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러시아 정교회

덤프버전 :




러시아 정교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헌정위기
지리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 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 호 · 한카호 · 돈 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 산맥 · 스타노보이 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 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 반도 · 타이미르 반도 · 캄차카 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 섬 · 콜라 반도 · 축치 반도 · 크림 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마천루 · 초르노젬
문화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안보 조약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브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러시아 국가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불곰국




||
[ 펼치기 · 접기 ]

{{{#fff,#000 회원 교단}}}
[[알바니아|{{{#000,#fff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정교회 상징.svg 알바니아 정교회
[[아르메니아|{{{#000,#fff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로고.svg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오스트리아|{{{#000,#fff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오스트리아 H.C. 복음주의 교회오스트리아 구가톨릭 교회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오스트리아 연합감리교회
[[벨기에|{{{#000,#fff 벨기에}}}]]
벨기에 연합개신교회
[[불가리아|{{{#000,#fff 불가리아}}}]]
불가리아 오순절교회불가리아 복음주의 침례교회 연합
[[크로아티아|{{{#000,#fff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 침례회 연합크로아티아 하나님의 교회1크로아티아 공화국 복음주의 교회크로아티아 복음 오순절교회
크로아티아 개혁 기독교(칼뱅주의) 교회
[[키프로스|{{{#000,#fff 키프로스}}}]]
키프로스 정교회
[[체코|{{{#000,#fff 체코}}}]]
체코슬로바키아 후스파 교회체코 형제회 복음주의 교회체코 공화국 구가톨릭 교회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
체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실레지아 복음교회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체코 연합감리교회
[[덴마크|{{{#000,#fff 덴마크}}}]]
덴마크 침례회 연합파일:덴마크 교회 로고.svg 덴마크 교회
[[에스토니아|{{{#000,#fff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파일: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상징.png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핀란드|{{{#000,#fff 핀란드}}}]]
파일: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상징.svg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핀란드 정교회
[[프랑스|{{{#000,#fff 프랑스}}}]]
프랑스 복음주의 침례교회 연맹프랑스 마다가스카르 개신교회알자스와 로렌 개신교 연합프랑스 연합 개신교회
[[조지아|{{{#000,#fff 조지아}}}]]
조지아 복음주의 침례회
[[독일|{{{#000,#fff 독일}}}]]
독일 구가톨릭 교구파일:독일 개신교회 상징.svg 독일 복음주의교회독일 복음주의 자유 교회 연합(침례회 연합)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독일 연합감리교회
[[그리스|{{{#000,#fff 그리스}}}]]
파일:그리스 교회 상징.svg 그리스 교회그리스 복음주의 교회
[[헝가리|{{{#000,#fff 헝가리}}}]]
헝가리 침례회 연합헝가리 복음주의 루터교회헝가리 개혁교회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헝가리 연합감리교회
[[아이슬란드|{{{#000,#fff 아이슬란드}}}]]
파일: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상징.png 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아일랜드|{{{#000,#fff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성공회 로고.png 아일랜드 교회2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아일랜드 감리회2파일:아일랜드 장로회 로고.png 아일랜드 장로회2파일:구세군 방패(영문).svg 영국-아일랜드 구세군3
[[이탈리아|{{{#000,#fff 이탈리아}}}]]
이탈리아 기독교 복음주의 침례회 연합회이탈리아 복음주의 루터교회이탈리아 복음주의 감리교회이탈리아 발도파 교회
