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베이징항공항천대학

덤프버전 :

파일:beihang_logo.jpg 베이징항공항천대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장.svg
중국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정책 대상 대학 (2기, 2022년)
[ 펼치기 · 접기 ]
화베이베이징칭화대학★·베이징대학★·중국인민대학·베이징외국어대학·베이징항공항천대학·베이징공업대학·베이징이공대학·베이징과기대학·베이징화공대학·베이징우전대학·중국농업대학·베이징임업대학·베이징셰허의학원·베이징중의약대학※·베이징사범대학·수도사범대학·베이징교통대학·중국전매대학·중앙재경대학·대외경제무역대학·외교학원·중국인민공안대학·베이징체육대학·중앙음악학원·중국음악학원·중앙미술학원·중앙희국학원·중앙민족대학·중국정법대학·중국광업대학(베이징)·중국지질대학(베이징)·중국석유대학(베이징)·화베이전력대학·중국과학원대학
톈진난카이대학·톈진대학·톈진공업대학·톈진의과대학·톈진중의약대학·허베이공업대학
허베이허베이공업대학
산시(산서)산시대학◎·타이위안이공대학
내몽골내몽골대학
둥베이랴오닝랴오닝대학·다롄이공대학·둥베이대학·다롄해사대학
지린지린대학·연변대학※·둥베이사범대학
헤이룽장하얼빈공업대학·하얼빈공정대학·둥베이농업대학·둥베이임업대학
화둥상하이푸단대학·퉁지대학·상하이교통대학·화둥이공대학·둥화대학·상하이해양대학·상하이중의약대학·화둥사범대학·상하이외국어대학·상하이재경대학※·상하이체육학원·상하이음악학원·상하이대학·중국인민해방군해군군의대학
장쑤난징대학·쑤저우대학·둥난대학·난징항공항천대학·난징이공대학·중국광업대학·난징우전대학·허하이대학·장난대학·난징임업대학·난징정보공정대학·난징농업대학·난징의과대학◎·난징중의약대학·중국약과대학·난징사범대학
저장저장대학·중국미술학원·닝보대학
안후이안후이대학※·중국과학기술대학·허페이공업대학
푸젠샤먼대학·푸저우대학
산둥산둥대학·중국해양대학·중국석유대학(화둥)
중난허난정저우대학·허난대학
후베이우한대학·화중과기대학·중국지질대학(우한)·우한이공대학·화중농업대학·화중사범대학※·중난재경정법대학
후난샹탄대학◎·후난대학·중난대학·후난사범대학·국방과기대학
장시난창대학
광둥중산대학·지난대학·화난이공대학·화난농업대학◎·광저우의과대학◎·광저우중의약대학·화난사범대학·남방과기대학
하이난하이난대학
광시광시대학
시난쓰촨쓰촨대학·시난교통대학·전자과기대학·시난석유대학·청두이공대학·쓰촨농업대학·청두중의약대학·시난재경대학
충칭충칭대학·시난대학
구이저우구이저우대학
윈난윈난대학
티베트티베트대학
시베이산시(섬서)시베이대학·시안교통대학·시베이공업대학·시안전자과기대학·창안대학·시베이농림과기대학·산시사범대학·중국인민해방군공군군의대학
간쑤란저우대학
칭하이칭하이대학
닝샤닝샤대학
신장신장대학※·스허즈대학
출처: 중국 교육부 | 학교 코드 기준으로 정렬
★: 일류학과 자율지정 대상 | ◎: 2기 신규 지정 | ※: 일류학과 건설 경고 혹은 취소 대상


파일:중국교우회망.jpg
2023 중국교우회망 대학 순위
[ 펼치기 · 접기 ]

