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룽강구(선전시)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선전시 외 룽강구에 대한 내용은 룽강구 문서
룽강구번 문단을
룽강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21
현급행정구
시할구 65, 현급시 20, 34, 자치현 3
광저우시
성도
广州市
웨슈구
越秀区
리완구
荔湾区
하이주구
海珠区
톈허구
天河区
바이윈구
白云区
황푸구
黄埔区
판위구
番禺区
화두구
花都区
난사구
南沙区
충화구
从化区
쩡청구
增城区
선전시
深圳市
푸톈구
福田区
뤄후구
罗湖区
난산구
南山区
바오안구
宝安区
룽강구
龙岗区
옌톈구
盐田区
핑산구
坪山区
룽화구
龙华区
광밍구
光明区
다펑신구
大鹏新区
사오관시
韶关市
전장구
浈江区
우장구
武江区
취장구
曲江区
러창시
乐昌市
난슝시
南雄市
스싱현
始兴县
런화현
仁化县
웡위안현
翁源县
신펑현
新丰县
루위안 야오족 자치현
乳源瑶族自治县
주하이시
珠海市
샹저우구
香洲区
더우먼구
斗门区
진완구
金湾区
산터우시
汕头市
진핑구
金平区
룽후구
龙湖区
하오장구
濠江区
차오양구
潮阳区
차오난구
潮南区
청하이구
澄海区
난아오현
南澳县
포산시
佛山市
찬청구
禅城区
난하이구
南海区
순더구
顺德区
싼수이구
三水区
가오밍구
高明区
장먼시
江门市
펑장구
蓬江区
장하이구
江海区
신후이구
新会区
타이산시
台山市
카이핑시
开平市
허산시
鹤山市
언핑시
恩平市
잔장시
湛江市
츠칸구
赤坎区
샤산구
霞山区
포터우구
坡头区
마장구
麻章区
롄장시
廉江市
레이저우시
雷州市
우촨시
吴川市
쑤이시현
遂溪县
쉬원현
徐闻县
마오밍시
茂名市
마오난구
茂南区
뎬바이구
电白区
가오저우시
高州市
화저우시
化州市
신이시
信宜市
자오칭시
肇庆市
돤저우구
端州区
딩후구
鼎湖区
가오야오구
高要区
쓰후이시
四会市
광닝현
广宁县
화이지현
怀集县
펑카이현
封开县
더칭현
德庆县
후이저우시
惠州市
후이청구
惠城区
후이양구
惠阳区
보뤄현
博罗县
후이둥현
惠东县
룽먼현
龙门县
메이저우시
梅州市
메이장구
梅江区
메이셴구
梅县区
싱닝시
兴宁市
다부현
大埔县
펑순현
丰顺县
우화현
五华县
핑위안현
平远县
자오링현
蕉岭县
산웨이시
汕尾市
청구
城区
루펑시
陆丰市
하이펑현
海丰县
루허현
陆河县
허위안시
河源市
위안청구
源城区
쯔진현
紫金县
룽촨현
龙川县
롄핑현
连平县
허핑현
和平县
둥위안현
东源县
양장시
阳江市
장청구
江城区
양둥구
阳东区
양춘시
阳春市
양시현
阳西县
칭위안시
清远市
칭청구
清城区
칭신구
清新区
잉더시
英德市
롄저우시
连州市
포강현
佛冈县
양산현
阳山县
롄산 좡족 야오족 자치현
连山壮族瑶族自治县
롄난 야오족 자치현
连南瑶族自治县
둥관시
东莞市
현급행정구 없음
중산시
中山市
현급행정구 없음
차오저우시
潮州市
샹차오구
湘桥区
차오안구
潮安区
라오핑현
饶平县
제양시
揭阳市
룽청구
榕城区
제둥구
揭东区
푸닝시
普宁市
제시현
揭西县
후이라이현
惠来县
윈푸시
云浮市
윈청구
云城区
윈안구
云安区
뤄딩시
罗定市
신싱현
新兴县
위난현
郁南县
부성급행정구 부성급시
|
부지급행정구 부지급시



||
[ 펼치기 · 접기 ]

