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조개왕자

덤프버전 :

보조개왕자
えくぼおうじ
えくぼちゃんとぶーばちゃん
장르동화, 일상, 예절
저자스토리: 야마모토 쇼조(山本省三)
작화: 후유노 이치코(冬野 いちこ)
출판사파일:일본 국기.svg 코단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아가월드
최초 발행1991년
단행본 권수12권 (○○○○. ○○. ○○. 完)
시리즈보조개왕자 시리즈

1. 개요
2. 줄거리
3. 출판
4. 특징
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
5.2. 그 외 인물
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6.1.1. 줄거리
6.1.2. 주제가
6.1.3. 회차 목록
6.1.3.1. 1기
6.1.3.2. 2기
6.1.4. 한국 방영
6.1.5. 미디어 믹스
6.1.5.1. 인형
6.1.6. 패러디
7.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그림동화. 스토리는 야마모토 쇼조(山本省三), 작화는 후유노 이치코(冬野 いちこ)가 맡았다.


2. 줄거리[편집]


보조개 왕자를 중심으로 아동들에게 도덕이나 예절을 가르쳐 주는 내용.


3. 출판[편집]


코단샤에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발매되었다. 12권으로 완결되었다.

한국에서는 아가월드몬테소리에서 수입했다.


4. 특징[편집]


해당 동화를 원작으로 한 유아용 애니메이션이 있다. 자세한 건 하단 참고.


5. 등장인물[편집]



5.1. 주요 인물[편집]


  • 보조개왕자
성우는 후치자키 유리코 / 김정애.[1][2] 원작 이름은 えくぼおうじ(보조개왕자). 줄여서 보조개[3]라고도 한다. 주인공이자 순수한 개구쟁이. 사람 얼굴 모양 정원 안에 있는 성에서 산다. 거의 상의를 안 입으며[4] 기저귀왕관을 착용하고 다닌다. 엄마의 말씀을 잘 들으며 뭔가 생각이 나면 전구 대신 양쪽 머리카락이 반듯하게 올라간다.[5] 특히 이야기가 마무리될 때 엉덩이를 흔들며 웃은 뒤 손을 든다던지, 그냥 손만 들며 인사하는 것이 특징이다.[6]

  • 또미
성우는 홍영란. 분홍색 얼룩무늬 고양이. 원작 이름은 たまらちゃん. 원래는 덩치가 가장 작았지만 후술할 주근깨왕자와 샛별공주 등이 합류된 이후로는 가장 작은 깜보 다음으로 작은 편에 속한다. 샛별공주가 등장한 이후로 같이 붙어있는 일이 많다.

성우는 김성희. 황갈색 원숭이. 원작 이름은 キッキ. 보조개왕자와 덩치가 비등비등하며 개구쟁이와같은 성격으로 인물중 사고뭉치라 그러런지 사고를 많이 치는 편이다. 주근깨왕자 등장 이후로 주근깨왕자가 사고를 가장 많이 친다.

  • 와와
성우는 유해무. 하늘색 . 원작 이름은 ワワンガ. 덩치가 가장 큰 편에 속하며 가장 매우 듬직한 모습을 보인다. 나이도 제법 많아보이며 음식도 음료도 한끼 한잔가지고 부족해한다.

  • 엄마
후술하듯이 노래를 시작하기 전에 보조개왕자를 부르고, 보조개왕자가 대답한다. 내용에서도 보조개왕자에게 이것저것을 시킨다.


5.2. 그 외 인물[편집]


6편~8편 등장한다.

  • 주근깨왕자
성우는 유지영. 원작 이름은 ぶーばおうじ. 주인공 보조개왕자와 언뜻 비등비등하여 보이지만[7] 얼굴에 주근깨가 박힌 흉측한 인상파에 와와 다음으로 덩치가 크며 식탐이 가장 많고 심술이랑 욕심을 많이 부린다. 깜보와 같이 다닌다. 샛별공주를 좋아하는지 잘 보이려는 행동을 많이하며 보조개왕자보다 나이도 많아보인다. 멜빵이 달린 바지를 입지만 상의는 입지 않아 배꼽이 보인다.

