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루웨이다

덤프버전 :


파일:LAV_DIYA_22.png
Diya
路炜达 (Lu Weida / 루웨이다 / 노위달)
출생1999년 7월 30일 (24세)
랴오닝성
국적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IDDiya
Santiago
deathknight
포지션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감도DPI 3200 / SENS 1.36
주 영웅파일:트레이서 초상화.png 파일:맥크리 초상화.png 파일:위도우메이커 초상화.png
소속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Vici_Gaming_Logo.png Vici Gaming
(2016.10 ~ 2017.10.31)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2017.10.31 ~ 2020.10.26)
파일:Team_CC_logo.png Team CC
(2019.11.07 ~ 2021.01.31)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2021.12.14 ~ 2022.11.16)
파일:zhanqi-logo.pn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
2. 커리어
3. 플레이 스타일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중국 출신의 오버워치 프로게이머. 현 LA 발리언트 소속.

2. 커리어[편집]


우승 경력
Overwatch Team Story - Chapter 2 우승
Star Horn Royal ClubVici GamingLaoYinBi
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3 우승
샌프란시스코 쇼크상하이 드래곤즈대회 개편
2020 오버워치 NeXT Cup Spring 우승
Element MysticTeam CCRunAway
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난투 아시아 우승
대회 출범상하이 드래곤즈광저우 차지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1 우승
LGE.HuyaTeam CC미정
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아시아 우승
광저우 차지상하이 드래곤즈미정
2020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우승
밴쿠버 타이탄즈상하이 드래곤즈미정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아시아 우승
Element MysticTeam CC미정
2020 오버워치 NeXT Cup Winter 우승
RunAwayTeam CCTeam CC
준우승 경력
Overwatch Premier Series 2017 - Summer 준우승
LGD GamingVici Gaming1246
2020 오버워치 NeXT Cup Summer 준우승
T1Team CCBilibili Gaming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차이나 시즌 2 준우승
LGE.HuyaTeam CC미정
2020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아시아 준우승
서울 다이너스티상하이 드래곤즈항저우 스파크
수상 경력
Overwatch Premier Series 2017 Awards Best Offense
대회 출범루웨이다
(상하이 드래곤즈)
대회 개편

3. 플레이 스타일[편집]


파일:diya_widowplay.gif
파일:diya_widow2.gif
파일:diya_widow3.gif

세 움짤의 플레이가 이 선수의 모든 것을 보여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록 저 날 경기에서 팀은 0:4로 완벽히 관광당했지만 디야 혼자만은 슈퍼플레이를 많이 보여주며 많은 해설진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에임은 물론이고 난전 상황에서의 평정심 및 조준 정확도는 세계구급 위도우메이커들과 비교해도 꿀리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았다. 옵갤 등지의 커뮤니티에서는 '신(新) 띵띵갑', '디야플레이어', '중국산 사야' 등등의 별명을 붙여주기도 했다. 한번 맞기 시작하면 적어도 3명 이상을 연속으로 잡아주며 상황에 따라 5명 이상도 잡는 경우가 있다.

트레이서 실력도 팀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추정된다. 디야는 분명 위도우메이커로 유명하지만 언데드가 위도우메이커를 하고 디야가 트레이서를 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정크랫과 파라도 디야가 담당한다.

정규시즌에는 언데드가 위도우와 맥크리로 똥꼬쇼를 하고 디야가 상대적으로 묻히는 편이다. 이는 언데드가 솔저조차 애매할 정도의 위맥 특화 선수이고 비슷비슷한 히트스캔 스페셜리스트라도 디야가 정크랫이나 에임형 트레이서, 별로 잘하진 않지만 파라 등 영웅폭이 조금이라도 낫기 때문인 듯하다. 즉 디야가 똥꼬쇼를 하던 프리시즌에는 언데드가 아예 버로우를 탔던 반면 언데드가 똥꼬쇼를 하는 옆에서 디야는 어느 정도 제 몫을 하기 때문에 디야가 희생하고 있는 셈.

정크랫으로는 확실히 솔맥위 부럽지 않은 좋은 플레이를 보여주고[1] 트레이서는 사야플레이어처럼 상대 영웅 하나 지워버리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지만 의문사도 보여주는 전형적인 에임형. 파라의 경우 리그 파라들 상대로는 얼터링의 처참한 메르시의 문제도 있긴 하겠지만 거의 서열정리를 당하고 있어 맞파라전으로는 기용빈도가 높지 않다.

