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이드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R-TYPE(알타입) 시리즈의 괴생명체에 대한 내용은 바이도 문서
바이도번 문단을
바이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artier_Racing_Awards.png 카르티에 어워드 올해의 말
[ 펼치기 · 접기 ]

1991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라지
1992
파일:영국 국기.svg 유저 프렌들리
1993
파일:영국 국기.svg 로치송
199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배러시아
199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리지우드 펄
1996
파일:프랑스 국기.svg 엘리시오
199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팽트르 셀레브르
1998
파일:프랑스 국기.svg 드림 웰
1999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데일라미
200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자이언츠 코즈웨이
200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판타스틱 라이트
200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록 오브 지브롤터
2003
파일:프랑스 국기.svg 달라카니
2004
파일:영국 국기.svg 위저 보드
2005
파일:프랑스 국기.svg 허리케인 런
2006
파일:영국 국기.svg 위저 보드
200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딜런 토머스
2008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르카바
200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시 더 스타즈
2010
파일:프랑스 국기.svg 골디코바
2011 · 2012
파일:영국 국기.svg 프랑켈
2013
파일:프랑스 국기.svg 트레브
2014
파일:영국 국기.svg 킹맨
2015
파일:영국 국기.svg 골든 혼
201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마인딩
2017
파일:영국 국기.svg 이네이블
2018
파일:영국 국기.svg 로어링 라이언
2019
파일:영국 국기.svg 이네이블
2020
파일:영국 국기.svg 가이야스
20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세인트마크스 바실리카
2022
파일:영국 국기.svg 바이드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이스 임팩트




2022년 카르티에 어워드 올해의 말
파일:Baaeed.jpg
이름Baaeed
출생2018년 4월 8일 (6세)
성별수컷
털색갈색(Bay)
아비시 더 스타즈(Sea the Stars)
어미아가리드(Aghareed)
외조부킹맘보(Kingmambo)
생산자셰드웰 에스테이트
마주
조교사윌리엄 해거스[1] (뉴마켓)
성적11전 10승 (10-0-0-1)
총상금2,622,282 영국 파운드
주요
우승
G1파일:프랑스 국기.svg 물랭 드 롱샹상(2021)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2021)
로킨지 스테이크스(2022)
퀸 앤 스테이크스(2022)
서섹스 스테이크스(2022)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2022)
G3서러브레드 스테이크스(2021)
레이팅WBRRM125 (2021) / I135 - M130 (2022)
타임폼137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여담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영국의 경주마. 마명은 아랍어로 '아주 멀리'이라는 뜻이다.

데뷔 후 은퇴 직전까지 10전 무패 행진을 달리고 있었던 말로써 제2의 프랑켈이다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였다. 하지만 라스트런에서 무려 4착이라는 마권 외의 부진으로 빛이 바라고 말았다.

심지어 라스트런 배당율은 무려 1/4, 1.25배로 엄청난 정배 였음에도 마권에 못들며 역대급 휴지조각이 되었다.

2. 혈통[편집]


1대2대3대
시 더 스타즈
Sea the Stars
200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케이프 크로스
Cape Cross
199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그린 데저트
Green Desert
포른 커리어
Foreign Courier
어번 시
Urban Sea
1989
파일:미국 국기.svg
미즈와키
Miswaki
알레그레타
Allegretta
아가리드
Aghareed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킹맘보
Kingmambo
1990
파일:미국 국기.svg
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미에스크
Miesque
라후두드
Lahudood
2003
싱스필
Singspiel
라하예브
Rahayeb
* Mr. Prospector 4×3×5 21.875%
* Northern Dancer 5×5 6.25%
주요 전형제[2]후쿰(2017)

1살 위의 전형제 형인 후쿰은 2022년 코로네이션 컵, 2023년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

3. 커리어[편집]




4. 여담[편집]


  • 최근 영국 경마가 밀어주고 있는 말이다. 근데 삼관마 달성할 때 시점처럼 최근 영국 경마의 인기가 줄어들고 있는 경향이라 딱히 실감은 영 못 느끼는 중(...).