성우는 김수경. 원작 이름은 えみなちゃん. 긴 머리에 꽃장식을 달고 있다. 링크. 굉장히 순수한 성격이며 다른 상대방이 올바르지 못한 행동을 하면 슬퍼하면서 지적을 하지만 올바른 행동을 하면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손깍지(?)를 끼며 머리를 왼쪽으로 기울이는 행동이 포인트.

  • 깜보
성우는 김성희. 원작 이름은 カンボ. 주근깨왕자와 같이 다니는 파란색 까마귀. 항상 주근깨왕자를 편들며 앉을 때는 왕관 위에 앉는다. 고양이 또미를 좋아한다. 등장인물 중에서 가장 몸이 작다.


6. 미디어 믹스[편집]



6.1. 애니메이션[편집]


보조개왕자 (1991~1992)
えくぼおうじ
えくぼちゃんとぶーばちゃん
Ekubo Ouji
Ekubo-chan to Buba-chan
파일:external/www.kinokuniya.co.jp/406308003X.jpg
작품 정보 ▼
장르일상, 코미디, 유아, 초단편, 옴니버스
원작야마모토 쇼조, 《보조개왕자》
감독히라타 토시오
제작후지 테레비
후지 테레비 프로젝트
방영 기간파일:일본 국기.svg 1991. 04. 08. ~ 1991. 09. 30.
파일:투명.png 1992. 04. 06. ~ 1992. 09. 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KBS 2TV)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후지 테레비 로고 가로형.svg[1]
파일:투명.png 1991년: (월·화), 1992년: (월·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BS 2TV[2]
파일:투명.png 투니버스
국내 정식발매아가월드 (VHS)
편당 러닝타임2분
화수50화
국내 심의 등급연소자 관람가 (VHS)
[1] 열려라! 퐁키키 내에서 방송[2] 열려라 꿈동산 내에서 방송
해당 동화를 원작으로 한 유아용 애니메이션이 동년인 1991년후지 테레비의 어린이 프로그램 '열려라! 퐁키키'(ひらけ!ポンキッキ)[8]의 한 코너로 편성되었다. 해당 코너는 1991년에는 매주 월요일과 화요일, 1992년에는 월요일과 수요일에 방송되었다.

다음 화 제목이 나오기 전에 가끔 등장인물의 얼굴을 그리는 노래가 나오기도 한다.

6.1.1. 줄거리[편집]


유아들이 지켜야 할 예절도덕을 가르치는 내용이다. 스토리는 주근깨왕자, 깜보, 샛별공주가 처음 나오는 부분 빼고는 큰 줄거리가 없기 때문에 내용을 반드시 순서대로 봐야 한다는 강박을 가지지 않아도 된다. 각 이야기는 유아들의 집중력이 작기 때문에 길이가 몇 분 정도로 짧다. 링크


6.1.2. 주제가[편집]


2D에 실사 배경[9] 일부와 찰흙 캐릭터도 같이 나온다.

노래를 시작하기 전에 엄마가 보조개왕자를 부르고, 보조개왕자가 대답한다. 링크(일본어), 영상(한국어)

주제가
えくぼおうじ
보조개왕자
파일:일본 국기.svg TV ver.[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TV ver.[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비디오 ver.
노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애
가사 (한국어) ▼