순위학교명종합점수성급레벨^(i)^
1베이징대학100^(ii)^8★세계일류대학
2칭화대학99.678★세계일류대학
3저장대학80.598★세계일류대학
4상하이교통대학80.368★세계일류대학
5화중과기대학77.198★세계일류대학
6난징대학77.138★세계일류대학
7푸단대학77.058★세계일류대학
8우한대학76.988★세계일류대학
9중국과학기술대학72.458★세계일류대학
10하얼빈공업대학72.32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1인민대학72.168★세계일류대학
12난카이대학72.14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3톈진대학72.09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4시안교통대학72.08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5산둥대학71.737★세계지명고수준대학
중산대학71.73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7베이징항공항천대학71.03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8쓰촨대학70.717★세계지명고수준대학
19퉁지대학70.12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0샤먼대학70.10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1둥난대학69.82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2지린대학69.80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3시베이공업대학69.79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4화난이공대학68.676★세계고수준대학
25베이징이공대학67.85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6중난대학67.84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7중국농업대학67.127★세계지명고수준대학
28다롄이공대학66.216★세계고수준대학
29란저우대학66.196★세계고수준대학
30전자과기대학65.986★세계고수준대학
^(i)^ 성급은 1성부터 9성까지 있다. 교우회 판단 기준으로 세계 0.01% 이상의 학교에 9성 세계최고대학(世界顶尖大学)칭호를 수여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9성인 중국 본토 대학은 없다.
^(ii)^ 1위인 베이징대학을 기준점수로 한다.





베이징-홍콩 대학연맹 (Beijing-Hong Kong Universities Alliance) 소속대학
베이징-홍콩 대학연맹 (BHUA) [ 펼치기 · 접기 ]

설립멤버베이징베이징대학[北京大學], 칭화대학[清華大學], 중국인민대학[中國人民大學], 베이징외국어대학[北京外國語大學], 베이징사범대학[北京師範大學], 베이징이공대학[北京理工大學], 베이징항공항천대학[北京航空航天大學], 베이징공업대학[北京工業大學], 수도의과대학[首都醫科大學], 수도사범대학[首都師範大學], 수도경제무역대학[首都經濟貿易大學], 중국과학원대학[中國科學院大學]
홍콩홍콩과기대학[香港科技大學], 홍콩대학[香港大學], 홍콩중문대학[香港中文大學], 홍콩성시대학[香港城市大學], 홍콩침회대학[香港浸會大學], 링난대학[嶺南大學], 홍콩교육대학[香港教育大學], 홍콩이공대학[香港理工大學]
The Beijing-Hong Kong Universities Alliance (BHUA), under the auspic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Bureau of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was established on April 13, 2018 with Peking University and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KUST) as the leading members. ###



파일:Top International Managers in Engineering logo.png
||
||
||
||
||
||
||
||
||
||
||
||
||
||
||
||
||
||
||
||
||
||
||
||
||
||



베이징항공항천대학
北京航空航天大学
Beihang University

파일:beihang_logo.jpg
교훈德才兼备、知行合一
국가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분류공립대학
개교1952년
총장쉬후이빈 (徐惠彬)
당위서기차오수민 (曹淑敏)
주소학원로베이징시 하이뎬구 쉐위안루 37호
北京市海淀区学院路37号
사하베이징시 창핑구 사허가오자오위안 남3가 9호
北京市昌平区沙河高教园南三街9号
재학생학부생16,221명
석사생일반 석사 10,142명
전문 석사 11,000명
박사생4,747명
외국인 유학생1,300명
일반 직원3,928명
교직원2,172명
학교 유형이공대학
소속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공업정보화부
링크중국어 영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지도

베이징항공항천대학 중문 홍보영상

1. 개요
2. 역사
3. 동문
4. 기타



1. 개요[편집]


파일:베이징항공항천대학 남문 및 간판.jpg
파일:베이징항공항천대학 신관 전경.jpg
베이징항공항천대학

베이징항공항천대학은 중화인민공화국 공업및정보화부서(工业与信息化部) 직속 국가중점대학이다.1952년 칭화대학(清华大学), 쓰촨대학(四川大学), 베이징공업학원[1] 등 8개 대학의 항공관련 학과를 통합하여 설립된 베이징항공학원(北京航空学院)을 1988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한 공립대학이 베이징항공항천대학이다. 줄여서 베이항(北航)이라고 부르며, 특이하게 공식 영어 교명이 "베이항"에서 음차한 Beihang University이다.[2]

우주항공분야에서는 중국 최고이자 세계적으로도 정평이 나있으며 컴퓨터, 기계, 우주의학 등 여러 공학 및 자연 과학 분야에서도 이름이 나있다. 보통 칭화대학, 베이징대학 그리고 베이징이공대학과 함께 베이징 최고의 공대 4곳중 한곳으로 현지에서는 인식된다. 다만 이로 인해 일부 군사기술 연관 학과가 미국의 블랙리스트에 올라가 있긴 하다.