스테이지2 2주차부터 스테이지2 5주차까지 비활성 로스터로 전환되었다. 사유는 개인 가정사 때문이라고.

그리고 스테이지 3에서 위도우로 플레타에게 연신 서열정리를 당하는 등, 가정사 문제인지 아니면 한국 선수들과의 의사소통 문제인지는 모르지만 주 영웅 기량이 하락한 모습으로 프리시즌을 기억하는 팬들에게 다소 아쉬움을 주고 있다.

스테이지 3 마지막 주 런던전부터 조금씩 위도우메이커 샷발이 살아나기 시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더니, 뉴욕전 4세트에서 현 리그 위도우 미러전 최강자로 평가받는 파인을 상대로 나쁘지 않은 활약을 펼치는 모습을 보여주며 다시금 재도약할 준비를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테이지 4 3주차 휴스턴 아웃로즈와의 경기에서 팀은 졌지만 기어이 위도우메이커로 POTM과 MVP를 받아내면서 '내가 상하이의 영고라인이다'를 강렬하게 보여주었다. 참고로 디야가 받은 MVP는 오버워치 리그 최초 패배팀 MVP이다.

종종 북미섭 경쟁전에서 같은 상하이 팀원들과 2,3인큐를 돌리는 데, 트레이서를 잡고 혼자서 뒷라인을 전부 터트리며 엄청난 존재감을 어필한다. 특히 그 엄청난 에임으로 젠야타를 한 탄창 컷 내고 메르시까지 잡아버린다. 물론 이태준식 단독행동을 하는 에임형 트레이서 플레이가 먹히는 것이 소통이 덜 활발한 경쟁전이라서도 있지만, 대회에서도 이 선수는 같은 위도우 잘하고 히트스캔 에임 특화였던 동료 언데드에 비해서는 분명히 더 나은 트레이서 활약을 보였다.

시즌 1이 종료되고 실시된 리빌딩의 결과 팀내 유일한 중국 국적 선수가 되었다.[2] 때문에 본인이 중화권 선수 중심의 팀으로 이적하지 않는 이상은 팀원과의 소통을 위해서라도 한국어를 배워야 되는 입장이 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를 위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고 한다. [3]

시즌 2는 새로 영입된 디엠, 띵, 영진이 맹활약을 하면서 1 경기 빼고 출전하지 않았다. 특히 최대 경쟁자인 디엠이 영웅폭과 플레이 스타일이 겹치고 언어 문제까지 있어 디야의 출전 기회가 거의 나오지 않는다. 스테이지 3부터 디엠의 폼이 절정에 이르면서 본인도 "자기는 더 이상 스크림에 낄 수 없을것 같다." 고 코멘트를 남겼다. 비록 본인들 동료의 덕이지만 42연패를 전부 경험한 상하이의 유일한 중국 선수이기에 스테이지 3 우승은 감회가 남다를지도.

2020 시즌에는 단 한 경기에도 출전하지 못했다. 경쟁 포지션인 메인딜러에 립이라는 어마무시한 신예가 등장했고 디엠 역시 건재한데다가 서브딜러 포지션인 플레타도 메인딜러로 기용됐을때 충분히 최상위 퍼포먼스를 보여줄수 있는 선수라 상하이의 5딜러 로스터가 확정되고나서는 출전기회가 거의 오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상황이긴 했다.

아카데미인 Team CC로 내려갔지만, 에이스 딜러로 자리 잡으면서 Team CC를 최강의 팀으로 만든 주역이 됐다. 20시즌 건틀릿에서도 꾸준한 모습을 보여줬다.

그리고 정규시즌 꼴찌와 1위를 둘 다 해 본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2021 시즌에는 팀을 못 구해서 경기를 못 뛰었으나, 2022 시즌에 LA 발리언트로 영입되며 리그로 복귀했다.

