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상푸

덤프버전 :


리상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국방부장
[ 펼치기 · 접기 ]

#FFF ||<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width=33%> {{{-2 {{{#ffff00 초대}}}}}} ||<width=33%> {{{-2 {{{#ffff00 제2대}}}}}} ||<width=33%> {{{-2 {{{#ffff00 제3대}}}}}} || ||<rowbgcolor=#fff,#191919> [[펑더화이]] || [[린뱌오]] || [[예젠잉]] || || {{{-2 {{{#ffff00 제4대}}}}}} || {{{-2 {{{#ffff00 제5대}}}}}} || {{{-2 {{{#ffff00 제6대}}}}}} || ||<rowbgcolor=#fff,#191919> [[쉬샹첸]] || [[겅뱌오]] || [[장아이핑]] || || {{{-2 {{{#ffff00 제7대}}}}}} || {{{-2 {{{#ffff00 제8대}}}}}} || {{{-2 {{{#ffff00 제9대}}}}}} || ||<rowbgcolor=#fff,#191919> [[친지웨이]] || [[츠하오톈]] || [[차오강촨]] || || {{{-2 {{{#ffff00 제10대}}}}}} || {{{-2 {{{#ffff00 제11대}}}}}} || {{{-2 {{{#ffff00 제12대}}}}}} || ||<rowbgcolor=#fff,#191919> [[량광례]] || [[창완취안]] || [[웨이펑허]] || || {{{-2 {{{#ffff00 제13대}}}}}} || {{{-2 {{{#ffff00 제14대}}}}}} || {{{-2 {{{#ffff00 제15대}}}}}} || ||<rowbgcolor=#fff,#191919> [[리상푸]] || - || - ||




파일:중국 공산당 문장 옐로.svg
중국공산당
중앙영도기구
||
[ 펼치기 · 접기 ]

중앙위원회
총서기시진핑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중앙위원회 총서기
중앙군사위 주석
국가주석
시진핑
국무원 총리리창
전국인대 상무위원장자오러지
전국정협 주석왕후닝
겸 중앙서기처 제1서기차이치
겸 중앙기율검사위 서기리시
국무원 상무부총리딩쉐샹
위원딩쉐샹 · 시진핑 · 마싱루이 · 왕이 · 왕후닝 · 인리 · 스타이펑 · 류궈중 · 리시 · 리창 · 리간제 · 리수레이
리훙중 · 허웨이둥 · 허리펑 · 장유샤 · 장궈칭 · 천원칭 · 천지닝 · 천민얼 · 자오러지 · 위안자쥔 · 황쿤밍 · 차이치
중앙위원회 기능부서
중앙판공청 주임차이치중앙조직부장천시
중앙통일전선공작부장스타이펑중앙선전부장리수레이
중앙대외연락부장류젠차오중앙사회공작부장우한성
중앙정법위 서기천원칭
중앙위원회 사무기관
중앙정책연구실 주임장진취안중앙대만공작판공실 주임쑹타오
중앙항오공작판공실 주임샤바오룽
중앙서기처
제1서기차이치
서기스타이펑 · 리간제 · 리수레이 · 천원칭 · 류진궈 · 왕샤오훙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시진핑부주석장유샤 · 허웨이둥
위원장성민 · 먀오화 · 류전리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리시
부서기류진궈 · 장성민 · 샤오페이 · 위훙추 · 푸쿠이 · 쑨신양 · 류쉐신 · 장푸하이
상무위원왕아이원 · 왕훙뤼 · 류진궈 · 류쉐신 · 쉬뤄더 · 쑨신양 · 리시 · 리신란 · 샤오페이·
장성민 ·장푸하이 · 천궈창 · 자오스융 · 허우카이 · 인바이 · 위훙추 · 푸쿠이 · 무훙위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5%> 부주석*1
장유샤 ||<width=25%> 부주석*1
허웨이둥 ||||
||<width=25%> 기율검사위원회 비서 겸 중앙군위위원
장성민 || 정치공작부 주임 겸 중앙군위위원
먀오화*2 ||<width=25%> 국방부장 겸 중앙군위위원
리상푸*3 ||<width=25%> 연합참모장 겸 중앙군위위원
류전리 ||
||<-4><bgcolor=#eee,#191919>*1 : 주석은 중국 국가주석으로 군사 계급이 없다.
*2 : 해군상장, 해군정치위원이 되기 전까지 단 한 번도 해군에서 근무해본 경험이 없는 육군 출신이다.
*3 : 전략지원부대 출신이다.
||




