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위동

덤프버전 : r20210301

파일:김해시로고6.png
김해시의 독립운동가
[ 펼치기 · 접기 ]

성명운동계열생몰년도훈격
강원석의열단? ~ ?
고영건3.1운동1887 ~ 1941애족장
김두갑일본방면1922 ~ 1944애족장
김만수3.1운동? ~ ?
김석암3.1운동1891 ~ 1959대통령표창
김선오3.1운동1865 ~ 1919애국장
김성득일본방면1923 ~ 1983애족장
김승래3.1운동? ~ ?
김승태3.1운동1878 ~ 1940애족장
김양산3.1운동? ~ ?
김원수3.1운동? ~ ?
김용이3.1운동1891 ~ 1919애국장
김용주3.1운동? ~ ?
김정태3.1운동1890 ~ 1958애족장
김종훤3.1운동1893 ~ 1948애족장
김헌규의병? ~ 1916애족장
노백용국내항일1885 ~ 1961건국포장
노상익만주방면1849 ~ 1941대통령표창
노상직파리서명1855 ~ 1931건국포장
노석호국내비밀
결사조직
1916 ~ 1944애족장
류진옥파리서명1871 ~ 1928건국포장
문위동국내항일1903 ~ 1976애족장
반양환광복군1924 ~ ?
박도백3.1운동1892 ~ 1939애족장
박재홍국내항일1903 ~ 1979애족장
박정수광복군? ~ ?애족장
배덕수국내항일1895 ~ 1970대통령표창
배동석3.1운동1889 ~ 1924애족장
배종철국내항일1895 ~ ?대통령표창
배치문1890 ~ 1942애국장
서석재3.1운동? ~ ?
서진령3.1운동1899 ~ 1971대통령표창
손명조3.1운동1884 ~ 1919애국장
송기송대한통의부
송상진1887 ~ 1967대통령표창
송세탁3.1운동1884 ~ 1939대통령표창
신수명일본방면1924 ~ 2007대통령표창
안무술3.1운동? ~ ?
안효구3.1운동
안효진3.1운동1874 ~ 1946건국포장
이강석3.1운동1879 ~ 1923애족장
이윤재조선어학회1888 ~ 1943독립장
이윤희노동운동
이진석3.1운동1896 ~ 1970애족장
이차수3.1운동? ~ ?
임학찬국내항일1890 ~ 1952건국포장
조영우3.1운동1887 ~ 1923애족장
조정환대한독립단1875 ~ 1926애족장
전용헌국내항일1890 ~ 1934건국포장
정적윤3.1운동? ~ ?
조동출3.1운동? ~ ?
조용명3.1운동? ~ ?
조항래3.1운동1884 ~ 1949애족장
최여봉국내항일1899 ~ 1970애족장
최현호3.1운동1890 ~ 1974애족장
한임길의병.미상? ~ ?애국장
허 발자금지원1874 ~ 1931
허웅언어학자, 한글학자1918 ~ 2004
허윤송광복군1919 ~ 1985애족장
허 평파리서명1882 ~ 1968
황찬숙국내항일1905 ~ 1970애족장
김해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들과
김해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을 포함함.
파일:건국훈장애족장약장.jpg파일:건국훈장애국장약장.jpg파일:건국훈장독립장약장.jpg



본관남평 문씨[1]
출생1903년 2월 23일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봉림리
(現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2]#
사망1976년 5월 1일
부산시
(현 부산광역시)
학력진주공립농업학교 (명예졸업)
묘소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
상훈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문위동은 1903년 2월 23일 경상남도 김해군 가락면 봉림리(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에서 문익점의 19대손으로 정6품 승훈랑(承訓郞)의 품계를 가진 아버지 문종주(文鍾周)와 어머니 창녕 조씨 사이의 4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4]

그는 1919년에 진주공립농업학교에 진학했고, 1919년 4월 13일 봉림마을의 음지 바위 아래에서 사촌 문위호(文渭鎬)와 윤상기(尹相基), 변동윤(卞東允) 등 20세 전후의 청년 여러 명을 모아 만세시위를 벌이다가 학부형들의 만류로 자진 해산했다. 이후 1920년 기숙사 학생 48명으로 구성된 토론연구회를 조직한 그는 동교생 신영안, 김익조(金益祚) 등과 함께 덴노의 천장절(天長節)인 8월 30일에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기로 결의했다.#

문위동은 먼저 진주농업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동지를 모집했고, 동교생 박학두(朴學斗)와 함께 기숙사에서 학교 등사판을 이용하여 독립선언서 3백매를 인쇄했다. 그는 8월 30일 오후 7시에 진주공원, 농업학교 앞, 재판소 앞 등 세 곳에 동지들을 규합시켜 일제히 태극기를 높이 들고 독립만세시위를 벌이고자 했다. 거사를 이틀 앞둔 8월 28일, 동교 기숙사에서 비밀리에 모임을 갖고 거사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제1 보통학교, 제2 보통학교, 광림학교, 기독청년회, 청년친목회 등 학교 및 단체에 통보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기밀이 누설되면서, 그는 거사 당일인 8월 30일에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 후 문위동은 1920년 10월 부산지방법원 진주지청에서 징역 1년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으며 모교로부터 퇴학당했다. 출옥 후, 그는 녹산의 강성의숙(降星義塾)에서 아이들을 가르쳤고, 8.15 해방 후 1952년 김해읍장#과 3.1 동지회 김해 지부장을 지냈으며, 진주농업학교로부터 명예 졸업장을 수여받았다. 그는 1976년 5월 1일에 사망했고,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3년 문위동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이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1] 의안공파-해은공파 30세 위(渭) 항렬.[2] 남평 문씨 집성촌이다.[3] 남평 문씨 인터넷족보 계보도[4] 조부 문재욱(文載郁)[3]은 1896년 김해군 세무주사를 지냈으며# 1899년 중추원의관에 임명된 바 있는# 지방 유지로서 1899년 김해군 지역 사립학교 설립에 참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