[[라트비아|{{{#000,#fff 라트비아}}}]]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해외 라트비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리히텐슈타인|{{{#000,#fff 리히텐슈타인}}}]]
리히텐슈타인 공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리투아니아|{{{#000,#fff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룩셈부르크|{{{#000,#fff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개신교 교회
[[네덜란드|{{{#000,#fff 네덜란드}}}]]
네덜란드 메노나이트 교회네덜란드 구가톨릭 교회파일:네덜란드 개신교회 상징.svg 네덜란드 개신교회항의 교회
[[북마케도니아|{{{#000,#fff 북마케도니아}}}]]
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연합감리교회 마케도니아
[[노르웨이|{{{#000,#fff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민교회 상징.svg 노르웨이 교회
[[폴란드|{{{#000,#fff 폴란드}}}]]
폴란드 침례회 연합폴란드 아우크스부르크 고백 교회폴란드 복음 개혁교회폴란드 구가톨릭 마리아비테 교회
폴란드 독립 정교회폴란드 가톨릭 교회(구가톨릭)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폴란드 연합감리교회
[[포르투갈|{{{#000,#fff 포르투갈}}}]]
포르투갈 복음주의 감리회포르투갈 복음주의 장로회루시타니아 가톨릭 사도적 복음주의 교회
[[루마니아|{{{#000,#fff 루마니아}}}]]
루마니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루마니아 복음주의 루터교회루마니아 개혁교회(키랄리고멜릭 지구)파일:루마니아 정교회 상징.png 루마니아 정교회
트란실바니아 개혁교회
[[러시아|{{{#000,#fff 러시아}}}]]
러시아 복음주의 기독교인-침례회 연합러시아 잉그리아 복음주의 루터교회파일:Cross_of_the_Russian_Orthodox_Church_01.svg.png 러시아 정교회4
[[세르비아|{{{#000,#fff 세르비아}}}]]
세르비아 개혁교회파일:세르비아 정교회 십자가.svg 세르비아 정교회세르비아 아우크스부르크 복음주의교회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세르비아 연합감리교회
[[슬로바키아|{{{#000,#fff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교회체코와 슬로바키아 정교회슬로바키아 개혁교회
[[슬로베니아|{{{#000,#fff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복음주의교회
[[스페인|{{{#000,#fff 스페인}}}]]
스페인 복음주의교회스페인 개혁 성공회
[[스웨덴|{{{#000,#fff 스웨덴}}}]]
파일:스웨덴 교회 로고.svg 스웨덴 교회스웨덴 연합교회
[[스위스|{{{#000,#fff 스위스}}}]]
스위스 개신교회스위스 구가톨릭 교회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스위스 연합감리교회
[[우크라이나|{{{#000,#fff 우크라이나}}}]]
트란스카르파티아 개혁교회
[[영국|{{{#000,#fff 영국}}}]]
파일:영국침례회연합로고.png 영국 침례회 연합파일:1920px-Coat_of_Arms_of_the_Churc.png 웨일스 교회파일:영국 국교회 세로 로고.png 잉글랜드 국교회파일:스코틀랜드 국민교회 상징.svg 스코틀랜드 교회
파일:회중연합로고.png 회중 연합회파일:아프리카 및 아프리카-카리브해 교회 협의회 로고.png 아프리카 및 아프리카-카리브해 교회 협의회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브리튼 영국 감리회파일:웨일즈장로교로고.png 웨일스 장로회
파일:구세군 방패(영문).svg 영국-아일랜드 구세군3파일:스코틀랜드 성공회 로고.png 스코틀랜드 성공회파일:실로 전 세계 그리스도 사도 연합교회 로고.png 실로 전 세계 그리스도 사도 연합교회파일:영국연합개척교회로고.png 연합개혁교회
파일:아일랜드 성공회 로고.png 아일랜드 교회2파일:브리튼 영국 감리회 로고.png 아일랜드 감리회2파일:아일랜드 장로회 로고.png 아일랜드 장로회2
[[세계|{{{#000,#fff 국제 조직}}}]]
파일:Coat_of_Arms_of_the_Ecumenical_Patriarchate_Constantinople_(St._George's_Cathedral,_Istanbul).svg 정교회 세계 총대주교청유럽 침례회 연맹러시아 및 기타 국가의 복음주의 루터교회 연맹유럽 대륙 관구 모라비안 교회
파일:구세군 휘장.svg 구세군 국제본영파일:연합감리교회 상징.svg 북유럽 및 발트 지역연합감리교회
1: 오순절운동의 일파인 정통 개신교 교단 / 2: 아일랜드 - 북아일랜드 통합 관할
3: 영국 - 아일랜드 통합 관할 / 4: 2009년 회원 자격 정지




러시아 정교회
Russian Orthodox Church |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1]
규모약 1억명
모스크바 총대주교키릴 (제17대)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비판
5.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모스크바 총대주교좌를 보유하는 그리스도교 교단. 전 세계 정교회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러시아의 그리스도교 교단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신자 수는 약 9,000만 명에서 1억 명 수준으로 추정한다.