중화인민공화국 제13대 국방부장
리샹푸
李尚福
파일:Li_Shangfu_(2023-04-17).jpg
이름한문: 李尚福 (병음: Lǐ shàngfú)
한국 한자음: 이상복
국적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출생1958년 2월 (66세)
쓰촨성 청두시
학력국방과기대학
정당

계급파일:중국육군상장 견장 눕힌버전.png 육군상장
현직중화인민공화국 제13대 국방부장(2023. 03. 12. ~ 2023. 10. 24)
주요 이력시창 위성발사센터 주임
주취안 위성발사센터 사령원
중앙군사위원회 장비발전부
제13대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1. 개요[편집]


1958년 쓰촨성 청두 출신.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인. 계급은 상장이며 제13대 국방부장. 제20기 중앙군사위원.


2. 생애[편집]


1958년 홍군 출신 철도군 서남부 부사령관 리샤오주(李绍珠)의 아들로 출생.
중국 인민해방군 국방과기대학을 1982년에 졸업한 후 중국 시창 위성발사센터에서 근무했다.
2003년 12월 총장비부 중국 시창 위성발사센터 주임으로 부임했다. 2006년 소장으로 진급하였고 2010년 10월 발사한 창어 2호를 포함한 여러 로켓 발사를 감독하였다.
2013년 9월 제20시험훈련기지(중국 주취안 위성발사센터) 사령원으로 자리를 옮긴 상훙(尙宏) 소장의 후임으로 총장비부 참모장이 됐다.
2014년 12월, 총장비부 부부장에 임명되었다.
2016년 1월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 부사령원 겸 참모장이 되었고 동년 8월 중장이 되었다.
2017년 8월, 장유샤 후임으로 중앙군사위원회 장비발전부장이 되었다.
같은 해 10월 중국공산당 19기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018년 2월 24일 제13대 전인대 대표에 선출되었다.
2019년 7월 상장으로 진급하였다.
2022년 10월 22일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서 국방부장으로 지명되었다.
2023년 1월 18일 중앙군위 상장 진급식에 참석한게 확인되었고 같은 해 3월 12일 공식적으로 국무위원 겸 국방부장이 되었다.

3. 국방부장으로서[편집]


파일:1000.jpg[1]
2023년 4월 16~19일 러시아를 방문, 푸틴과 회담을 가졌다.# 6월 4일, 제20차아시아안보회의에 참석하였다.#

8월부터 실종설이 불거지고 있다.# 9월에 해임이 거의 확실시 된것으로 관측된다. 후임은 류전리 연합참모부 참모장이 거론된다, 이 경우 공석이 되는 연합참모부 참모장은 창딩추 공군사령원이, 공군사령원은 징젠펑 연합참모부 부참모장이 자리를 채울 것으로 예측된다.#

10월 20일~24일 열린 전인대 상무위원회 제6차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면직되었다. 면직 사유는 없고 후임 국방부장도 지명하지 않았다.# 다만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 자리는 유지되었다.

4. 특이사항[편집]


2018년 장비개발부장 재임 시절 미국의 금수조처를 어기고 러시아 국영무기 수출사 로스오보론엑스포르트와 거래하면서 수호이-35 전투기 10대와 S-400 방공미사일 시스템을 도입했다는 이유로 제재 대상에 올라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8:45:11에 나무위키 리상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은 그의 소장 시절 군생활 35년차때 촬영된 것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