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부내륙선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북부내륙선
Pukpunaeryuk Line
北部內陸線
파일:attachment/혜산만포청년선.jpg
노선 정보
분류본선철도
기점만포청년역
종점혜산청년역
역 수42개
통행 방향좌측통행
운영자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
사용차량
개업일1959년(만포청년 - 운봉)
1987년 11월 27일[1]
1988년 8월 3일(자성 - 후주청년)
노선 제원
노선연장252.0㎞
궤간1,435㎜
선로구성단선
사용전류직류 3,000V 가공전차선
표정속도

1. 개요
2. 군사적 가치
3. 역 목록



1. 개요[편집]


만포청년역혜산청년역을 잇는 노선. 북부철길이라고도 한다. 만포청년-운봉 구간은 1959년 개통되었으며, 운봉-혜산청년 구간은 1983년 12월 1일 착공하여 1988년 8월 3일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2010년대 중반에 혜산만포청년선에서 북부내륙선으로 개칭되었다. 만포선백두산청년선을 잇는다. 구 노선명에 '청년'자가 들어가는 것에서 보듯 준군사조직인 청년돌격대가 동원된 공사였는데 고생했다... 정도가 아니라 많은 희생이 있었다.[2] 북한의 국경지대에 철도를 공급하고 량강도자강도를 연결할 목적과 임산물을 수송할 목적으로 건설했다.

만포에서 출발, 운봉, 자성군, 후창군(구읍), 김형직읍(舊 후창군 동신면), 신갈파진(북한명 김정숙읍)을 거쳐 혜산으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만포에서 운봉, 오구비역에서 혜산까지는 압록강을 따라간다.

10번 국도와 달리 중강진은 지나지 않으며, 동서로 연장할 계획이 있다. 서쪽으로는 현재 북한의 철도 계획상 연장할 계획은 없지만 운하선이 놓여 있다. 처음 건설했을 때는 무산선과 연결할 계획이어서 백무선개궤삼지연선의 연장을 추진한 적이 있었지만 결국 실패하여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북부내륙선은 평라선(평원선), 청년이천선에 이은 북한의 3대 횡단 노선이지만 평라선에 비해서도 훨씬 선형이 불량하다.[3] 평양과 혜산을 잇는 열차는 이 노선을 경유하는 것이 거리가 훨씬 짧은데도 평라선과 백두산청년선으로 돌아가는 것과 소요시간이 거의 비슷할 정도. 한 혜산 출신 북한이탈주민은 평라선으로 가면 20시간, 북부철길로 가면 22시간이라고 말한 바 있다. 심지어 북부철길 열차가 탈선해 굴러떨어졌는데 중국 땅으로 넘어가버린 사고도 있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이 노선이 중요한 것은 포화상태에 이른 평라선의 동서횡단 수요를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처참한 상태인 철길을 대대적으로 개건하는 사업이 2011년부터 진행되고 있다. 청년동맹이 조직한 청년돌격대가 사업에 투입되었는데.... 영상을 보면 중장비도 없이 오로지 사람 손으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압록강변 절벽지대의 지반을 보강할 석재들을 일일이 들것으로 날라 쌓는 판. 그토록 자랑하는 청년영웅도로의 철도판.

2013년 12월 22일에 미흡하나마 역 목록을 포함한 모든 역에 대한 문서가 작성되었다.


2. 군사적 가치[편집]


2021년 9월 15일, 북한은 KN-23 탄도미사일 열차 발사대 발사 훈련을 양덕군평라선 연선에서 진행했다. 따라서 이 철도노선의 개건이 북한이 추진하는 열차 기동식 ICBM 운용을 위한 준비라는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상단 지도에 나와있듯, 노선 자체가 중국과 인접한 한반도 최북단이기 때문에 미국 입장에서 공군으로 타격하기 부담스럽다는 특성도 있다.


3. 역 목록[편집]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역 명역간거리기점거리구 역명분기노선비고소재지
만포청년滿浦靑年0.00.0만포선,운하선,메이지선자강 만포시
차가평車家坪4.64.6해당항목 참고
문 악文 岳3.78.3
연 포煙 浦9.417.7
림 토林 土5.723.4
창 골倉 골2.425.8한자역명 없음
십리동十里洞2.828.6옥 동(Oktong / 玉洞)해당항목 참고
자강삼강慈江三江7.235.8
송 삼松三5.241.0
상풍강上豊江3.944.9운봉선자강 자성군
운 봉雲 峰0.745.6신운봉 (Sinunbong / 新雲峰)
구 중舊 中7.853.4
자 성慈 城10.163.5
사 향-5.368.8자강상평
(Jagang Sangphyŏng / 慈江常坪)
한자역명 없음
만일 있다면 麝香일 가능성이 높다.
귀 인貴 仁5.574.3
전 평錢 坪6.580.8자강 화평군
리 평梨 坪2.483.2
화 평和 坪4.687.8진 송 (Jinsong / 榛松)
회 중檜 中7.094.8
룡 출龍 出5.7100.5자강운중
(Jagang Unjung / 慈江雲中)
월 탄月 灘7.6108.1운중후창
(Unjung Huchang / 雲中厚昌)
량강 김형직군
회 양檜 陽5.6113.7
로 탄蘆 灘7.7121.4
죽 전竹 田---역 소재지 불명
오구비-5.4126.8한자역명 없음
두 지杜 芝7.9134.7
포평청년葡坪靑年3.5138.2후 창 (Huchang / 厚昌)
무 창茂 昌7.7145.9
라 죽羅 竹5.6151.5
대 응大 鷹4.3155.8
후주청년厚州靑年10.2166.0후 주 (Huju / 厚州)
송 전松 田12.7178.7해당항목 참고량강 김정숙군
강 하江 下8.3187.0
신파청년新坡靑年7.6194.6신 파 (Sinpha / 新坡)
민 탕珉 湯5.4200.0
량강신상兩江新上5.3205.3
풍 양豊 陽7.2212.5
상 대上 臺7.6220.1
인 산仁 山3.9224.0해당항목 참고
삼수청년三水靑年8.8232.8삼 수 (Samsu / 三水)량강 삼수군
늪 평늪 坪7.5240.3량강 혜산시
강 구江 口4.8245.1
혜산청년惠山靑年4.1249.2혜 산 (Hyesan / 惠山)백두산청년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23:20에 나무위키 북부내륙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운봉 - 자선, 혜산청년 - 후주청년[2] 사실 북한에서 청년 자 붙은 사회인프라 치고 인간을 안 갈아넣은 곳이 없다. 장비는 열악한데 어떻게든 공사를 완료시키기 위해 무리한 구간이 많기 때문이다. 북한 내에서는 이를 영웅적인 노력이라고 포장해서 프로파간다로 써먹는다.[3] 평라선은 일단 국가적 간선급 노선이고 코로나 시국 이전에는 국제열차도 정기적으로 다니는 정도였으므로, 북한치고는 그나마 가장 괜찮게 깔아놓은 철도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