킥오프 클래시에서 팀의 5연패 속에서도 메인딜러로써 주전을 맡으며 솔저로 좋은 폼을 보여주며 활약하고 있다. 그러다가 5월 29일의 청두 헌터즈와의 경기에서 1:3으로 승리하며 발리언트의 23연패를 끊어내면서 본인이 주전을 맡은 경기에서 리그에서 첫 승을 거두었다라는 나름대로 값진 결과를 얻어내었다. 미드시즌 매드니스 첫 경기에는 2, 3세트만 뛰었으나 3세트에서 위도우로 대활약을 펼치며 팀 분위기를 완전히 반전시켰다. 팀 역시 3:2 역스윕 승리. 썸머 쇼다운에서는 무려 탱커 포지션으로 출전해 정커퀸으로 팀이 부진한 와중에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4.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시즌선수
출범 시즌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
LA 발리언트
파일:미국 국기.svg 0. 크리스토퍼 셰퍼P
GrimReality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11. 핀비욘 요나손
Finns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2. 김민철
Izayaki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13. 코너 프린스P
Avast
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7. 황장현
TiZi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파일:캐나다 국기.svg 23. 조셉 그라이마노
Joemeister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파일:스웨덴 국기.svg 12. 루카스 호칸손P
Mendokusaii
2019 시즌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0. 황장현PO
TiZi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1. 김도현A
Pine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8. 이병호T
Panker
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 이의석
Fearless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5. 앨리넛 바네릿I
ELLIVOTE
파일:스웨덴 국기.svg 28. 루카스 비클룬드I
LullSiSH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
플로리다 메이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3. 김성훈
SNT
2020 시즌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파일:중국 국기.svg 0. 루웨이다T
Diya
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
파리 이터널
파일:영국 국기.svg 20. 요헨 오닐I
SMEX
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파일:중국 국기.svg 7. 차이스룽I
Krystal
파일:중국 국기.svg 11. 치하오먀오I
wya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파일:영국 국기.svg 조시 윌킨슨
Sideshow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LA 글래디에이터즈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파일:프랑스 국기.svg 5. 딜랑 비녜
aKm
파일:미국 국기.svg 22. 재커리 롬바도
ZachaREEE
파일:프랑스 국기.svg 24. 뱅자맹 셰바송
uNKOE
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파일:캐나다 국기.svg 51. 리암 캠벨
Mangachu
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
휴스턴 아웃로즈
파일:벨기에 국기.svg 7. 알렉산드레 반홈위건
SPREE
파일:미국 국기.svg 13. 대니얼 펜스
Boink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28. 루카스 비클룬드I
LullSiSH
2021 시즌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4. 정준
Erster
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 김도현
Pine
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6. 박종렬O
SAEBYEOLBE
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
필라델피아 퓨전
파일:프랑스 국기.svg 21. 가엘 구제시
Poko
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
워싱턴 저스티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7. 박성욱
Ria
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파일:중국 국기.svg 22. 자청제
LIGE
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
보스턴 업라이징
파일:영국 국기.svg 25. 카메론 보스워스
Fusions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파일:중국 국기.svg 20. 원예린
NvM
2022 시즌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파일:중국 국기.svg 0. 어우이량
Eileen
파일:중국 국기.svg 1. 리위안징하오
Apr1ta
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파일:미국 국기.svg ?. 잭 맥아더
Vulcan
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3.svg
플로리다 메이헴
파일:호주 국기.svg ?. 아담 숭
Ad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 박영서
KariV
파일:LA 발리언트 로고 2.svg
LA 발리언트
파일:중국 국기.svg 13. 중하오톈
Haker
,,{{{-1 정규 시즌 도중 방출/은퇴, 정규 시즌 도중 영입
P 프리시즌 출전 / A 올스타전 출전 / I 비활성화 로스터
T 투웨이 계약 / PO 플레이오프 출전 / O 오프시즌 경기 출전
※ 닉네임은 시즌 당시를 기준으로, 순서는 정규 시즌 순위 및 번호 순서대로 배열함.
※ 특정 팀에선 출전하지 않다가, 타 팀 이적 후 출전하는 경우는 미포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2:26:00에 나무위키 루웨이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상하이가 1주차 유일하게 세트를 딴 샌프란시스코전 2세트 호라이즌에서 조합이 언데드 위도우 디야 정크랫이었다. 디야가 딜 39%를 넣고 타이어 대박을 내고 언데드가 계속 킬을 띄우면서 겨우 이겼다.[2] 디야를 제외한 중국인 전원이 방출되고 새로 영입된 6명 전원이 한국인이다.[3] 아이러니 한 것은, 출범시즌 중간에 진행된 리빌딩 상황에서는 중국인 선수가 여럿 있어서 한국인 선수들이 중국어를 배워야 했지만, 1년이 지난 2019년 현재는 본인만이 팀내 유일한 중국인 선수가 되어서 입장이 바뀌게 되었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