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원선

덤프버전 :

1. 개요
2.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편집]


리원철산역차호역을 잇는 노선. 길이 11.6km인데, 이 중 라흥역 - 증산역 2.7km 구간은 평라선을 공유한다.

사실 평라선의 지선인데, 시점역과 종점역이 모두 평라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특이사항이 있는 노선. 때문에 일부 지도에서는 리원철산역 - 라흥역 구간만을 리원선으로 하고 증산역 - 차호역 구간은 차호선으로 두기도 한다. 아예 리원선을 철산차호선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1941년판 조선열차시각표가 대표적인 예. 운행계통이 리원철산역 - 차호역이(었)기 때문에 나무위키에서는 일단 두 역을 한 노선으로 몰아넣는다.

헌데 이러한 노선 분리 문제가 무색할 만큼 중요하고 또 황당한 사실이 있는데, 바로 노선 문제. 비전철화는 일단 기본으로 깔고 들어가며 역사도 제대로 된 역사가 없다. 심지어 철길에 풀이 나 있지 않나(...이건 약과다), 중간 중간에 제대로 이어지지 않은 부분이 있지 않나, 키 작은 나무로 가려져 있지 않나, 밭을 지나가지 않나... 노면전차도 이보다는 나을 수준. 그야말로 북한의 전 노선을 통틀어 최악의 환경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때문에 아예 이 노선 자체를 표시하지 않는 지도도 있으며, 실제로 제대로 된 변변한 역사(驛舍)도 없고 선로도 막장의 극치를 달리고 있기 때문에 폐선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해봐야 할 수준.

하긴 리원철산역 인근의 철광은 뭐 벌써 고갈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차호역 쪽으로는 딱히 뭔가를 수송한다거나 할 만한 껀수가 없다(...) 있어 봤자 어획한 자원 정도인데, 이건 선로 상태가 완전히 나빠서 차라리 도로로 운송하는 게 더 나을 지경. 바꿔서 말하면 북한의 철도 환경이 얼마나 나쁜지를 보여주는 실례가 되겠다.


2. 역 목록[편집]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리원선 역 목록
역 명역간거리기점거리종점거리분기노선비고소재지
리원철산利原鐵山기점0.011.6함남 리원군
라 흥羅 興3.83.87.8평라선
증 산曾 山2.96.74.9평라선
차 호遮 湖4.911.60.0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9:58:04에 나무위키 리원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