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 ( [0] => [[분류:직업]]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래퍼, rd1=뱃사공(래퍼))] ||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111010595730103011.jpg|width=95%]] || || 사공[* 사공이 들고 있는 건 [[노(도구)|노]]가 아니라 삿대다.] || [목차] == 개요 == [[선박|배]]를 부리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으로, 줄여서 '''사공'''(沙工)이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선부'''(船夫), '''선인'''(船人), '''초공'''(梢工)이라고 한다. 때때로 안강망 [[어선]]의 선장을 사공이라고 하며, [[뗏목]]를 엮어 운항하는 사람을 '뗏사공'이라고 한다. == 역사 == 큰 배를 여러 명의 사공이 부릴 때 가장 [[우두머리]]가 되는 사공을 '도사공'이라고 하였으며, [[관]]에서 설치한 [[나루]]의 사공은 '진부(津夫)'라고 하였다. 진부의 수는 나루의 크기에 따라 달랐으며, 이들에게 지급한 전결(田結) 또한 달랐다.[* 큰 나루에는 10결 50부를 지급했으며, 중간 나루에는 7결, 작은 나루에는 3결 5부를 지급하였다.] 진부들이 배를 부리다 배가 뒤집혀서 사람이 빠졌을 때 반드시 구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곤장]] 100대를 맞았다. 배의 종류에는 관에서 부리는 배인 '관선'과 일반 개인이 부리는 '사선'이 있었으며, 배삯은 시기와 이용자에 따라 달랐다. 또한 [[낮]]보다는 [[밤(시간)|밤]]에 이용할 때 몇 배나 더 많은 값을 받았으며, 배삯은 보통 [[무명]]을 사용했다. 민간에서는 마을 공동으로 배를 마련하고 사공을 두었는데, 사공은 나루터 근처에 마을 사람들이 마련해 준 '사공막'이라는 집에서 살며 봄과 가을에 마을 사람들이 추렴해 준 곡식을 받았다. 그러나 다른 마을에서 온 사람들이 [[강]]을 건널 때는 따로 배삯을 내지 않았다. 사공의 신분은 [[천민]]으로, 자손에게 [[세습]]되었다. 산업화 이전까지 남아 있던 직종이었다. 서울 주변에도 1960~70년대까지 남아 있었지만, 나루터가 다리로 대체되면서 사라져 간 직종이다. 2000년대 들어서는 각종 지자체에서 관광용으로 운행하는 재래식 나룻배에서 노를 젓는 사공 이외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한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뱃사공은 있었는데, 멀리 지중해의 [[오스만 제국]]에서도 뱃사공들이 활동했다. [[오스만 제국]]을 여행하면서 이들을 직접 만나본 프랑스인 여행객은 오스만 뱃사공들이 하루 종일 힘들게 일하면서 먹는 음식이 고작 익히지 않은 생[[오이]] 뿐이라고 기록했다. == 기타 == [[그리스 신화]]에는 저승에 흐르는 강인 [[아케론]]에서 배를 부리는 [[카론]]이라는 뱃사공이 등장한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속담이 있다. 리더 없이 여러 사람이 자기주장만 내세우면 일이 제대로 흘러가지 못함을 비유한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강이 그다지 크지 않고 다리를 놓기에는 인적이 너무 드문 곳에는 [[줄배]]를 두어 뱃사공 없이 오갈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과거 신화나 이야기들을 쭉 살펴보면 엄청나게 많이 등장하는 직종 중 하나가 이 뱃사공이다. [include(틀:포크됨2, title=뱃사공, d=2023-11-30 08:15:10)]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