자바어'''}}}]] ||wlakang || || [[조지아어|{{{#373a3c,#ddd '''조지아어'''}}}]] ||საზარდული(sazarduli) || || [[체코어|{{{#373a3c,#ddd '''체코어'''}}}]] ||tříslo, rozkrok(일상적) || || [[카자흐어|{{{#373a3c,#ddd '''카자흐어'''}}}]] ||айырт(aiyrt), шап(şap) || ||<|2> [[켈트어파|{{{#373a3c,#ddd '''켈트어파'''}}}]] ||bléin([[아일랜드어]]) || ||gobhal(일상적)([[스코틀랜드 게일어]]) || || [[크메르어|{{{#373a3c,#ddd '''크메르어'''}}}]] ||ក្រលៀន(krɑlien) || || [[타타르어|{{{#373a3c,#ddd '''타타르어'''}}}]] ||касык(qasıq) || || [[태국어|{{{#373a3c,#ddd '''태국어'''}}}]] ||หน้าขา, ขาหนีบ, ง่ามขา || ||<|2> [[터키어|{{{#373a3c,#ddd '''터키어'''}}}]] ||kasık || ||قاسق(kasık), قاسیق(kasyk)([[오스만어]]) || || [[토하라어|{{{#373a3c,#ddd '''토하라어'''}}}]] ||yoñiye([[토하라어]] B: 쿠처 방언) || || [[투르크멘어|{{{#373a3c,#ddd '''투르크멘어'''}}}]] ||gasyk || || [[티베트어|{{{#373a3c,#ddd '''티베트어'''}}}]] ||རྒྱུད་སྨད(rgyud smad) || || [[폴란드어|{{{#373a3c,#ddd '''폴란드어'''}}}]] ||pacha(파하), pachwina, krocze(일상적) || || [[핀란드어|{{{#373a3c,#ddd '''핀란드어'''}}}]] ||nivuset, haaraväli(일상적) || || [[필리핀어|{{{#373a3c,#ddd '''필리핀어'''}}}]] ||puklo || || [[헝가리어|{{{#373a3c,#ddd '''헝가리어'''}}}]] ||ágyék || || [[힌디어|{{{#373a3c,#ddd '''힌디어'''}}}]] ||ऊसन्धि(ūsandhi), उरुसंधि(urusandhi) ||}}}}}}}}} || 사타구니는 두 다리 사이를 뜻하는 '샅'에, 사이, 틈새를 의미하는 낮춤말인 '아구니'(어귀, 隙)가 합쳐져서 만든 [[합성어]]이다. 그래서 [[고어]] 중 샅아구니가 있다. [[http://www.ytn.co.kr/_pn/0485_201609051105440499|기사]]. 기본적으로는 샅의 낮춤말이다. [[엘레지]], [[뺑소니]], [[야코]](콧대를 뜻하는 [[순우리말]]) 같은 말처럼 순우리말이다. 줄임말로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90621.010430837140001|사타귀]]라고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간, version=202)] [[분류:신체]][[분류:복부]][[분류:순우리말]] [include(틀:포크됨2, title=사타구니, d=2023-12-02 09:14:07)]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