  • 개선문상 회피[3]와 제 2의 프랑켈이 될 것이라는 진영의 언론플레이, 그리고 챔피언 스테이크스에서의 패배 이후 중마장[4] 때문에 졌다는 발언 등으로 인해 말딸갤에서는 유럽의 콘트레일이라고 비아냥대고 있었는데... 1년 뒤 더 심한 놈이 나와버리는 바람에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그룹
트랙
odds[5]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21년 (3세)
6.7레스터미승리클래스 4잔디 8f[6]7/431착데인 오닐(타맘)
6.19뉴마켓초급 경주클래스 4잔디 8f2/311착(코마치)
7.8뉴마켓헨리 세실 경 스테이크스[7]L잔디 8f10/1111착짐 크롤리(맥시멀)
7.30굿우드서러브레드 스테이크스G3잔디 8f2/511착(엘드라마)
9.5파일:프랑스 국기.svg 롱샹물랭 드롱샹상G1잔디 1600m1/211착(오더 오브 오스트레일리아)[8]
10.16애스컷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G1잔디 8f2/121착(팰리스 피어)[9]
2022년 (4세)
5.14뉴베리로킨지 스테이크스G1잔디 8f4/911착짐 크롤리(리얼 월드)
6.14애스컷퀸 앤 스테이크스G1잔디 8f1/611착(리얼 월드)
7.27굿우드서식스 스테이크스G1잔디 8f1/611착(모던 게임스)[10]
8.17요크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G1잔디 10f 56y[11]2/511착(미슈리프)[12]
10.15애스컷챔피언 스테이크스G1잔디 9f 212y[13]1/414착베이 브리지

파일:france_galop_logo_white.svg 물랭 드 롱샹상
(G1)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 펼치기 · 접기 ]

1957
로제 루아얄
1958
릴리아
1959
지네타
1960
민시오
1961
벨 시카
1962
파일:영국 국기.svg 로물루스
1963
훌라 댄서
1964
미르나
1965
레드 슬리퍼
1966
실버 샤크
1967
그레이트 네퓨
1968
폴라 벨라
1969
파일:영국 국기.svg 해비탯
1970
파일:영국 국기.svg 골드 로드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1971
파러웨이 선
1972
파일:영국 국기.svg 살러스트
1973
파일:영국 국기.svg 스파클러
1974
마운트 하겐
1975
델모라
1976
그레이브라인즈
1977
팔리
1978
사네드키
1979
아이리시 리버
1980
킬리자로
1981
노스 제트
1982
그린 포레스트
1983
뤼탕장테
1984
멘데즈
1985
파일:영국 국기.svg 루숑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소닉 레이디
1987
미에스크
1988
소비에트 스타
1989
폴리시 프레시던트
1990
파일:영국 국기.svg 디스턴트 렐러티브
1991
프리올로
1992
파일:영국 국기.svg 올 앳 시
1993
킹맘보
1994
스키 패러다이스
199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리지우드 펄
1996
아슈칼라니
1997
스피닝 월드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데저트 프린스
1999
센다와르
2000
인디언 로지
200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슬리클리
200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록 오브 지브롤터
2003
네브래스카 토네이도
2004
그레이 릴라
2005
파일:영국 국기.svg 스타크래프트
200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리브레티스트
2007
다르지나
2008
골디코바
2009
파일:영국 국기.svg 아클람
2010
퓌세
2011
파일:영국 국기.svg 엑셀러브레이션
2012
문라이트 클라우드
2013
막시오스
2014
참 스피릿
2015
에르베디아
2016
바다모스
2017
파일:영국 국기.svg 립체스터
2018
레코레토스
20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서커스 맥시머스
2020
페르시안 킹
2021
파일:영국 국기.svg 바이드
2022
파일:영국 국기.svg 드림 로퍼
2023
사투르네
}}}



