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용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소설가에 대한 내용은 명원(命元) 문서
명원(命元)번 문단을
명원(命元)#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육군미사일사령부.pn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rowbgcolor=#dcffed,#003318> 초대
김시권 ||<width=20%> 2대
정인구 ||<width=20%> 3대
하철수 ||<width=20%> 4대
강한석 ||<width=20%> 5대
김철수 ||
||<width=20%><rowbgcolor=#dcffed,#003318> 6대
김병주 ||<width=20%> 7대
이진원 ||<width=20%> 8대
김상철 ||<width=20%> 9대
이정수 ||<width=20%> 10대
박용준 ||
|| 11대
이정웅 || 12대
이두희 || || || ||
||<-5><bgcolor=#000040> ※ 초대~4대:육군유도탄사령관(소장) ▸ 4대~10대: 육군미사일사령관(소장) ▸ 11대~현재: 육군미사일전략사령관(중장) ||
||<-5><bgcolor=#00004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1. 개요
2. 생애
3. 주요 직위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군인. 최종 계급은 소장이다.


2. 생애[편집]


서울 용문고를 졸업하고 1985년 육군사관학교 45기로 입교하여[1] 1989년 졸업과 함께 육군 포병소위로 임관했다.


3. 주요 직위[편집]




4.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22:43:35에 나무위키 박용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육사 입교 동기인 이동석 장군과는 삼선중학교 동기이다.[2] 합참 대령 보직들 중에서 합동작전과장, 해외파병과장과 같이 준장 진급률이 높은 보직으로 알려져있다. 사실상 포병 대령급 최고 요직이다.# 후임자는 이두희[3] 알자회 쿠데타시 진압주력부대였다. 당연히 직속상관인 제2군단장은 대위시절 알자회 퇴출주장을 강경하게 했던 김운용제3야전군사령관이다.[4] 전임 최경관, 후임 권영현[5] 전임 성일, 후임 정덕성[6] 전임 임문균, 후임 방성대[7] 전임 김종철, 후임 김홍석[8] 전임 이정수[9] 부대명 변경.[10] 후임 이정웅[11] 3사 16기 나상웅 중장도 한직인 기계화학교장을 지내다 중장으로 진급하여 제3군단장으로 취임하였다. 다만, 나상웅의 사례가 이변인 만큼 병과학교장은 극한직이다.[12] 최근에는 군사지원본부 산하 민군작전부장에서 중장 진급률이 높게 나온다.[13] 국방부가 북한 미사일 등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5월 육군 미사일사령부를 ‘미사일전략사령부’로 확대 개편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미사일전략사는 탄도미사일뿐 아니라 F-35A 스텔스기, 3000t급 잠수함 등 각 군 대북(對北) 전략자산을 통합 운용할 ‘전략사령부’의 전신으로 볼 수 있다.문재인 정부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이후 우리 군 연합방위 작전과 한반도 전구(戰區) 작전을 주도하기 위해 전략사 창설을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폐기한 바 있다. 이번 미사일전략사 개편에 따라 전략사 창설 공약이 문 대통령 임기 말 다시 궤도에 오르는 셈이다.19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군은 최근 육군 미사일사 개편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5월 부대개편을 준비하고 있다. 2014년 창설된 육군 미사일사는 탄도·순항미사일인 현무 시리즈 등 우리 군 최신예 미사일을 운용하는 부대다.일단 국방개혁2.0으로 장군 수가 줄어든 점을 고려해 개편 직후 사령관은 기존 미사일사령관인 소장급(2성)으로 유지하되 향후 예정된 8군단 등 부대 해체가 진행되면 사령관을 중장급(3성)으로 바꿀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향후 현 미사일사의 사단급 참모부 구성도 군단급으로 격상하고 해군과 공군의 미사일 전력들을 연계 운용하는 등 조직도 확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