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학전쟁/1회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학전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에이스 선발전: 전자 두뇌
2.1. 진행 결과
3. 에이스 매치: 소수 체크
3.1. 진행 결과
4. 메인 매치: 300
4.1. 진행 결과
5. 데스 매치: 수식 양궁
5.1. 진행 결과
6. 1회전 진행 결과



1. 개요[편집]


대학전쟁 1회전 진행 내용 및 결과를 다룬다. 방송 1~2화 내용에 해당한다.

2. 에이스 선발전: 전자 두뇌[편집]



  1. 모든 참가자들은 각 학교 별 베이스에서 제시되는 문제를 풀어 답을 입력한다.
  2. 학교마다 가장 먼저 정답을 풀고 메인 홀로 나온 참가자 1명이 에이스로 선발된다.
  3. 전자 두뇌는 화면에 제시된 세 자리 숫자 10개를 덧셈하여, 그 값을 정답으로 입력하는 암산 대결이다.
  4. 베이스의 참가자들은 계산과 관련한 모든 대화가 금지된다.
  5. 모든 참가자가 정답을 입력하면 게임이 종료된다.

2.1. 진행 결과[편집]


문제428 + 591 + 972 + 879 +
919 + 174 + 342 +
567 + 603 + 298 =
정답5773


순위소속참가자순위소속참가자
1등서울대정현빈11등서울대송현석
2등포항공대심민섭12등포항공대이현수
3등고려대채승민13등고려대이동규
4등연세대박나윤14등서울대경도현
5등포항공대문소율15등카이스트양준혁
6등카이스트허성범16등연세대손주형
7등서울대박현민17등카이스트소현지
8등포항공대신재윤18등고려대김정민
9등연세대조현준19등고려대이지수
10등카이스트최서연20등연세대김기홍


3. 에이스 매치: 소수 체크[편집]



  1. 25개의 숫자 큐브로 채워진 게임판에서 더 많은 소수를 찾는 참가자가 승리하는 게임이다.
  2. 게임은 총 3라운드로 진행되며, 라운드마다 숫자 구간이 변경된다.
  3. 참가자들은 30초씩 번갈아 가며 소수를 찾는다. 자신의 차례에 소수를 찾아 정답을 맞힐 경우 1점을 획득하며, 한 번 더 제한 시간 동안 답을 말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4. 오답을 말하거나 본인 차례에 정답을 말하지 못할 경우 감점되지 않으며, 즉시 상대 참가자에게 기회가 넘어간다.
  5. 가운데 공개되지 않은 물음표 큐브는 히든 소수를 의미하며, 히든 소수를 맞힐 경우 3점을 획득한다.
  6. 6점을 먼저 획득하는 참가자가 해당 라운드를 승리하며, 총 2라운드를 먼저 이기는 참가자가 에이스 매치에서 승리한다.
  7. 에이스 매치는 에이스 선발전 1등 참가자가 에이스 참가자 중 1명을 지목해 1:1로 진행한다.
  8. 선후공 결정은 1라운드는 선발전 1등이, 이후 라운드에선 이전 라운드 패배한 쪽이 선택할 수 있다.
  9. 에이스 매치 승리 팀에게는 다음 게임에서 베네핏이 제공된다.

3.1. 진행 결과[편집]


선발전 1등 서울대 정현빈은 다른 후보들은 공학/전산 학과이기에 수학에서 능숙할 것이라고 판단해 연세대 박나윤을 에이스 매치 상대로 지목했다.

  • 1라운드: 에이스 선발전 1등 정현빈은 선공을 선택했다.
숫자 구간500 ~ 570
소수 개수9개
숫자 큐브523543527563533
549517509553519
513531?503559
537501541529557
547539507567511

정현빈 (선공)박나윤 (후공)
1523 / 정답
509 / 정답
503 / 정답
541 / 정답
547 / 정답
히든 521 / 정답
결과8점 (승리)0점 (패배)

  • 2라운드: 1라운드에서 패배한 박나윤은 선공을 선택했다.
숫자 구간1100 ~ 1180
소수 개수9개
숫자 큐브11091149112711411107
11571117116111211171
11311101?11511113
11391153113711191103
11231147116911591129

정현빈 (후공)박나연 (선공)
11109 / 정답
1107 / 오답
1141 / 오답
21117 / 정답
1171 / 정답
1101 / 오답
1103 / 정답
제한시간 초과
31121 / 오답1159 / 오답
4제한시간 초과1137 / 오답
51153 / 정답
1129 / 정답
1169 / 오답
1123 / 정답
1147 / 오답
6히든 1163 / 정답1151 / 정답
제한시간 초과
결과8점 (승리)3점 (패배)

  • 게임 결과
2:0으로 정현빈이 승리해 서울대 팀에게 메인매치 베네핏이 제공되었다.

