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린가오위안

덤프버전 :

파일:1000006321.jpg
이름린가오위안(林高遠[1], 林高远[2], Lín Gāoyuǎn)
국적중국파일:중국 국기.svg
출생1995년 3월 19일(29세), 광둥성 선전시
종목탁구
1. 소개
2. 플레이 스타일
3. 여담
4. 수상 기록


1. 소개[편집]


중국의 국가대표 탁구선수이다. 일찍이 2009년부터 주니어 무대에서 두각을 드러내 기대를 모았다. 엘리트 탁구 세계무대에서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치고 올라오기 시작했다.

2. 플레이 스타일[편집]


왼손잡이 셰이크핸드 선수로 전진에서 빠른 박자로 치는 스타일이다. 서브와 포핸드 동작 등은 첸치에게서 영향을 받았다. 움직임이 매우 빠르며 전환도 빠르고 상당히 빠른 타이밍의 카운터 플레이에 능하다. 리시브는 백핸드 치키타와 포핸드 커트를 적절히 섞어가면서 플레이하는 스타일이다. 백핸드 디펜스도 좋은 편이며 백핸드 기술의 변칙적인 코스변화 플레이가 특기이다. 기본기가 좋아서 포핸드 백핸드 드라이브의 연결력이 매우 뛰어나다. 한 방 한 방의 파워가 최고급으로 강력하다기 보다는 꾸준한 연속 공격이 장점이자, 빠르고 다양한 백핸드로 버티고 압박하면서 반 박자 빠르게 카운터를 날리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

실력은 뛰어난 반면 정신력 면에서는 미숙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심지어 10:4를 만들어놓고도 게임을 지는 역대급 역전패를 당하는 모습도 나왔었지만 2019년 이후부터는 그런 면은 많이 줄어들었다. 다만 2021년 기준으로도 아직도 경기 중 가장 중요한 타이밍에 소극적인 플레이를 한다던가 뜬금없는 타이밍에 뜬금없는 공격실수를 해서 상대에게 게임을 내주는 모습이 수시로 나오고 있다. 때문에 세계 최상위급 실력자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저평가를 받는 선수 중 한 명이다. 헤어스타일을 바꾸면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듯 하다. 현재는 왕추친에게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3. 여담[편집]


서구권에서의 별명은 "Dark Knight" 이다. 중국내에서 어렸을 때 부터 마롱과 같은 탑랭커들을 잘 잡았기 때문에 흑마(黑马) 즉, 다크호스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이를 치환해서 서구권에서 "Dark Knight" 라고 불린다.

4. 수상 기록[편집]


세계선수권
금메달2018 할름스타드단체전
금메달2022 청두단체전
동메달2019 부다페스트남자 복식
동메달2021 휴스턴혼합 복식
동메달2021 휴스턴남자 복식
아시안 게임
금메달2018 자카르타·팔렘방단체전
금메달2022 항저우단체전
은메달2018 자카르타·팔렘방혼합 복식
은메달2018 자카르타·팔렘방단식
은메달2022 항저우혼합 복식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17 우시남자 복식
금메달2019 욕야카르타단체전
금메달2019 욕야카르타남자 복식
금메달2023 평창남자 복식
금메달2023 평창혼합 복식
금메달2023 평창남자 단체전
은메달2019 욕야카르타단식
월드컵
금메달2018 런던단체전
금메달2019 도쿄단체전
동메달2018 런던단식
아시안 컵
금메달2017 아마다바드단식
은메달2018 요코하마단식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2009 카르타헤나단체전
금메달2010 브라티슬라바단체전
금메달2011 마나마단체전
금메달2012 하이데라바드단체전
금메달2012 하이데라바드남자 복식
은메달2009 카르타헤나남자 복식
은메달2010 브라티슬라바단식
은메달2011 마나마단식
은메달2012 하이데라바드혼합 복식
은메달2012 하이데라바드단식
동메달2009 카르타헤나혼합 복식
동메달2009 카르타헤나남자 복식
동메달2010 브라티슬라바남자 복식
동메달2011 마나마혼합 복식
동메달2011 마나마남자 복식
주니어 아시아선수권
금메달2010 방콕단체전
금메달2011 뉴델리단체전
동메달2010 방콕남자 단식
동메달2010 방콕남자 복식
동메달2011 뉴델리남자 단식
[1] 번체자[2] 간체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12:19:58에 나무위키 린가오위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