제정 러시아국교(國敎)로서 전세계 정교회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자치 교회였고, 한국 정교회19세기 무렵 선교가 이루어진 러시아 정교회가 시초였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이후 국가 무신론을 표방한 소련 치하에서 수많은 성직자수도자들이 순교하거나 투옥되고 예배가 금지되었으며 각지의 성당들이 파괴되고 훼손되는 수난을 당했다. 독소전쟁 이후로는 탄압이 완화되었고, 이 시기를 기점으로 사제들을 대놓고 투옥하거나 성당을 파괴하는 행위는 없어졌다. 그럼에도 국가무신론이 여전히 주요시책이었기 때문에 정교회 사제들에 대한 대우는 야박했다. 그러나 소련 붕괴 후에는 보리스 옐친이 정교회를 복권시켰고, 이러한 기조는 블라디미르 푸틴도 이어받아서 러시아 정교회의 위상은 구 러시아 제국 시절에 버금갈 정도로 커졌다. 오죽하면 통합러시아의 지지기반 가운데 하나가 정교회 신도로 손꼽힐 정도이다. 다만 그러다보니 타 국가에서는 어용종교 집단이라는 비판도 받고 있는 중이다.

정교회 자치교회 서열로 따지면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총대주교에 이어 다섯 번째 총대주교 관할교회였다. 그러나 2022년 현재 러시아 정교회는 2018년 정교회 분열[2]로 세계총대주교좌와의 일치가 끊어진 상태이므로 이러한 순위는 현재로서는 유명무실하다.


2. 역사[편집]


러시아 정교회는 988년 그리스 정교회의 선교로 블라디미르 1세가 세례를 받으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1589년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로부터 독립교회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현재의 총대주교좌(總大主敎座)는 모스크바에 있다.

17세기 중반에는 토착화된 전례를 동로마 전례 양식을 참고해서 바꾼 니콘 총대주교의 전례 개혁에 반발한 세력이 구 전례를 따르는 고의식파(古儀式派)로 독립했다.[3] 표트르 대제 치세에서는 신성통치종무원[4]에서 총대주교좌 업무를 대신하다가 러시아 혁명 때 신성통치종무원이 폐지되면서 성 티혼이 총대주교로 선출되어 착좌했다. 하지만 곧바로 소련정교회를 박해하면서, 러시아 정교회는 소련의 박해를 피해 해외로 탈출한 해외 러시아 정교회와 소련에 남은 러시아 정교회로 분리되었다.

소련이 해체된 뒤 해외 러시아 정교회는 본토 정교회와 2007년에 재일치했고, 러시아 정부에서도 정교회를 밀어주면서 정교회는 러시아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2018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독립교회 인정 문제로 일방적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등과 성사 교류 단절을 선언함으로 인해 정교회의 분열이 시작되었다. 이로써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자기네 신도들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 및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산하 정교회 성찬예배성사 참여를 금지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톨릭과 정교회가 상호 성사 참여가 특수상황을 제외하고는 불법이듯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및 아테네 대주교 산하 정교회와 별도 교단으로 분리되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계기로 러시아 정교회 내 우크라이나 정교회마저 본교와의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


3. 특징[편집]


정교회권 밖에서는 그레고리력을 따라 크리스마스12월 25일로 정했지만, 러시아에서는 율리우스력을 기준으로 잡는 정교회 전례력에 따라 1월 7일이다. 다른 나라와 차이가 나지만 러시아 정교회는 바꾸지 않겠다고 밝혔다.#

키릴 총대주교는 동성결혼이며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정교회의 관할지역은 구 동구권 지역뿐만 아니라 미국이나 서유럽 등 과거 제1세계 지역에 속했던 나라들까지도 포함하는데, 소련 성립 직후 많은 정교회 성직자들과 신자들이 망명했기 때문이다.