2. 역사[편집]


1952년 10월 25일, 칭화대학 항공 공학부와 쓰촨대학 항공 공학부, 베이징공업학원 항공계열의 합병을 기반으로하여 중국 최초의 항공 우주 과학 기술 대학인 베이징 항공 학원이 설립되었다.

1953년 5월에 부지가 결정되고 공사를 시작했다. 1957년에 대략의 공사가 마무리 되었으며 최종적으로 135,245 평방 미터의 캠퍼스 공사와 64,160 평방 미터의 도로 공사, 도합 3560만 위안의 자본이 들어갔다.

1954년 6월, 중국 항공 산업 발전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항공 장비 및 자동화, 항공기 전기 장비, 특수 장비, 금속 열처리, 주조, 압력 처리 및 용접뿐만 아니라 7 가지 주요 항공기 장비 및 항공 재료 관련 전공을 개설했다.

중국의 12년 과학 계획의 요구 사항에 따라 1956년 대학은 솔선하여 중국 최초의 미사일, 관리 및 공기 역학 전공을 설립하였다. 또 미사일 설계, 액체 로켓 엔진, 공기 역학, 무선 장비, 항공 공학 경제학 및 계측 기술의 전공이 추가되었으며 중국의 유일의 항공 공학 경제학과가 설립되었습니다.

1958년 9월 22일 중국 북동쪽의 바이 청지에서 로켓 발사 성공을 신호탄으로 9 월 24일에는 저우언라이(周恩来)[3] 총리가 독자적으로 승인 및 베이징항공항천대학에서 100일만에 개발한 "베이징 1호" 경 여객기 베이징과 상하이 사이의 2500km의 시험 비행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중국 최초의 무인 항공기 인 "베이징 5 호"가 성공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자체 개발 무인 제어 시스템이 Type 2 항공기에 설치되었고 항공기가 무인 항공기로 개조되었으며 같은 해 9 월 25 일에 시험 비행이 성공하여 중국 무인 항공기 개발의 선례가되었다.

1958 년, 해결 장치, 로켓 지상 기계 및 발사 장치의 전공이 새로 설립되었다. 1959 년 항공 비금속 재료, 부식 및 표면 보호, 무선 항법, 레이더, 원격 제어 원격 측정, 항공 원자력 엔진 설계와 같은 새로운 전문 분야가 설립되었으며 로켓 엔진 및 미사일 제어 시스템, 그리고 유체역학 계열의 연구 실험실이 설립되었다. 항공기 구조 역학, 제트 엔진 원리 및 자이로 스코프 연구소가 추가적으로 설립되었다.

1960 년에 항공 원자력, 항공 기술 및 공학 물리학과가 추가되었고 1961 년에 자동 항공기 제어 부서가 설립되었다.

1989년 대학은 8년 5기 계획동안 국가 14개 주요 대학 중 하나가 되었다.

1997년 211 프로젝트에 참가하였다.

2001년 985 프로젝트에 참가하였으며, 중국의 첫 소프트웨어 중점 시범학교로 승인되었다.

2020년 1월 인공지능 연구소와 의과학원이 설립되었다.

3. 동문[편집]


  • 위안자쥔 - 20기 정치국 위원
  • 진좡룽 - 비행체설계공학과, 20기 중앙위원, 중화인민공화국 공업정보화부 부장
  • 구이하이차오 - 중국 최초의 민간인 우주비행사로 선저우 16호에 탑승했다.
  • 콩동메이 - 마오쩌둥의 외손녀

4. 기타[편집]


하이뎬구에 위치하고 있어서 온갖 명문대와 인접해 있고 심지어 동문은 베이징대 의학부 캠퍼스 서문을 마주하고 있다.

칭화대, 북경대처럼 이곳도 공군파일럿을 양성하는 과정을 갖고 있으며 매년 30명 정도의 조종장교를 배출하고 있다.

2021년에 중국대학중 동문기부금을 31번째로 많이 모았다.

구내 학생식당이 맛이 좋은것으로 유명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3:13:08에 나무위키 베이징항공항천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 베이징이공대학[2] 2002년 기존 영어 교명인 Beijing University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에서 교체되었으며, 현재는 공식 영어 약칭인 BUAA에서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3] 한국에서 주은래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