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베이징역

덤프버전 :

||


北京站 | Beijing Railway Statio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Beijing_Railway_Station_01.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Beijing_Railway_Station_at_Night.jpg
1. 개요
2. 역사
3. 역 및 승강장



1. 개요[편집]


중국 베이징시 둥청구 둥볜먼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베이징 훠처짠(北京火车站)또는 베이징 처짠(北京车站)이라고도 부른다. 베이징의 2환로 내에 있다. 중국 국철 징후철도, 징하철도, 징바오철도, 징친철도, 징위안철도, 징청철도등이 통과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eijing_Railway_Station_1959_%282%29.jpg
1959년 완공 당시의 베이징역

2. 역사[편집]


1906년 베이징 내성의 정문인 정양문 동편에 자리잡고 있어서 정양문둥역(正阳门东站)[1]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였는데 베이징과 봉천부(奉天府)를 잇는 징펑철도의 기점이었다.

1928년 국민당의 2차 북벌로 국민정부가 베이징을 점령하고 수도를 난징으로 천도하고 이 일대를 베이핑(北平)[2]이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한때 '베이핑역'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과 함께 베이징역으로 개명하였으며, 현재의 역 건물은 공산혁명 10주년 기념 사업인 '십대건축'의 하나로써 새로 건설하게 되었는데 1959년 1월 20일에 착공하여 9월 14일에 완성되어 구 역사에서 신 역사로 옮겨가게 되었다.

현재 21세기에는 펑타이구베이징시역과 함께 베이징을 대표하는 양대 철도역사 중 하나로 그 위상에 걸맞게 거대하다. 춘절때만 되면 방송을 타는 득시글한 화면은 이 역 아니면 베이징시역이다. 하루 평균 통과 인원은 45만명이다.

이 역에서 러시아 야로슬라브스키 역까지 주 2회 국제열차가 출발한다. 출발지와 목적지는 같지만 도중에 거치는 곳이 다른데, 하나는 몽골 종단철도를 통해 몽골 울란바토르를 거쳐서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합류하고, 다른 하나는 하얼빈 쪽으로 돌아서 만주 횡단철도를 통해 러시아로 들어간다. 드는 시간은 몽골 관통 쪽이 더 가깝지만 국적에 따라 몽골 비자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으니 주의. 한국 국적자는 무비자 통과가 가능하다.

3. 역 및 승강장[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20060515101919_-_%E5%8C%97%E4%BA%AC%E7%AB%99.jpg
12선에 섬식 3면, 두단식 3면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베이징역은 아시아 최대의 두단식 철도역으로 꼽힌다. 국제열차는 러시아 모스크바[3]행, 몽골 울란바토르행, 북한 평양행 등이 있다.
베이징시종착역
121110987654321
베이징난베이징둥
역사 밖 화장실은 남광장과 북광장을 잇는 지하 통로 중간 구석에 있다. 지하철역에는 없으니 주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3:11:09에 나무위키 베이징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중국철도박물관 정양문관으로 이용 중.[2] 북방을 평정했다는 뜻[3] 주2회 운행하며 하나는 몽골을 통과해 울란우데역에서 러시아 철도와 접속, 하나는 하얼빈역과 만저우리를 경유해 치타(러시아)에서 러시아 철도와 접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