알쏭달쏭 정말로 알고 싶어요
아리송송 무얼까 이유가 뭘까
보조개는 정말정말 궁금했어요
코끼리 코는 왜 그렇게 길까
밤이 되면 폭신폭신 베개로 쓸까
리본으로 예쁘게 매려는 걸까
아니아니 아니야 그게 아니야
프로펠러 만들어 하늘을 날 거야
좋아요 보조개 멋져요 보조개
방글방글 하하 보조개왕자
보조개는 정말정말 궁금했어요
문어의 다리는 왜 그렇게 많지
일등으로 달리려고 그런 걸까
돌멩이를 많이많이 던지고 싶은 걸까
아니 아니 아니야 그게 아니야
알록달록 구두를 신고 싶은 거야
좋아요 보조개 멋져요 보조개
방글방글 하하 보조개왕자
보조개는 정말정말 궁금했어요
잠자리 눈은 왜 그렇게 클까
할아버지 돋보기를 쓰려는 걸까
안약을 방울방울 넣고 싶은 걸까
아니 아니 아니야 그게 아니야
누구 눈이 더 큰지 대보고 싶은 거야
좋아요 보조개 멋져요 보조개
방글방글 하하 보조개왕자



6.1.3. 회차 목록[편집]



6.1.3.1. 1기[편집]

회차제목[12]방영일
제1화げんきにおはよう日: 1991.04.08.
韓: 19○○.○○.○○.
제2화おやつのまえには日: 1991.04.09.
韓: 19○○.○○.○○.
제3화おしっこしゃー日: 1991.04.15.
韓: 19○○.○○.○○.
제4화てをあらおう日: 1991.04.16.
韓: 19○○.○○.○○.
제5화ごみはくずかごに日: 1991.04.22.
韓: 19○○.○○.○○.
제6화おへんじはい日: 1991.04.23.
韓: 19○○.○○.○○.
제7화たべたらしゅっしゅっ日: 1991.04.29.
韓: 19○○.○○.○○.
제8화ひとりでねましょう
혼자서도 할 수 있어요
日: 1991.04.30.
韓: 19○○.○○.○○.
제9화すわってたべます日: 1991.05.06.
韓: 19○○.○○.○○.
제10화みんなでぴょん日: 1991.05.07.
韓: 19○○.○○.○○.
제11화ごちそうさま日: 1991.05.13.
韓: 19○○.○○.○○.
제12화おうだんほどうをわたろう日: 1991.05.14.
韓: 19○○.○○.○○.
제13화おかたづけじょうずね日: 1991.05.20.
韓: 19○○.○○.○○.
제14화おやすみなさい
이제 잘 시간이에요
日: 1991.05.21.
韓: 19○○.○○.○○.
제15화おふろだいすき日: 1991.05.27.
韓: 19○○.○○.○○.
제16화にこにこおてつだい日: 1991.05.28.
韓: 19○○.○○.○○.
제17화はなとなかよし日: 1991.06.03.
韓: 19○○.○○.○○.
제18화おしっこしたかな日: 1991.06.04.
韓: 19○○.○○.○○.
제19화かしてねはい日: 1991.06.10.
韓: 19○○.○○.○○.
제20화なかよくわけよう日: 1991.06.11.
韓: 19○○.○○.○○.
제21화こんにちは日: 1991.06.17.
韓: 19○○.○○.○○.
제22화たすけてあげよう日: 1991.06.18.
韓: 19○○.○○.○○.
제23화あめのひには日: 1991.06.24.
韓: 19○○.○○.○○.
제24화かえってきたら日: 1991.06.25.
韓: 19○○.○○.○○.
제25화もうねましょう日: 1991.07.01.
韓: 19○○.○○.○○.
제26화じゅんばんで日: 1991.07.02.
韓: 19○○.○○.○○.
제27화なんでもたべよう日: 1991.07.08.
韓: 19○○.○○.○○.
제28화がんばって日: 1991.07.09.
韓: 19○○.○○.○○.
제29화やくそく
꼭꼭 약속해요
日: 1991.07.15.
韓: 19○○.○○.○○.
제30화ポイはやめよう日: 1991.07.16.
韓: 19○○.○○.○○.
제31화おめでとうおめでとう日: 1991.07.22.
韓: 19○○.○○.○○.
제32화おひるねぐーぐー日: 1991.07.23.
韓: 19○○.○○.○○.
제33화ごめんなさい日: 1991.07.29.
韓: 19○○.○○.○○.
제34화みんなでおてつだい日: 1991.07.30.
韓: 19○○.○○.○○.
제35화ありがとう日: 1991.08.05.
韓: 19○○.○○.○○.
제36화かみのけシャワシャワ日: 1991.08.06.
韓: 19○○.○○.○○.
제37화やさしくね日: 1991.08.13.
韓: 19○○.○○.○○.
제38화どこへいくの日: 1991.08.19.
韓: 19○○.○○.○○.
제39화パジャマきられたよ日: 1991.08.20.
韓: 19○○.○○.○○.
제40화ひとりでぬげます日: 1991.08.26.
韓: 19○○.○○.○○.
제41화ものをたいせつに日: 1991.08.27.
韓: 19○○.○○.○○.
제42화きちんとひとつずつ日: 1991.09.02.
韓: 19○○.○○.○○.
제43화これぼくのもの日: 1991.09.03.
韓: 19○○.○○.○○.
제44화できたぞう日: 1991.09.09.
韓: 19○○.○○.○○.
제45화しょうじきに日: 1991.09.10.
韓: 19○○.○○.○○.
제46화みんなでやさしく日: 1991.09.16.
韓: 19○○.○○.○○.
제47화もったいない日: 1991.09.17.
韓: 19○○.○○.○○.
제48화しんごうごっこ日: 1991.09.23.
韓: 19○○.○○.○○.
제49화なかよくあそぼう日: 1991.09.24.
韓: 19○○.○○.○○.
제50화ばなしはなし日: 1991.09.30.
韓: 19○○.○○.○○.