파일:champions_day_white_logo.svg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
(G1)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애스컷 경마장, 잔디 1m
1947
튜더 민스트럴
194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제랄
1949
왓 타일러
1950
하이퍼볼
1951
리딩 라이트
1952
튜더 캐슬
195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킹 오브 더 튜더즈
1954
움베르토
195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하피즈
1956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시가론
195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미젯
1958
메이저 포션
1959
로살바
1960
소버링 패스
1961
르 르반스텔
1962
로물루스
1963
더 크레디터
1964
리나카
1965
데링도
1966
힐 라이즈
1967
리폼
1968
월드컵
1969
지미 리핀
1970
웰치 페잔트
그룹제 도입, G2 지정 후
1971 · 1972
브리거디어 제라드
1973
얀 에켈스
1974
없음
1975 · 1976
로즈 볼
1977
트러스티드
1978
호밍
1979
크리스
1980
노운 팩트
1981
투 아고니 모
1982
버자드 베이
1983
색포드
1984
텔레프롬프터
1985
샤디드
1986
쇼어 블레이드
G1 승격 후
1987
밀그램
1988
워닝
1989
질잘
1990
마크오브디스팅크션
1991
셀키크
1992
라히브
1993
파일:프랑스 국기.svg 빅스톤
1994
마루프
1995
바리
1996
마크 오브 에스템
1997
에어 익스프레스
1998
데저트 프린스
1999
두바이 밀레니엄
2000
옵저베이터리
2001
서머너
2002
웨얼 오얼 웬
2003
팔브라브
2004
라크티
2005
스타크래프트
200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조지 워싱턴
2007
라몬티
2008
레이븐즈 패스
200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립 밴 윙클
2010
포에츠 보이스
2011
프랑켈
201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액셀러브레이션
2013
올림픽 글로리
2014
파일:프랑스 국기.svg 챰 스프린트
2015
파일:프랑스 국기.svg 소로우
201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마인딩
2017
퍼스에이티브
2018
로어링 라이언
2019
킹 오브 체인지
2020
파일:프랑스 국기.svg 더 레버넌트
2021
바이드
2022
베이사이드 보이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빅 록



파일:bha-logo.png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
(G1)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G1 경주로 창설. 요크 경마장, 잔디 1m 2f 110y
197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로베르토
1973
몰턴
1974 · 197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달리아
1976
월로우
1977
렐키노
1978
하와이안 사운드
1979
트로이
1980
마스터 윌리
1981
벨데일 플러터
198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어서트
198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칼리언
1984
코머런트 우드
1985
코만치 런
1986
샤다리
198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트립틱
1988
셰이디 하이츠
1989
일 드 시프르
1990
인 더 그루브
요크 경마장, 잔디 1m 2f 85y
1991
테리몬
1992
로드리고 드 트리아노
1993 · 1994
에주드
1995 · 1996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할링
1997
싱스필
1998
원 소 원더풀
1999
로열 앤섬
200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자이언츠 코즈웨이
200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사키
2002
네이에프
요크 경마장, 잔디 1m 2f 88y
200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팔브라브
200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술라마니
200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일렉트로큐셔니스트
2006
낫나우케이토
2007
오소라이즈드
200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듀크 오브 마멀레이드
200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시 더 스타즈
201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립 밴 윙클
2011
트와이스 오버
2012
프랑켈
201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디클러레이션 오브 워
201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오스트레일리아
2015
아라비안 퀸
2016
포스폰드
요크 경마장, 잔디 1m 2f 56y
2017
율리시스
2018
로어링 라이언
20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재팬
2020
가이야스
2021
미슈리프
2022
바이드
2023
모스타다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2:31:15에 나무위키 바이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국의 전설적인 기수 레스터 피것의 사위다.[2] 중상마만 서술.[3] 재밌는 건 당시 영국 언론의 상당수는 개선문 출전을 부추기는 모양새였다.[4] 유럽은 변덕이 많은 날씨 때문에 중마장은 일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리고 그 전에 바이드는 비슷한 환경의 중마장에서 승리한 전적이 있기 때문에 더욱 말도 안되는 변명.[5]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분수로 표기하며,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6] 약 1609m[7] 프랑켈 등의 조교사였던 헨리 세실의 이름을 딴 경주다.[8] 아일랜드의 경주마. 2020년 브리더스컵 마일 우승마다.[9] 영국의 경주마. 2020, 2021년 자크 르마루아상 2연패를 비롯해 G1 5승을 기록했다.[10]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경주마. 2021년 브리더스컵 주브나일 터프, 2022년 풀 데세 드풀랭, 우드바인 마일 우승으로 2022년 10월 기준 G1 3승이다.[11] 약 2063m[12]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영국의 경주마. 2020년 프랑스 더비, 2021년 두바이 시마 클래식,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도 우승했다. 더트 경주인 사우디 컵(L)도 우승한 적 있다.[13] 약 2004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