4. 메인 매치: 300[편집]



  1. 제시된 300개의 연산 문제를 먼저 맞히면 승리하는 게임이다.
  2. 정답 입력은 무대 중앙의 태블릿으로 진행되며, 한 페이지당 30개의 답안을 입력할 수 있으며 총 열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3. 정답 300개를 모두 입력하면 오답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단 300개의 답안 중 하나라도 기입하지 않았다면 오답 개수를 확인할 수 없다.
  4. 풀이 시간, 정답 입력 횟수의 제한은 없으며, 먼저 오답 개수 0을 달성한 상위 대학 3팀은 생존하여 다음 회전에 진출, 하위권 2팀은 탈락 후보가 되어 데스 매치를 진행한다.
  5. 제출 후 오답 개수 공개 시간, 재입력 대기 시간은 10초가 소모된다.
  6. 베네핏: 5문제 우선 공개권 - 2분 동안 문제 5개가 선공개된다.

4.1. 진행 결과[편집]


  • 문제
파일:대학전쟁 300문제.jpg
  • 진행 결과


5. 데스 매치: 수식 양궁[편집]



  1. 네 개의 숫자와 연산 기호를 활용하여 양궁 판에 제시된 타깃 넘버를 만드는 게임이다.
  2. 각 팀에게는 1부터 6까지 숫자 카드 두 세트가 주어진다. 이후 숫자 카드 중 선택한 두 개의 카드를 상대 팀에게 공개한다.
  3. 양 팀이 제출한 총 네 개의 숫자와 제시된 연산 기호를 활용하여 양궁 판에 표시된 타깃 넘버를 만들어야 한다.
  4. 연산 기호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제곱, 루트, 괄호(), 팩토리얼!이 제공된다.
  5. 숫자 카드는 한 자리 숫자로만 사용 가능하며, 사용한 숫자 카드와 연산 기호는 재사용이 가능하다.
  6. 수식을 완성한 팀은 벨을 누르고 3초 안이 완성한 타깃 넘버를 말하고 칠판을 들어서 완성된 수식을 공개한다.
  7. 양궁 판에 있는 흰색 원은 1점, 검은색 원은 2점, 파란색 원은 3점, 빨간색 원은 4점, 노란색 원은 5점을 획득한다.
  8. 또한 같은 색 원 안에 인접한 타깃 넘버 세 개를 맞힐 경우 추가 점수 2점을 획득한다.
  9. 먼저 25점을 획득한 팀이 승리해 다음 회전에 진출하며, 패배한 팀은 1회전에서 탈락한다.
  10. 수식에서 분수의 형태로 표기해도 되며, 연산 기호의 사용 갯수에는 제한이 없다.

5.1. 진행 결과[편집]


  • 양궁 판
파일:대학전쟁 수식양궁.jpg
1점1.25 | -2 | 1 | 37 | 19 | 45 | -7 | 108 | 216 | 15 | 66 | 31 | 90 | -0.5 | 54
2점15625 | 52 | 78 | 1.2 | 701 | 7777 | -1.5 | 47 | 2.25 | 732
3점716 | 244 | 601 | 5184 | 4090 | -351
4점175 | 373 | 777
5점8388610
  • 진행 결과: 일부 수식은 편집 및 가독성이 편리하도록 수정함

숫자 카드제시 수식타깃 넘버결과득점 현황
포항공대카이스트포항공대카이스트
1R1, 41, 51(^1(^4(^5)))1정답01
2R2, 51, 31^(2+5)-3-2정답02
3R4, 54, 5(4÷5)×5-41.25정답05
4R2, 65, 66^2+6-537정답15
5R3, 61, 66×3+1^619정답25
6R3, 23, 5시간 초과
(3+3)^(5-2)216정답35
7R3, 53, 5시간 초과
3^(5-3)×545정답65
8R6, 46, 16+4+6-115정답75
9R3, 61, 56^5+1^37777정답77
10R3, 55, 15^3!×1^315625정답79
11R6, 64, 16×(6+4+1)66정답109
12R3, 41, 44분의 3×(4-1)2.25정답129
13R편집3-1-4-5-7정답139
14R2, 23, 4(3!)!-2분의4×2716정답1312
15R2, 22, 22분의 2÷2-2-0.5정답1412
16R2, 22, 2(2+2분의2)-2-1.5정답1414
17R5, 26, 25!×2+6-2244정답1714
18R5, 51, 55×5!+1^5601정답1717
19R6, 42, 34^6-2×34090정답2017
20R4, 62, 33^6+4!×2777정답2021
21R4, 63, 44분의6!-(3+4)173정답2025

카이스트 팀에서는 '1의 거듭제곱'으로 상대 숫자를 생략하는 전략, 팩토리얼의 팩토리얼을 써 수를 극대화시키는 전략을 사용했다. 포항공대 팀에서는 카이스트의 전략을 파악한 후 역이용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두 팀 모두 단 한번도 계산에서 실수하지 않아 팽팽하게 승부가 진행되었다.

6. 1회전 진행 결과[편집]


에이스 선발정현빈, 심민섭, 채승민, 박나윤, 허성범
에이스 매치 진출정현빈, 박나윤
에이스 매치 승리정현빈
메인 매치 생존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데스 매치 진출포항공대, 카이스트
1회전 생존 팀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카이스트
1회전 탈락 팀포항공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23:37:41에 나무위키 대학전쟁/1회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