6.1.3.2. 2기[편집]

회차제목방영일
제51화おはなしきいてね日: 1992.04.06.
韓: 19○○.○○.○○.
제52화らんぼうしないで日: 1992.04.08.
韓: 19○○.○○.○○.
제53화なにしてあそぶ日: 1992.04.14.
韓: 19○○.○○.○○.
제54화さぼっちゃだめ日: 1992.04.16.
韓: 19○○.○○.○○.
제55화わすれものないかな日: 1992.04.20.
韓: 19○○.○○.○○.
제56화ふりまわさないで日: 1992.04.23.
韓: 19○○.○○.○○.
제57화バスのなかでは日: 1992.04.27.
韓: 19○○.○○.○○.
제58화よろこぶのはなあに日: 1992.04.29.
韓: 19○○.○○.○○.
제59화たべきれるかな日: 1992.05.05.
韓: 19○○.○○.○○.
제60화ビシャビシャやめよう日: 1992.05.12.
韓: 19○○.○○.○○.
제61화がまんがまん日: 1992.05.18.
韓: 19○○.○○.○○.
제62화あきらめないで日: 1992.05.25.
韓: 19○○.○○.○○.
제63화あきかんはすてないで日: 1992.06.02.
韓: 19○○.○○.○○.
제64화つめはきれいに日: 1992.06.08.
韓: 19○○.○○.○○.
제65화かぜをひいたら日: 1992.06.15.
韓: 19○○.○○.○○.
제66화あかちゃんがうまれるよ日: 1992.06.24.
韓: 19○○.○○.○○.
제67화なかよくみんなで日: 1992.06.30.
韓: 19○○.○○.○○.
제68화なまえいえるよ日: 1992.07.06.
韓: 19○○.○○.○○.
제69화いきものはたいせつに日: 1992.07.14.
韓: 19○○.○○.○○.
제70화けがをしたときは日: 1992.07.20.
韓: 19○○.○○.○○.
제71화ゆびしゃぶりはやめよう日: 1992.07.30.
韓: 19○○.○○.○○.
제72화きれいにたべよう日: 1992.08.03.
韓: 19○○.○○.○○.
제73화つめたいものはすこしだけ日: 1992.08.10.
韓: 19○○.○○.○○.
제74화しょうじきにいおう日: 1992.08.19.
韓: 19○○.○○.○○.
제75화おみまいはしずかに日: 1992.08.24.
韓: 19○○.○○.○○.
제76화いたいのいやだね日: 1992.08.31.
韓: 19○○.○○.○○.
제77화かわをきれいに日: 1992.09.07.
韓: 19○○.○○.○○.
제78화ひとりじめしないで日: 1992.09.14.
韓: 19○○.○○.○○.
제79화はなをたいせつに日: 1992.09.22.
韓: 19○○.○○.○○.
제80화よそみはあぶない日: 1992.09.28.
韓: 19○○.○○.○○.