4. 비판[편집]


제정 러시아 시절부터 있던 비판이지만, 여러 불미스러운 사건들 및 독재정권과의 유착 같은 부정적인 모습들로 인해 현재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대외적 인식은 다소 곱지 않다. 특히 키릴 총대주교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함으로 인해 그리스도교의 타 종파 신자들은 물론이고 정교회 분열 당시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지지하지 않았던 타 정교회 신자들에게도 부정적으로 비춰지는 상황이다.

소련 해체 이후 아노미 상태에 빠진 러시아인들에겐 정신적, 국가적 구심점이 필요했다.[5] 이 때문에 러시아 정부는 소련 시절 몰수한 재산을 돌려주고 파괴된 성당들을 재건하며 여러 가지 특권을 부여하는 등 러시아 정교회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러시아 정교회 또한 소련 해체 이후 종교에 대한 박해가 사라지자 교세를 확장할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부에 지지와 감사를 보내며 손을 잡기 시작했다.

2022년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키릴 총대주교가 러시아의 '특별군사작전'을 지지하고, 러시아의 침공을 적그리스도에 대항하는 성스러운 투쟁이라는 논평을 내놓자 바르톨로메오스 1세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프란치스코 교황을 비롯한 세계 보편교회 지도자들 다수로부터 비판에 직면했다.

2018년 정교회 분열 사태에서 사실 러시아 정교회의 우군은 적지 않았다. 세계총대주교는 정교회에서 어디까지나 대표적인 인물이지 로마 교황처럼 실질적 수위권을 행사하는 존재는 아니었고, 러시아 정교회 관할에 속하는 우크라이나 정교회 관구를 환수하고 독립시킨다는 행동을 다른 정교회에서 긍정적으로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 정교회가 러시아 정부 및 군부를 지지하며 이 전쟁을 성전으로 포장하기 시작하자, 모스크바를 지지하던 다른 정교회들이 돌아서서 비판적인 스탠스를 취하기 시작했다. 이후 러시아 정교회 내에서 연쇄적으로 모스크바로부터의 이탈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발생했는데, 러시아에 인접한 교구들은 모두 독립을 준비 중이고 라트비아 정교회는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다.

@ 한 신자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를 응원했다고 고백성사(고해성사)[6]를 했는데, 그걸 들은 신부가 그대로 경찰에 찔러넣어서 논란이 되었다. 원래 정교회나 가톨릭이나 고해성사를 할 때 비밀유지가 원칙인데, 그걸 일러바쳤으니 신부로써의 자격을 다하지 못한 것.

5. 같이 보기[편집]



[1] Rússkaja pravoslávnaja cérkovʹ. 약칭은 에르페체(РПЦ).[2] 201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가 본디 러시아 정교회 산하에 있던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독립교회 지위를 부여한 것에 모스크바 총대주교좌가 반발하여 일방적으로 세계총대주교좌와의 성사 교류 단절을 선언한 사건이다.[3] 고의식파는 성직 인정파와 성직 부정파로 다시 분리되었고, 일부는 20세기 후반에 다시 러시아 정교회와 일치했다.[4] Святейший правительствующий синод(1721-1918). 소련 해체 후에 신설된 신성종무원과 달리 신성통치종무원은 총대주교 없이 황제가 직접 관리했다.[5] 이 무렵에 옴진리교 같은 사이비 종교들이 러시아에서 교세를 불리기도 했다.[6] 가톨릭에서는 고해성사로 정교회에서는 고백성사로 표기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04:01에 나무위키 러시아 정교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