현급행정구 시할구 9, 1공능신구
뤄후구
罗湖区
푸톈구
福田区
난산구
南山区
바오안구
宝安区
룽강구
龙岗区
옌톈구
盐田区
룽화구
龙华区
핑산구
坪山区
광밍구
光明区
다펑신구
大鹏新区
: 시정부 소재지 |
특구
|
공능신구
(중국 민정부 편제 외 행정구)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선전시시할구
龙岗(Lónggǎng( | 龙岗(Lung4gong1(Keoi1 | 龙岗区(Liùng-kông-khî
룽강구 | Longgang District
구정부 소재지선전시 룽강구 룽샹다다오8033호
深圳市龙岗区龙翔大道8033号
지역중난
면적388.59km²(다펑신구 제외)
하위 행정구역11가도(다펑신구 제외)
시간대UTC+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3,979,037명 (2020, 다펑신구 제외)
인구밀도10,240명/km²
서기왕처페이(王策飞)
구장장리웨이(张礼卫)
GRDP전체$645억 214만 (2020)
1인당$16,210 (2020)
차량번호粤B
행정구역코드440307
지역전화번호0755
우편번호518116

홈페이지
1. 개요
2. 관광
3. 룽강구 소재 대학
4. 교통
4.1. 관내 철도역 목록
5. 산하 행정구역
5.1. 가도



1. 개요[편집]


룽강구의 경관
[ 펼치기 · 접기 ]

선전 유니버시아드 스포츠 센터(深圳世界大学生运动会体育中心)
선전국제대학원(深圳国际大学园)
파일:深圳国际低碳城.jpg
선전국제저탄소도시(深圳国际低碳城)
파일:龙城广场.webp
룽청광장(龙城广场)

선전시에 위치한 구. 현재는 외지인의 유입으로 많이 희석되었지만, 룽강구는 선전시에서 유일하게 객가인 문화권에 속하는 지역이다. 실제로 룽강구민 중 표준중국어를 모어로 쓰는 사람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한족들이 객가어를 사용한다. 그래서 룽강구 내부에는 객가인들의 거주지인 토루도 존재한다.

현재 룽강구는 난산구와 함께 교육 및 연구전문도시가 개발된 지역 중 하나로, 난산구의 선전대학성과 비슷하게 선전국제대학원(深圳国际大学园)이라는 교육구역이 존재한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선전대학성은 대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연구단지의 성격을 띈다면, 룽강구의 선전국제대학원은 중국 국외대학이 중국 내 캠퍼스를 설치한, 일종의 국제캠퍼스 형태를 이루고 있는 곳이며 동시에 교육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선전시 동남부 다펑반도(大鹏半岛)에는 공능신구[1]다펑신구가 있는데, 여기는 공식적으로는 룽강구 소속이다. 선전시에서 다펑신구를 공능신구로써 분리시키고 형식상으로는 다른 구역으로 취급하지만 다펑신구가 공능신구로 지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까지 행정분리가 되어있지 않으며, 동시에 행정구역 사무를 담당하는 민정부는 공능신구 제도를 공식적인 행정구역으로 보지 않고 있다. 그래서 룽강구는 현재 선전시 내에서 유일하게 월경지를 보유한 구이기도 하다.

2011년에 개최된 2011 선전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주경기장인 선전 유니버시아드 스포츠 센터가 룽강구에 있다. 또한 화웨이의 본사도 여기에 있다.

2. 관광[편집]



3. 룽강구 소재 대학[편집]



4. 교통[편집]



4.1. 관내 철도역 목록[편집]



5. 산하 행정구역[편집]



5.1. 가도[편집]


밑줄 친 지역은 인민정부 소재지이다. 또한 (大鹏) 표시가 되어있는 구역은 공능신구인 다펑신구 관할지이다.
행정구역 코드명칭
440307003000핑후가도(平湖街道)
440307006000핑디가도(坪地街道)
440307009000쿠이융가도(葵涌街道)(大鹏)
440307010000다펑가도(大鹏街道)(大鹏)
440307011000난아오가도(南澳街道)(大鹏)
440307012000난완가도(南湾街道)
440307013000반뎬가도(坂田街道)
440307014000부지가도(布吉街道)
440307015000룽청가도(龙城街道)
440307016000룽강가도(龙岗街道)
440307017000헝강가도(横岗街道)
440307018000지화가도(吉华街道)
440307019000바오화가도(宝龙街道)
440307020000위안산가도(园山街道)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4:26:42에 나무위키 룽강구(선전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선전시에만 존재하는 행정구역으로, 선전시의 공식적인 시할구로 독립하기 전에 거치는 임시 행정구역이다. 이 공능신구로 지정이 되면 행정체계 분리작업이 시작되며, 동시에 시에서 대규모 개발지원이 들어간다. 선전시 출범 직후 설립된 구 6개를 제외한 나머지 구인 룽화구, 광밍구, 핑산구 역시 이 공능신구를 거쳐 공식 시할구로 독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