6.1.4. 한국 방영[편집]


한국에도 나온 적이 있는데, 1996년 KBS2의 미취학 아동, 저연령 대상의 어린이 프로그램인 열려라 꿈동산(열려라 만화동산)에서 소개한 숱한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방영되었다. 당시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중반에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종종 틀어주기도 했다. 이후의 한국판은 비디오 등으로 출시되었다. 투니버스에서도 1990년대~2000년대 초중반에 지속적으로 재방영된 적이 있다. 영상. 발매 회사는 빙뱅붐을 발매한 아가월드. 여담이지만 일부 BGM은 보조개왕자와 빙뱅붐이 서로 공유한다.

당시 일본 대중문화가 완전히 개방되기 전이라 원판 주제가에 있던, 문어가 기모노를 입은 장면을 검열한 것 빼고는 유아용 도덕 애니메이션인데다가 일본풍이 별로 없어서 크게 검열되지 않았다.

성우진은 당시 KBS 성우들 위주로 더빙했는데 김정애, 유해무, 홍영란, 유지영, 김성희, 김수경 등으로 2020년대 기준으로 봐도 초호화 수준의 레전드 성우들로 캐스팅.

참고로 주제가를 주인공 성우인 김정애가 직접 불렀는데, 생각보다 노래 실력이 준수한 편이다. 평소 통키 목소리나 철수 목소리의 소년 연기를 생각하면 의외일 정도로 부드러운 음색으로 불렀다.

여담으로 이민으로 성우 업계에서 은퇴해서 이후 목소리를 듣기 힘든 김성희 성우와 김수경 성우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6.1.5. 미디어 믹스[편집]



6.1.5.1. 인형[편집]

일본에서는 인형으로도 나왔다. 링크


6.1.6. 패러디[편집]


파일:말전생.png

2017년 한국에는 '말하기 전에 생각했나요?'라는 짤방이 존재하는데, 주로 아무 생각도 없이 막말하는 사람들이나 네티즌을 비꼴 때 쓰인다. 원본은 '자기 전에 쉬했나요?'(おしっこしゃー 또는 おしっこしたかな)이다. 링크 트위치에서 밈으로 쓰이고 있다.

말하기 전에 생각했나요?[13]
  • 웹툰작가 앙영의 구남친 퇴치짤


7.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20:18:54에 나무위키 보조개왕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링크[2] 두 성우는 각각 폭주형제 렛츠&고에서 형인 세이바 레츠(후치자키 유리코)와 동생인 세이바 고(김정애)를 맡았다.[3] 가사에도 나온다.[4] 회차 중에 옷을 입는 장면이 있기는 하지만 거의 입지 않는다.[5] 참고로 주제가에서도 이런 특이한 모습을 볼 수 있다.[6] 어쩔 때는 다른 인물이 대신 할 때도 있다.[7] 왕관 부분이 살짝 느낌이 있는데, 보조개왕자의 왕관과는 다르게 왕관 위에 동그라미 부분이 양쪽으로 달려있다.[8] 일본 웹에서 으로 종종 쓰이는 '가차핀과 뭇크'(공룡과 예티 모양 캐릭터)가 원래 이 프로그램에서 나온 것이다.[9] 1990년대 초반 당시 기술이 조악하다 보니 아동들 기준으로는 무섭다는 평도 있다.[10] 유아용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에 가사 자막이 히라가나로만 나온다.[11] 무슨 이유인지 2절은 편집되었다.[12]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발매사인 아가월드VHS판을 기준으로 한다.[13] 영문판에서는 "Did you even think before you spoke?"로 번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